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91)

 

1. In field theory, self is a phenomenological concept, existing in comparison with other. Without the other there is no self, and how one experiences the other is inseparable from how one experience herself.

 

장이론에서는 자아는 현상학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개체와 비교 상태에서 존재한다. 다른 개체가 없으면 자아도 없다. 개체가 다른 개체를 경험하는 것은 개체가 자신을 경험하는 것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ᛜin·sep·a·ra·ble [insépərǝbəl] ɑ.

분리할 수 없는; 불가분의; 떨어질 수 없는from

 

2. The continuity of selfhood (functioning personality) is something that is achieved in relationship, rather than something inherently "inside" the person.

 

자아의 연속성(기능성의 인격)은 관계성에서 얻어지는 것이며, 개인의 내면에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

 

ᛜcon·ti·nu·i·ty [kὰntǝnjúːǝti/kɔ̀n-] n.

연속(), 연속 상태, 계속; (논리의) 밀접한 관련; 연속

*in·her·ent [inhíərǝnt] ɑ.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고유의, 본래의, 타고난; 선천적인in

sélf-hòod n.

자아, 개성; 인격; 이기심.

 

3. This can have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t one end of the spectrum, one may not have enough self-continuity to be able to make meaningful relationships, or to have a workable sense of who she is.

 

이것은 이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 부분에서는 개인은 의미있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자아 연속성이나 자신이 누구인지 알 수 있는 센스를 충분하게 가지지 못할 수 있다.

 

ᛜspec·trum [spéktrǝm] n. (pl. -tra [-trǝ], ~s)

① 〖스펙트럼, 분광; (눈의) 잔상(殘像).

(변동이 있는 것의) 범위, 연속체.

 

4. At the other end, her personality is a rigid defensive denial of the new and spontaneous. She acts in stereotyped ways, and either induces other people to act in particular and fixed ways towards her, or she redefines their actions to fit with fixed stereotypes.

 

다른 한편, 개인의 인격은 새롭고 자연히 일어나는 것에 대한 엄격한 방어적 거부반응이다. 그는 상투적인 방법으로 행동하고,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그를 향해 특별하고 고정된 방식으로 대하도록 유도하거나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고정된 상투적인 방식으로 맞추려고 한다.

 

ᛜster·e·o·type [stériǝtàip, stíər-] n.

② 《고정 관념, 판에 박힌 문구; 상투 수단.

~d [-t] ɑ. 연판의; 판에 박은, 진부한

┈┈• ~d phrases 상투 문구.

stèr·e·o·týp·ic, -týpi·cal [-típik], [-əl] ɑ. 연판법인쇄에 의한; 흔히 있는, 진부한.

*spon·ta·ne·ous [spɑntéiniǝs/spɔn-] ɑ.

자발적인, 자진해서 하는, 임의의(voluntary)

자연히 일어나는생기는, 무의식적인

(현상 따위가) 자동적인

rig·id [rídʒid] ɑ.

굳은, 단단한, 휘어지지 않는.

완고한, (생각이) 고정된

 

5. In Gestalt therapy, the process is not about the self of the client being helped or healed by the fixed self of the therapist, rather it is an exploration of the co-creation of self and other in the here-and-now of the therapy.

 

게슈탈트 치료에 있어서는, 과정은 내담자의 자의식이 치료자의 고정된 자의식에 따라서 도움을 받거나 치료를 받는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의 치료에 있어서 자기 자신과 타인과의 상호 창의적 노력에 의해 탐구되는 것이다.

 

6. There is no assumption that the client will act in all other circumstances as he or she does in the therapy situation. However, the areas that cause problems will be either the lack of self definition leading to chaotic or psychotic behaviour, or the rigid self definition in some area of functioning that denies spontaneity and makes dealing with particular situations impossible.

 

내담자가 치료상황에서는 행동하는 것처럼 다른 모든 상황에서 행동한다는 가설은 있지 않다. 그러나 문제를 야기시키는 것은 혼란스럽거나 정신 이상 행동을 일으키는 자의식이 명료하지 않거나, 자발적 행동을 거부하거나 특정한 불가능한 상황을 다루는 기능에 있어서 엄격한 자의식에 의한 한계에 있는 것이다.

 

spon·ta·ne·i·ty [spὰntǝníːǝti/spɔ̀n-] n.

자발(), 자발 행동활동; 무의식; 자연스러움

psy·chot·ic [saikάtik/-kɔ́t-] ɑ., n.

정신병의, 정신 이상의; 정신병자.

*as·sump·tion [ǝsʌ́mpʃən] n.

인수, 수락, 취임

가정, 억측; 가설

 

7. Both of these conditions show up very clearly in the therapy, and can be worked with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therapist.

 

이러한 조건들 모두 치료에서 매우 명확하게 나타나며, 치료자와의 관계에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해설>

1. 게슈탈트 치료의 관점에서 보면, “분열증 인격장애는 자신은 다른 사람들과 진정하게 친밀하게 지내는 것이 생래적으로 불완전하다는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는 믿음을 야기시킨 오래 된 어린 시절의 상황에 창조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연속을 재개념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From a Gestalt therapy point of view,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can be reconceptualized as a series of creative adjustments to an early traumatic childhood situation that created the deep-seated belief that true intimacy with other people is inherently unsafe.)

 

schiz·oid [skítsɔid] ɑ.

정신 분열병의같은, 분열병질의; 분열병적인.

 

2. 분열증적인 적응을 한 개인은 다른 사람에게 진정한 자기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위험하다고 믿고 있기 때문에 지각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Individuals who have made Schizoid adaptations can be difficult to recognize because they believe that it is dangerous to show other people their true Self.)

 

3. They fear that doing so will allow others to enslave them, appropriate what is theirs, or use them as tools. They use distancing defenses, fantasy, and dissociation to deal with their interpersonal fears and their porous interpersonal boundaries.

 

이런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보여주면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노예로 만들 것이라고 두려워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