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언집행자가 있는 경우의 상속인의 원고적격

 

가을사랑

 

* 유언집행자가 있는 경우 그의 유언집행에 필요한 한도에서 상속인의 상속재산에 대한 처분권은 제한되며 그 제한 범위 내에서 상속인은 원고적격이 없다(대법원 2001. 3. 27. 선고 2000다26920 판결 참조).

 

* 민법 제1095조는 유언자가 유언집행자의 지정 또는 지정위탁을 하지 아니하거나 유언집행자의 지정을 위탁받은 자가 위탁을 사퇴한 때에 한하여 적용되는 것이다(대법원 2007. 10. 18.자 2007스31 결정 참조).

 

* 유언자가 지정 또는 지정위탁에 의하여 유언집행자의 지정을 한 이상 그 유언집행자가 사망·결격 기타 사유로 자격을 상실하였다고 하더라도 상속인은 민법 제1095조에 의하여 유언집행자가 될 수는 없다.

 

* 유증 등을 위하여 유언집행자가 지정되어 있다가 그 유언집행자가 사망·결격 기타 사유로 자격을 상실한 때에는 상속인이 있더라도 유언집행자를 선임하여야 하는 것이다.

 

* 유언집행자가 해임된 이후 법원에 의하여 새로운 유언집행자가 선임되지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유언집행에 필요한 한도에서 상속인의 상속재산에 대한 처분권은 여전히 제한되며 그 제한 범위 내에서 상속인의 원고적격 역시 인정될 수 없다(대법원 2010.10.28. 선고 2009다20840 판결).

 

'민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여 또는 명의신탁  (0) 2013.01.16
상속재산소송과 소송승계  (0) 2013.01.16
생명보험금의 상속세 부과 여부  (0) 2013.01.16
공정증서에 의한 유언  (0) 2013.01.16
상속개시 이전에 발생한 과실  (0) 2013.01.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