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재산의 부정소비
가을사랑
* 민법 제1026조는 "다음 각 호의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상속인이 단순승인을 한 것으로 본다."고 하면서 제1호로 '상속인이 상속재산에 대한 처분행위를 한 때'를, 제3호로 '상속인이 한정승인 또는 포기를 한 후에 상속재산을 은닉하거나 부정소비하거나 고의로 재산목록에 기입하지 아니한 때'를 규정하고 있다.
* 민법 제1026조 제1호는 상속인이 한정승인 또는 포기를 하기 이전에 상속재산을 처분한 때에만 적용되는 것이다.
* 상속인이 한정승인 또는 포기를 한 후에 상속재산을 처분한 때에는 그로 인하여 상속채권자나 다른 상속인에 대하여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될 경우가 있음은 별론으로 하고, 그것이 위 제3호에 정한 상속재산의 부정소비에 해당되는 경우에만 상속인이 단순승인을 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 '상속재산의 부정소비'라 함은 정당한 사유 없이 상속재산을 써서 없앰으로써 그 재산적 가치를 상실시키는 행위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봄이 상당하다(대법원 2004. 3. 12. 선고 2003다63586 판결).
'가족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도소득세와 한정승인을 한 상속인 (0) | 2013.03.21 |
---|---|
상속포기 (0) | 2013.03.21 |
상속인의 한정승인 (0) | 2013.03.21 |
상속회복청구의 소 (0) | 2013.03.18 |
생전 증여가 특별수익에 해당하는지 여부 (0) | 2013.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