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시대의 사기수법의 진화>

 

사기피해유형은 사회 계층에 따라 다르다. 사기를 당한 입장에서 대응하는 방법도 다르다. 일반 서민들의 경우에는 대부분 소액의 사기를 당하고 안절부절한다. 인터넷등을 통해 법률조언을 구하고 있지만 그 답변내용은 대체로 무성의하다.

막연하게 ‘사기가 된다, 안 된다.’ ‘고소장을 경찰서에 내라.’는 식으로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추상적인 답변이다. 사회에 대한 불신감만 조장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사기를 당한 상태에서 피해구제를 받기 위해서는 또 비용이 들어가야 하고, 비용이 들어간 만큼의 성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사기의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디지털과 글로벌로 특징 지워지는 현대사회에서 사기의 모습도 다양화되고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사기수법은 고도로 지능화되고, 그 피해는 전국적 국제적으로 광역화되고 있다.

 

피해금액은 천문학적인 숫자에 이르고 그 대상은 무차별적이다. 다단계수법에 의한 사기, 전자상거래사기, 국제사기, 권력형 사기 등이 빈발하고 있다.

고도의 과학적 기술을 앞세운 발명특허, IT 관련 기술개발 등을 이용한 사기는 일반사람들의 입장에서는 제대로 이해도 못한 채 당하게 된다. 재테크에 심취되어 있는 현대인들에게 디지털시대의 과학화된 사기는 커다란 장애물이다. 이것을 극복하고 예방하기 위한 방법도 디지털화되고 글로벌화하지 않으면 안 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