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자등록의 대항력과 우선변제권
가을사랑
* 상가건물의 임차인이 임대차보증금반환채권에 대하여 우선변제권을 가지려면, 임대차의 목적인 상가건물의 인도 및 부가가치세법 등에 의한 사업자등록을 구비하고, 관할세무서장으로부터 확정일자를 받아야 한다.
* 사업자등록은 대항력 또는 우선변제권의 취득요건일 뿐만 아니라 존속요건이기도 하므로 배당요구의 종기까지 존속하고 있어야 한다.
* 신규로 사업을 개시한 자가 휴업 또는 폐업한 때에는 지체없이 관할세무서장에게 신고하여야 하고, 관할세무서장은 지체없이 이를 말소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부가가치세법 제5조 제4항).
* 주택임대차의 경우, 전대차 등의 사유로 임차주택을 간접점유하고 있는 임차인의 주민등록은 주민등록법 소정의 적법한 주민등록이라고 볼 수 없어 그 주민등록만으로는 대항요건을 구비한 것으로 볼 수 없다(대법원 2001.1.19. 선고 2000다55645 판결 참조).
* 상가건물을 임차하고 사업자등록을 마친 사업자가 임차 건물의 전대차 등으로 당해 사업을 개시하지 않거나 사실상 폐업한 경우에는, 그 사업자등록은 부가가치세법 및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이 상가임대차의 공시방법으로 요구하는 적법한 사업자등록이라고 볼 수 없어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상의 대항요건 나아가 우선변제권요건을 갖추지 못하였다 할 것이다
* 이 경우, 임차인이 대항력 및 우선변제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택임대차의 경우처럼 건물을 직접점유하면서 사업을 운영하는 전차인이 그 명의로 사업자등록을 하여야 할 것이다.<부산고등법원 2005.9.23. 선고 2005나5348 판결>
'민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정승인의 기간 (0) | 2013.01.20 |
---|---|
상가건물을 매도한 후 다시 임차한 경우 (0) | 2013.01.19 |
상가건물임대차에 있어서 사업자등록의 공시방법 (0) | 2013.01.19 |
상속채권자의 우선적 권리 (0) | 2013.01.16 |
한정승인제도의 취지 (0) | 2013.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