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차권의 대항력
가을사랑
* 주택의 임차인이 제3자에 대한 대항력을 갖춘 후 임차주택의 소유권이 양도되어 그 양수인이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하는 경우에는, 임대차보증금의 반환채무도 부동산의 소유권과 결합하여 일체로서 이전하는 것이므로 양도인의 임대인으로서의 지위나 보증금반환채무는 소멸하는 것이다.
*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2 제2항 및 제8조 제3항의 각 규정과 같은 법의 입법 취지 및 통상적으로 건물의 임대차에는 당연히 그 부지 부분의 이용을 수반하는 것인 점 등을 종합하여 보면, 대지에 관한 저당권의 실행으로 경매가 진행된 경우에도 그 지상 건물의 소액임차인은 대지의 환가대금 중에서 소액보증금을 우선변제받을 수 있다고 할 것이다.
* 이와 같은 법리는 대지에 관한 저당권 설정 당시에 이미 그 지상 건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민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자취소권 (0) | 2013.03.07 |
---|---|
소멸시효 중단사유로서의 재판상 청구 (0) | 2013.03.07 |
농지취득자격증명제도에 관한 고찰 (0) | 2013.03.07 |
존속기간을 정하지 아니한 사용대차 (0) | 2013.03.06 |
공유물분할청구의 소 (0) | 2013.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