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매도인이 임차인으로 전환되는 경우
가을사랑
* 자기 소유 주택에 주민등록을 마치고 거주하다가 그 주택을 타인에게 매도하고 이를 매수인으로부터 임차하는 계약을 체결한 후 거주하는 경우, 제3자로서는 주택에 관하여 매수자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지기 전에는 매도인의 주민등록이 소유권 아닌 임차권을 매개로 하는 점유라는 것을 인식하기 어려우므로 매도인의 주민등록은 매수자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진 날에야 비로소 임대차를 공시하는 유효한 공시방법이 되어, 매도인은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다음날부터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이 정한 대항력을 갖춘 것이 된다(대법원 2000. 2. 11. 선고 99다59306 판결 등 참조).
* 이러한 법리는 상가건물 임차인이 그 소유 상가에서 부가가치세법 등이 정한 사업자등록을 마치고 상가를 점유하다가 이를 타인에게 매도하고 이전등기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민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스쿨 예비인가취소소송 (0) | 2013.05.03 |
---|---|
항고소송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 (0) | 2013.05.01 |
임차인의 건물매수청구권 (0) | 2013.04.18 |
독점적 번역출판권과 번역저작물의 창작성 (0) | 2013.04.14 |
다른 사람의 사진을 홈페이지에 올려놓은 경우와 사진저작권 침해 여부 (0) | 2013.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