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사람의 사진을 홈페이지에 올려놓은 경우와 사진저작권 침해 여부
가을사랑
* 양벌규정에 의한 영업주의 처벌은 금지위반행위자인 종업원의 처벌에 종속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하여 그 자신의 종업원에 대한 선임감독상의 과실로 인하여 처벌되는 것이므로 종업원의 범죄성립이나 처벌이 영업주 처벌의 전제조건이 될 필요는 없다(대법원 1987. 11. 10. 선고 87도1213 판결 참조).
* 저작권은 저작한 때부터 발생하며 어떠한 절차나 형식의 이행을 필요로 하지 아니한다(저작권법 제10조 제2항).
* 이 사건 사진은 피사체의 선정, 구도의 설정, 빛의 방향과 양의 조절, 카메라 각도의 설정, 셔터의 속도, 셔터찬스의 포착 등과 같은 촬영방법과 현상 및 인화 등의 과정에서 촬영자의 개성과 창조성이 뚜렷이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어 창작성이 있는 저작물로서 저작권법의 보호대상이 된다고 할 것이다.
* 피고인의 종업원인 공소외인이 이 사건 사진을 피고인 운영의 여행사 홈페이지에 게시할 당시 이 사건 사진의 저작권자가 누구인지 몰랐다고 하더라도 타인의 저작물을 영리를 위하여 임의로 게시한다는 인식이 있었으므로 이 사건 사진에 대한 저작권자의 저작권을 침해하였다고 인정한 조치는 옳다(대법원 2006.2.24. 선고 2005도7673 판결).
'민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차인의 건물매수청구권 (0) | 2013.04.18 |
---|---|
독점적 번역출판권과 번역저작물의 창작성 (0) | 2013.04.14 |
퇴직처분이 무효인 경우 (0) | 2013.04.11 |
건축사가 검사업무를 대행하는 경우 (0) | 2013.04.03 |
감리업무의 종료시기 (0) | 2013.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