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자에 대한 상여소득처분
가을사랑
장부에 기재되지 않고 사외유출된 법인의 수입금은 그 귀속이 분명하지 않은 한 과세관청이 법인세법 제67조, 법인세법 시행령 제106조 제1항 제1호 단서의 규정에 의하여 대표자에 대한 상여로 소득처분할 수밖에 없는 것이고, 이 경우 그 귀속이 분명하다는 점에 관한 증명책임은 이를 주장하는 납세의무자에게 있다(대법원 1992. 8. 14. 선고 92누6747 판결 참조)<대법원 2013.3.28. 선고 2010두20805 판결>.
일반적으로 조세부과처분의 취소소송에서 과세요건사실에 관한 증명책임은 과세관청에게 있으므로, 과세관청이 구체적인 소송과정에서 과세요건사실을 직접 증명하거나 경험칙에 비추어 과세요건사실이 추정되는 사실을 밝히지 못하면 당해 과세처분은 과세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 위법한 처분이 된다.
'민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사고에 관한 손해배상의 범위 (0) | 2013.08.27 |
---|---|
부가가치세부과처분취소 (0) | 2013.08.27 |
이자소득의 수입시기 (0) | 2013.08.27 |
회수한 금액이 원금에 미달하는 때 (0) | 2013.08.27 |
경락대금 완납일이 양도 및 취득시기로 된다 (0) | 2013.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