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일부의 임대차계약
가을사랑
건물 일부의 임대차계약을 체결함에 있어 임차인이 건물면적의 일정한 수량이 있는 것으로 믿고 계약을 체결하였고, 임대인도 그 일정수량이 있는 것으로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표시하였으며, 나아가 임대차보증금과 월임료 등도 그 수량을 기초로 하여 정하여진 경우에는 그 임대차는 수량을 지정한 임대차라고 봄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대법원 1995.7.14. 선고 94다38342 판결).
상사매매에 관한 상법 제69조는 민법의 매매에 관한 규정이 민법 제567조에 의하여 매매이외의 유상계약에 준용되는 것과 달리 상법에 아무런 규정이 없는 이상 이 사건에 있어서와 같은 건물의 임대차계약에 준용된다고 할 수 없다(대법원 1995.07.14. 선고 94다38342 판결).
'민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실상 일반 공중의 교통에 공용되는 도로로 사용되고 있는 경우 (0) | 2013.09.02 |
---|---|
독립당사자참가소송 (0) | 2013.08.30 |
고엽제사건 대법원 판결 요지 (0) | 2013.08.29 |
소득세에 대한 부과제척기간 (0) | 2013.08.29 |
징수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항고소송 (0) | 201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