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세를 부과할 수 없는 경우
가을사랑
세법상 가산세는 과세권의 행사 및 조세채권의 실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납세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법에 규정된 신고, 납세 등 각종 의무를 위반한 경우에 개별 세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부과되는 행정상의 제재라고 할 수 있다.
가산세는 납세자의 고의, 과실은 고려되지 않는 반면, 납세의무자가 그 의무를 알지 못한 것이 무리가 아니었다고 할 수 있어 그를 정당시할 수 있는 사정이 있거나 그 의무의 이행을 당사자에게 기대하는 것이 무리라고 하는 사정이 있을 때 등 그 의무해태를 탓할 수 없는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부과할 수 없다(대법원 1997. 8. 22. 선고 96누15404 판결, 대법원 2003. 1. 10. 선고 2001두7886 판결 등 참조).
'조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례금의 의미 (0) | 2013.11.07 |
---|---|
상속세액의 할당을 위한 재산의 점유비율의 산정 방법 (0) | 2013.11.06 |
간주취득세 납부의무 (0) | 2013.11.05 |
원천징수하는 법인세에 대한 징수처분 취소소송 (0) | 2013.11.05 |
문화재 및 박물관자료에 대한 상속세 부과 여부 (0) | 2013.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