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급인의 유치권
가을사랑
유치권은 그 목적물에 관하여 생긴 채권이 변제기에 있는 경우에 비로소 성립하고(민법 제320조), 한편 채무자 소유의 부동산에 경매개시결정의 기입등기가 마쳐져 압류의 효력이 발생한 후에 유치권을 취득한 경우에는 그로써 그 부동산에 관한 경매절차의 매수인에게 대항할 수 없다(대법원 2009. 1. 15. 선고 2008다70763 판결 등 참조).
채무자 소유의 건물에 관하여 증·개축 등 공사를 도급받은 수급인이 경매개시결정의 기입등기가 마쳐지기 전에 채무자로부터 그 건물의 점유를 이전받았다 하더라도 경매개시결정의 기입등기가 마쳐져 압류의 효력이 발생한 후에 공사를 완공하여 공사대금채권을 취득함으로써 그때 비로소 유치권이 성립한 경우에는, 수급인은 그 유치권을 내세워 경매절차의 매수인에게 대항할 수 없다(대법원 2011. 10. 13. 선고 2011다55214 판결 참조)<대법원 2013.6.27. 선고 2011다50165 판결>.
'민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권자의 경락인에 대한 대항력 (0) | 2013.11.15 |
---|---|
공사대금 채권자의 유치권 행사 (0) | 2013.11.15 |
주식회사 대표이사의 손해배상책임 (0) | 2013.11.15 |
설계시공일관입찰 방식에 의한 도급계약 (0) | 2013.11.15 |
개인회생절차 (0) | 2013.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