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류분의 반환방법
가을사랑
우리 민법은 유류분제도를 인정하여 제1112조부터 제1118조까지 이에 관하여 규정하면서도 유류분의 반환방법에 관하여는 별도의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다만 제1115조 제1항이 “부족한 한도에서 그 재산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한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반환의무자는 통상적으로 증여 또는 유증 대상 재산 그 자체를 반환하면 될 것이나 위 원물반환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그 가액 상당액을 반환할 수밖에 없다 ( 대법원 2005. 6. 23. 선고 2004다51887 판결 등 참조).
원물반환이 가능하더라도 유류분권리자와 반환의무자 사이에 가액으로 이를 반환하기로 협의가 이루어지거나 유류분권리자의 가액반환청구에 대하여 반환의무자가 이를 다투지 않은 경우에는 법원은 그 가액반환을 명할 수 있지만, 유류분권리자의 가액반환청구에 대하여 반환의무자가 원물반환을 주장하며 가액반환에 반대하는 의사를 표시한 경우에는 반환의무자의 의사에 반하여 원물반환이 가능한 재산에 대하여 가액반환을 명할 수 없다(대법원 2013.3.14. 선고 2010다42624,42631 판결).
'가족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류분권리자의 목적물에 대한 사용·수익권 (0) | 2013.11.20 |
---|---|
유류분반환청구권의 행사방법 (0) | 2013.11.20 |
유류분반환의무의 이행지체책임 (0) | 2013.11.20 |
유류분반환청구권 (0) | 2013.11.20 |
상속재산의 협의분할은 계약이다 (0) | 2013.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