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이 개시될 당시에 상속인의 지위에 있었던 자

 

가을사랑

 

법 제4조 제1항은 상속세의 부과대상이 될 재산을 미리 증여의 형태로 이전하여 상속세의 부담을 부당하게 감소시키는 행위를 방지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상속인에 대한 증여를 상속인 이외의 자에 대한 증여보다 더 엄격하게 규율하고 있는 취지 등에 비추어 볼 때, 법 제4조 제1항 소정의 ‘상속인’이라 함은 상속이 개시될 당시에 상속인의 지위에 있었던 자, 즉 상속개시 당시 피상속인의 제1순위 상속인이었던 자만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상속이 개시된 후에 상속을 포기한 자도 위 규정 소정의 ‘상속인’에 해당한다( 대법원 1993. 9. 28. 선고 93누8092 판결 참조).

 

상속개시 후 상속을 포기한 제1순위 상속인이었던 자가 상속개시 전 5년 이내에 피상속인으로부터 재산을 증여받았을 경우 그 증여재산의 가액은 상속세 부과대상인 상속세과세가액에 포함되는데, 이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속세는 법 제18조 제1항 소정의 ‘상속인 또는 수유자(사인증여의 수증자 포함)’만이 그 납부의무를 부담하게 된다(대법원 2009.2.12. 선고 2004두10289 판결).

 

'가족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속재산의 협의분할  (0) 2013.11.27
유류분반환청구권  (0) 2013.11.26
유류분권리자의 목적물에 대한 사용·수익권  (0) 2013.11.20
유류분반환청구권의 행사방법  (0) 2013.11.20
유류분의 반환방법  (0) 2013.11.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