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화의 공급의 의미
가을사랑
부가가치세법 제6조 제1항, 제9조,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14조 등의 취지를 종합하면, 재화의 공급이란 계약상 또는 법률상의 모든 원인에 의하여 재화를 인도 또는 양도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부가가치세의 성질에 비추어 보면 그 인도 또는 양도는 재화를 사용·소비할 수 있도록 소유권을 이전하는 행위를 전제로 하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대법원 1995. 2. 10. 선고 93누18396 판결, 1996. 6. 11. 선고 96누3371 판결 등 참조).
사업자가 건물을 매도하기로 하는 매매계약을 체결한 다음, 매매대금이 청산되거나 거래상대방 명의로의 이전등기를 경료하기 이전이라도, 거래상대방으로 하여금 사실상 소유자로서 당해 건물에 대한 배타적인 이용 및 처분을 할 수 있도록 그 점유를 이전하였다면, 이는 부가가치세법상 재화의 공급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대법원 2006.10.13. 선고 2005두2926 판결).
'조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득금액변동통지가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에 해당하는지 여부 (0) | 2014.01.15 |
---|---|
법인의 손금에 전액 산입되는 판매 부대비용 (0) | 2014.01.15 |
업무와 관련 이 지급한 가지급금의 범위 (0) | 2014.01.10 |
조세의 이중과세회피와 탈세방지를 위한 협약 (0) | 2014.01.10 |
부동산 임대사업용 고정자산의 매입 등에 소요된 차입금에 대한 지급이자 (0) | 2014.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