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공개대상정보의 범위

 

가을사랑

 

* 정보공개법 제9조 제1항 제5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공개될 경우 업무의 공정한 수행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한다고 인정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라 함은 정보공개법 제1조의 정보공개제도의 목적 및 정보공개법 제9조 제1항 제5호의 규정에 의한 비공개대상정보의 입법 취지에 비추어 볼 때, 공개될 경우 업무의 공정한 수행이 객관적으로 현저하게 지장을 받을 것이라는 고도의 개연성이 존재하는 경우를 의미한다(대법원 2012.2.9. 선고 2010두14268 판결).

 

* 여기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비공개에 의하여 보호되는 업무수행의 공정성 등의 이익과 공개에 의하여 보호되는 국민의 알 권리의 보장과 국정에 대한 국민의 참여 및 국정운영의 투명성 확보 등의 이익을 비교·교량하여 구체적인 사안에 따라 신중하게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대법원 2003. 8. 22. 선고 2002두12946 판결, 대법원 2010. 6. 10. 선고 2010두2913 판결 등 참조).

 

*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는 ‘정보’라 함은 공공기관이 직무상 작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문서(전자문서를 포함한다)·도면·사진·필름·테이프·슬라이드 및 그 밖에 이에 준하는 매체 등에 기록된 사항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 “공공기관이 보유·관리하는 정보는 이 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공개하여야 한다.”

 

* “모든 국민은 정보의 공개를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 제9조 제1항 제5호는 비공개대상정보의 하나로 “감사·감독·검사·시험·규제·입찰계약·기술개발·인사관리·의사결정과정 또는 내부검토과정에 있는 사항 등으로서 공개될 경우 업무의 공정한 수행이나 연구·개발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한다고 인정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정보”를 규정하고 있다.

 

'민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여세가 면제되는 농지  (0) 2012.11.06
소멸시효 중단사유  (0) 2012.11.06
사생활의 비밀 보호  (0) 2012.11.06
채권자취소권의 제척기간  (0) 2012.11.06
법정지상권  (0) 2012.11.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