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수증서에 의한 유언의 방식
가을사랑
* 민법 제1065조 내지 제1070조가 유언의 방식을 엄격하게 규정한 것은 유언자의 진의를 명확히 하고 그로 인한 법적 분쟁과 혼란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 법정된 요건과 방식에 어긋난 유언은 그것이 유언자의 진정한 의사에 합치하더라도 무효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 민법 제1070조 제1항은 구수증서에 의한 유언은 질병 기타 급박한 사유로 인하여 민법 제1066조 내지 제1069조 소정의 자필증서, 녹음, 공정증서 및 비밀증서의 방식에 의하여 할 수 없는 경우에 허용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 유언자가 질병 기타 급박한 사유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유언자의 진의를 존중하기 위하여 유언자의 주관적 입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지 모르지만 자필증서, 녹음, 공정증서 및 비밀증서의 방식에 의한 유언이 객관적으로 가능한 경우까지 구수증서에 의한 유언을 허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대법원 1999. 9. 3. 선고 98다17800 판결).
'민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에 전세 사는 사람이 수선의무를 부담하는가? (0) | 2012.12.21 |
---|---|
계약의 합의해지와 의사표시의 합치 (0) | 2012.12.21 |
상속재산의 분할방법 (0) | 2012.12.20 |
이혼할 때 부부 간의 재산분할의 원칙과 예외 (0) | 2012.12.17 |
부부간의 일상가사대리권의 범위 (0) | 2012.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