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차인이 있는 경우의 임대차계약의 해지
가을사랑
* 민법 제638조 제1항, 제2항 및 제635조 제2항에 의하면 임대차계약이 해지 통고로 인하여 종료된 경우에 그 임대물이 적법하게 전대되었을 때에는 임대인은 전차인에 대하여 그 사유를 통지하지 아니하면 해지로써 전차인에게 대항하지 못한다.
* 전차인이 그 통지를 받은 때에는 토지, 건물 기타 공작물에 대하여는 임대인이 해지를 통고한 경우에는 6월, 임차인이 해지를 통고한 경우에는 1월, 동산에 대하여는 5일이 경과하면 해지의 효력이 생긴다.
* 민법 제640조에 터 잡아 임차인의 차임연체액이 2기의 차임액에 달함에 따라 임대인이 임대차계약을 해지하는 경우에는 전차인에 대하여 그 사유를 통지하지 않더라도 해지로써 전차인에게 대항할 수 있고, 그 해지의 의사표시가 임차인에게 도달하는 즉시 임대차관계는 해지로 종료된다(대법원 2012.10.11. 선고 2012다55860 판결).
'민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에게 임금 대신 채권을 양도하는 경우 (0) | 2013.01.06 |
---|---|
법률상담의 요령 (0) | 2013.01.05 |
임대차보증금에서 공제할 수 있는 범위 (0) | 2013.01.04 |
주택임대차보호법에 의해 임차인이 가지는 우선변제권 (0) | 2013.01.04 |
옥외집회금지통고처분취소 (0) | 2013.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