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임대차보호법에 의해 임차인이 가지는 우선변제권
가을사랑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적용되는 임대차는 반드시 임차인과 주택 소유자인 임대인 사이에 임대차계약이 체결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주택 소유자는 아니더라도 주택에 관하여 적법하게 임대차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임대인과 임대차계약이 체결된 경우도 포함된다. 이 경우에도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적용된다.
대항요건 및 확정일자를 갖춘 임차인과 소액임차인은 임차주택과 그 대지가 함께 경매될 경우뿐만 아니라 임차주택과 별도로 그 대지만이 경매될 경우에도 그 대지의 환가대금에 대하여 우선변제권을 행사할 수 있다.
대항요건 및 확정일자를 갖춘 임차인과 소액임차인이 가지는 우선변제권은 이른바 법정담보물권의 성격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우선변제권은 임대차 성립 시의 임차 목적물인 임차주택 및 대지의 가액을 기초로 임차인을 보호하고자 인정되는 것이다.
임대차 성립 당시 임대인의 소유였던 대지가 타인에게 양도되어 임차주택과 대지의 소유자가 서로 달라진 경우에도 임차인은 그 대지의 경매대금에 대하여 우선변제권을 행사할 수 있다(대법원 2007. 6. 21. 선고 2004다26133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 이러한 법리는 여러 필지의 임차주택 대지 중 일부가 타인에게 양도되어 그 일부 대지만이 경매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대법원 2012.7.26. 선고 2012다45689 판결).
* 임차인이 대항력과 확정일자를 갖춘 후에 임대차계약이 갱신되더라도 대항력과 확정일자를 갖춘 때를 기준으로 종전 임대차 내용에 따른 우선변제권을 행사할 수 있다(대법원 1990. 8. 24. 선고 90다카11377 판결, 대법원 2002. 1. 25. 선고 2001다76427 판결 등 참조).
'민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차인이 있는 경우의 임대차계약의 해지 (0) | 2013.01.04 |
---|---|
임대차보증금에서 공제할 수 있는 범위 (0) | 2013.01.04 |
옥외집회금지통고처분취소 (0) | 2013.01.04 |
중개업자의 중개의 개념 (0) | 2013.01.04 |
임차인이 임차물에 대한 수선유지의무를 부담하는 경우 (0) | 2013.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