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재산의 부정소비

 

가을사랑

 

* 민법 제1026조 제1호는 상속인이 한정승인 또는 포기를 하기 이전에 상속재산을 처분한 때에만 적용되는 것이고, 상속인이 한정승인 또는 포기를 한 후에 상속재산을 처분한 때에는 그로 인하여 상속채권자나 다른 상속인에 대하여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될 경우가 있음은 별론으로 하고, 그것이 같은 조 제3호에 정한 상속재산의 부정소비에 해당되는 경우에만 상속인이 단순승인을 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 민법 제1026조 제3호에 정한 '상속재산의 부정소비'라 함은 정당한 사유 없이 상속재산을 써서 없앰으로써 그 재산적 가치를 상실시키는 행위를 의미한다.

 

<상속인이 상속재산을 처분하여 그 처분대금 전액을 우선변제권자에게 귀속시킨 것이라면, 그러한 상속인의 행위를 상속재산의 부정소비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고 한 사례>(대법원 2004. 3. 12. 선고 2003다63586 판결)

 

'민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해자의 기왕증  (0) 2013.01.14
상속재산의 처분행위  (0) 2013.01.09
상속의 한정승인  (0) 2013.01.09
상속비용의 범위  (0) 2013.01.09
참칭상속인에 대한 상속회복청구권의 포기  (0) 2013.01.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