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재산의 처분행위
가을사랑
<상속인이 피상속인의 갑에 대한 손해배상채권을 추심하여 변제받은 행위는 상속재산의 처분행위에 해당하고, 그것으로써 단순승인을 한 것으로 간주되었다고 할 것이므로, 그 이후에 한 상속포기는 효력이 없다고 한 사례>(대법원 2010.4.29. 선고 2009다84936 판결)
* 법정단순승인에 관한 민법 제1026조 제3호의 ‘상속재산의 은닉’이라 함은 상속재산의 존재를 쉽게 알 수 없게 만드는 것을 뜻하고, ‘상속재산의 부정소비’라 함은 정당한 사유 없이 상속재산을 써서 없앰으로써 그 재산적 가치를 상실시키는 것을 의미한다(대법원 2004. 3. 12. 선고 2003다63586 판결 참조).
* 법정단순승인에 관한 민법 제1026조 제3호의 ‘고의로 재산목록에 기입하지 아니한 때’라 함은 한정승인을 함에 있어 상속재산을 은닉하여 상속채권자를 사해할 의사로써 상속재산을 재산목록에 기입하지 않는 것을 뜻한다(대법원 2003. 11. 14. 선고 2003다30968 판결 참조).
'민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언집행자의 권리와 의무 (0) | 2013.01.15 |
---|---|
피해자의 기왕증 (0) | 2013.01.14 |
상속재산의 부정소비 (0) | 2013.01.09 |
상속의 한정승인 (0) | 2013.01.09 |
상속비용의 범위 (0) | 2013.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