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권과 더불어 주택임대차보호법상의 대항력을 갖추는 경우
가을사랑
* 주택에 관하여 최선순위로 전세권설정등기를 마치고 등기부상 새로운 이해관계인이 없는 상태에서 전세권설정계약과 계약당사자, 계약목적물 및 보증금(전세금액) 등에 있어서 동일성이 인정되는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여 주택임대차보호법상 대항요건을 갖추었다면, 전세권자로서의 지위와 주택임대차보호법상 대항력을 갖춘 임차인으로서의 지위를 함께 가지게 된다.
* 이러한 경우 전세권과 더불어 주택임대차보호법상의 대항력을 갖추는 것은 자신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지 원래 가졌던 권리를 포기하고 다른 권리로 대체하려는 것은 아니다.
* 자신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하여 설정한 전세권으로 인하여 오히려 주택임대차보호법상의 대항력이 소멸된다는 것은 부당하다.
* 동일인이 같은 주택에 대하여 전세권과 대항력을 함께 가지므로 대항력으로 인하여 전세권 설정 당시 확보한 담보가치가 훼손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 최선순위 전세권자로서 배당요구를 하여 전세권이 매각으로 소멸되었다 하더라도 변제받지 못한 나머지 보증금에 기하여 대항력을 행사할 수 있고, 그 범위 내에서 임차주택의 매수인은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대법원 2010.7.26. 자 2010마900 결정).
'민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찰계에서 계주와 그 남편의 계금지급의무 연대책임 (0) | 2013.02.18 |
---|---|
보험금액청구권의 소멸시효기간 (0) | 2013.02.18 |
임대차관계의 현황조사 (0) | 2013.02.18 |
임대차보증금반환채무가 재산분할 대상인지 여부 (0) | 2013.02.18 |
임차인명의변경 계약서에 대한 확정일자 (0) | 2013.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