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부 경개계약의 효력
가을사랑
* 경개계약은 구채무를 소멸시키고 신채무를 성립시키는 처분행위로서 구채무의 소멸은 신채무의 성립에 의존하므로, 경개로 인한 신채무가 원인의 불법 또는 당사자가 알지 못한 사유로 인하여 성립되지 아니하거나 취소된 때에는 구채무는 소멸되지 않는 것이며(민법 제504조), 특히 경개계약에 조건이 붙어 있는 이른바 조건부 경개의 경우에는 구채무의 소멸과 신채무의 성립 자체가 그 조건의 성취 여부에 걸려 있게 된다(대법원 2007.11.15. 선고 2005다31316 판결).
'민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생활과 관련된 사항의 공개행위의 위법성 판단 기준 (0) | 2013.03.15 |
---|---|
등기원인이 무효인 증여의 경우 증여세 부과 여부 (0) | 2013.03.15 |
경락허가결정의 효력을 다투는 경우 (0) | 2013.03.15 |
임차인의 우선변제권 행사방법 (0) | 2013.03.15 |
임대인이 임차주택을 양도한 경우 (0) | 201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