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승인에 의한 상속인의 책임의 제한
가을사랑
* 한정승인에 의한 책임의 제한은 상속채무의 존재 및 범위의 확정과는 관계가 없고 다만 판결의 집행대상을 상속재산의 한도로 한정함으로써 판결의 집행력을 제한할 뿐이다.
* 채권자가 피상속인의 금전채무를 상속한 상속인을 상대로 그 상속채무의 이행을 구하여 제기한 소송에서 채무자가 한정승인 사실을 주장하지 않으면, 책임의 범위는 현실적인 심판대상으로 등장하지 아니하여 주문에서는 물론 이유에서도 판단되지 않는 것이므로 그에 관하여는 기판력이 미치지 않는다.
* 채무자가 한정승인을 하고도 채권자가 제기한 소송의 사실심 변론종결시까지 그 사실을 주장하지 아니하는 바람에 책임의 범위에 관하여 아무런 유보가 없는 판결이 선고되어 확정되었다고 하더라도, 채무자는 그 후 위 한정승인 사실을 내세워 청구에 관한 이의의 소를 제기하는 것이 허용된다고 봄이 옳다(대법원 2006.10.13. 선고 2006다23138 판결).
'가족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정승인을 할 수 있는 기간 (0) | 2013.03.25 |
---|---|
상속에 관한 비용과 한정승인 (0) | 2013.03.21 |
양도소득세와 한정승인을 한 상속인 (0) | 2013.03.21 |
상속포기 (0) | 2013.03.21 |
상속재산의 부정소비 (0) | 201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