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에 대한 증여가액의 산정시기
가을사랑
* 대법원 1997. 3. 14. 선고 96누3517 판결
토지와 건물에 대한 임료의 총액은 알 수 있으나 토지와 건물의 임료의 구분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그 구분은 그 비율이 현저하게 불합리하다고 볼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토지와 건물의 기준시가에 의한 가액에 비례하여 안분계산하는 방식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대법원 1993. 6. 11. 선고 93누1435 판결 참조).
이 사건 건물의 증여시기를 이 사건 건물이 사실상 완공된 때라고 보는 이상 증여가액의 산정도 이 때를 기준으로 하여야 할 것이고, 이 사건 건물에 대한 사용·수익기간이 만료되는 10년 후를 기준으로 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
'조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거용이 아닌 건물의 용도 (0) | 2014.08.25 |
---|---|
조세회피행위의 효력을 부인하기 위한 조건 (0) | 2014.08.25 |
이월결손금의 중복공제 허용 여부 (0) | 2014.08.25 |
증여세가 부과되는 재산의 가액 (0) | 2014.08.21 |
증여재산의 가액에 대한 평가상의 차이로 인하여 미납부한 세액 (0) | 2014.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