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금도 이혼 시 재산분할이 가능하다

비록 이혼 당시 부부 일방이 아직 재직 중이어서 실제 퇴직급여를 수령하지 않았더라도 이혼소송의 사실심 변론종결 시에 이미 잠재적으로 존재하여 그 경제적 가치의 현실적 평가가 가능한 재산인 퇴직급여채권은 재산분할의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혼소송의 사실심 변론종결 시를 기준으로 그 시점에서 퇴직할 경우 수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퇴직급여 상당액의 채권이 그 대상이 된다고 할 것이다(대법원 2014. 7. 16. 선고 2013므2250 전원합의체 판결).

'가족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수정에 관하여  (0) 2018.07.07
친권자 및 양육권자 지정 방법  (0) 2018.07.04
부부의 부양의무  (0) 2018.07.04
재산분할청구권  (0) 2018.07.02
이혼 시 재산분할제도의 의의  (0) 2018.06.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