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할 때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일상의 생활에서 쉽게 놓치는 장면들도 막상 영화관에 가서 집중하고 있으면 많이 들어오는 경우를 느낀다. 그것은 우리가 어느 한 곳에 정신을 쏟고, 관심을 가지고 집중하기 때문이다.

 

사랑도 마찬가지다. 사랑하게 되면, 상대에게 집중한다. 그의 말 한 마디, 섬세한 동작 하나, 희로애락의 감정 표현에 신경을 쓴다. 상대의 단점은 묻히고, 장점만 부각된다.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상대의 내면에 깊숙이 들어박혀있는 잠재력까지 엿볼 수 있다.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분명히 남과 다른 특수한 점이 있다. 그러한 특성은 오직 사랑하는 사람만이 지각할 수 있다. 오직 한 사람에게만 보여진다. 매슬로도 이런 점에 착안하여 이렇게 말하고 있다.

 

 

<사랑하지 않을 때보다는 사랑할 때 그 대상이 가지고 있는 내재적 특성들을 더 깊이 있게 지각할 수 있다. 사랑은 그 대상에 몰입하게 만들고 따라서 그 대상을 관심을 가지고 열중해서 반복적으로 지각하게 한다.

 

다른 사람들은 볼 수 없지만, 연인들은 서로의 잠재력을 볼 수 있다. 흔히 우리는 사랑이 눈을 멀게 한다고 말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사랑할 때 더 깊이 지각할 수도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물론 이 말은 아직 실현되지 않은 잠재력을 지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존재의 심리학, 아브라함 매슬로, 194쪽에서 -

 

매슬로의 지적은 매우 정확하다. 사랑할 때 두 사람은 서로의 내면을 통찰하게 된다. 그래서 상대방의 잠재력과 우수성, 독특한 개성을 예리하게 찾아낸다. 그런 이유로 상대방에게 필이 꽂히고, 그 때문에 진한 사랑에 빠져 헤어나지 못한다.

 

인간은 쾌락을 추구하는 존재다. 쾌락의 종류는 다양하고, 그 내용이 다르다. 단순히 존재의 어떤 무엇을 해소시키는 정도에 불과한 쾌락이 있고, 존재 그 자체의 발전과 존재의의를 충족시키는 상위 단계의 쾌락이 있다.

 

<에리히 프롬은 결핍 쾌락과 충만 쾌락, 즉 욕구의 충족이라는 하위 쾌락과 통찰력의 생산, 창조, 성장이라는 상위 쾌락을 구분한다. 쾌락을 충족시켰을 때 뒤따라오는 포만감, 이완, 긴장의 상실은 기껏해야 해소라고 부를 만한 것이다.

 

이것은 개인이 원활하고 완전하게 기능하고 있을 때, 그리고 자기 능력의 최고조에서, 말하자면 최상의 활동 상태에서 경험하는 열정, 황홀경, 평온함과는 대조된다. 해소는 사라지는 어떤 것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데, 해소 그 상태 자체도 실은 사라지기가 쉽다.

 

성장을 수반하는 쾌락은 꾸준히 지속될 수 있지만, 해소는 덜 안정적이고, 덜 지속적이며, 덜 일관적임에 틀림없다.>

- 존재의 심리학, 아브라함 매슬로, 125쪽에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