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읽는 소설, <리투아니아 여인> (12)

 

1. Miller wrote The Crucible when America was prosecuting alleged communists. Originating with a presidential executive order, the “red scare” became an obsession, ripping through all aspects of American life from the state department to Hollywood.

 

밀러는 아메리카가 공산주의자로 추정되는 사람들을 처벌하던 시기에 <시련>이라는 희곡을 썼다. “적색 공포는 망령이 되어 행정부로부터 할리우드에 이르는 미국의 모든 생활을 쪼개놓았다.

 

scare [skεǝr] vt.

위협하다, 놀라게겁나게하다

n.

(공연한) , 쓸데없이 놀라기, 이유 없는 공포; 소동

┈┈• a war ~ 전쟁의 불안, 전쟁 소동, 난리.

② 〖공황.

(the ~) 美俗협박, 으름짱.

as·pect [ǽspekt] n.

① ?? 양상, 모습, 외관, (사람의) 용모, 표정

국면, 정세(phase)

*rip¹ [rip] vt. (-pp-)

쪼개다, 째다, 찢다up

⑤ 《~+?/+?+?》 폭로하다

┈┈• ~ (up) old scandals 묵은 스캔들을 폭로하다.

ᛜob·ses·sion [ǝbséʃən] n.

? (귀신·망상·공포 관념 따위가) 을 사로잡음; ? 붙어서 떨어지지 않는 관념, 강박관념, 망상

al·léged [-d, -id] ɑ.

(근거 없이) 주장된, (주장자가) 말하는; 추정단정; 진위가 의심스러운

 

2. It was a campaign of fear that turned people against each other, destroying lives, careers and friendships in its wake.

 

그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에 대하여 등을 돌리게 하고, 원래 있던 삶와 직업, 우정관계를 파괴하는 조직적인 운동이었다.

 

wake¹ [weik]

잠깨다, 일어나다up

 

3. Miller wrote that it “paralysed a whole generation and in a short time dried up the habits of trust and toleration”.

 

밀러는 그것은 전체 세대를 마비시켰고, 짧은 시간에 신뢰와 관용의 관습을 메마르게 했다고 지적했다.

 

4. Miller felt compelled to respond. Worried about being identified as a “red” himself, he turned to the Salem witch trials of 1692 as an allegory.

 

밀러는 그것에 대항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꼈다. 그 자신이 공산주의자로 판정받는 것을 두려워해서, 그는 하나의 우화로 1692년의 살렘마녀재판으로 관심을 두었다.

 

5. In Act 3 of the play the big trial scene the judge says: “A person is either with this court or he must be counted against it, there be no road between.”

 

희곡의 3커다란 재판 장면 재판관은 말한다. “모든 사람은 이 법정에 따라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는 이 법정에 대항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양자 사이에 다른 길은 없다.”

 

6. The “programme” in The Crucible is the prosecution of more than 150 men and women accused of witchcraft.

 

<시련> 연극의 프로그램에서 150명이 넘는 남자와 여자가 마녀혐의를 받고 처형된다.

 

ᛜwítch·cràft n.

? 마법, 요술, 주술; 마력; 매력.

 

<해설>

1. 밀러는 배제와 금지라는 개념에 고착된 사회를 만든 집단공동체의 모순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Miller talks about the paradox of a community that has created a society grounded in the idea of “exclusion and prohibition”).

 

2. 그것의 유일한 역할은, “함께 단합해서, 사회를 파멸시킬 수 있는 그 어떤 불일치, 다른 것을 방지함으로써 집단공동체를 보호하는 것이다(Its sole function is to keep the community “together, and to prevent any kind of disunity that might open it to destruction”).

 

dis·uni·ty [disjúːnǝti] n.

? 불통일(disunion); 불일치, 부조화; 분열, 불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