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거래에 있어서 허위 과장광고의 한계와 사기죄
가을사랑
* 거래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에 관하여 구체적 사실을 거래상의 신의성실의 의무에 비추어 비난받을 정도의 방법으로 허위로 고지한 경우에는 과장, 허위광고의 한계를 넘어 사기죄의 기망행위에 해당한다(대법원 2002. 2. 5. 선고 2001도5789 판결, 대법원 2008.10.23. 선고 2008도6549 판결 참조).
* 사기죄의 요건으로서의 기망은 널리 재산상의 거래행위에 있어서 서로 지켜야 할 신의와 성실의 의무를 저버리는 모든 적극적 및 소극적 행위로서 사람으로 하여금 착오를 일으키게 하는 것을 말한다.
* 사기죄의 본질은 기망에 의한 재물이나 재산상 이익의 취득에 있고 상대방에게 현실적으로 재산상 손해가 발생함을 그 요건으로 하지 아니한다.
* 일반적으로 상품의 선전, 광고에 있어 다소의 과장, 허위가 수반되는 것은 그것이 일반 상거래의 관행과 신의칙에 비추어 시인될 수 있는 한 기망성이 결여된다 할 것이다.
'민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업관계의 정산방법 (0) | 2012.12.28 |
---|---|
묵시적으로 갱신된 주택임대차기간 (0) | 2012.12.26 |
판매용 음반 재생과 공연권 침해 (0) | 2012.12.25 |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의 임의적 소송신탁 (0) | 2012.12.25 |
커피숍에서 배경음악으로 공연한 경우 (0) | 2012.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