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CP제도는 중소식품업체 혼자의 힘으로 할 수 없다
가을사랑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HACCP제도의 도입과 확대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조속한 시일 내에 정착되어야 한다.
그러나 막상 어려운 경제 여건에서 생산 판매활동에 전념하면서 적자생존해야 하는 식품사업체의 입장에서 보면 HACCP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일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간다.
때문에 현재 많은 식품업체들이 법에서 HACCP제도를 시행하라고 하니까 하려고 노력을 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업체에서는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영세업체의 경우 사업자가 직원들이 소규모로 생산에만 급급하고 있어 고도의 전문지식과 경험이 필요한 HACCP에 대해 이해하고, 선행요건관리기준과 HACCP관리기준을 만들어 본격적으로 시행하는 것은 독자적으로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새로운 제도를 법에 의해 강제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행정기관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행정지도활동을 하고, 그에 따라 기업체에서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분야별, 업종별 HACCP 관리기준 모델을 만들어 보급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기존에 HACCP을 인증받은 기업체에서도 HACCP관리기준이 특별한 기업비밀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사회에 기여한다는 차원에서 일반인에게 공개할 필요도 있다.
대부분의 기업체에서는 자신들도 많은 비용을 들였고, 인증을 받기 위해 고생을 했기 때문에 애써 만든 HACCP의 내용과 관리기준에 대해서는 대외비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국가 사회적으로 불필요한 시간과 인력의 낭비라고 볼 수 있다.
HACCP제도는 근본적으로 일반 소비자들을 위해 안전한 식품제조과정을 담보하기 위한 것이므로, 국가가 더 적극적으로 기업체를 지원하여 손쉽게 HACCP제도를 시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언뜻 보기에는 HACCP제도가 식품업체를 위한 제도인 것처럼 보이나, 실제적으로 일반 소비자들, 다시 말하면 국민들이 안전한 먹거리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기 때문에 식품업체를 위해서라기보다는 국민을 위해 정부나 행정기관에서 더 알기 쉽고, 간편한 방법으로 기업체에서 HACCP을 도입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 지금처럼 모든 책임을 식품제조업에 떠넘기고 행정기관이나 대기업에서 별로 도와주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면, 중소식품업체의 불만은 크게 팽배하고, 나아가 HACCP제도의 좋은 취지도 많이 퇴색될 위험이 있다.
'HACC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가품질검사 (0) | 2015.01.08 |
---|---|
SUS와 스테인레스의 차이 (0) | 2015.01.07 |
금속 이물에 대한 법적 규격 (0) | 2015.01.07 |
아이스크림과 세균 검사 (0) | 2015.01.06 |
한계기준 (0) | 201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