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처분계획 변경의 효력
사업시행자가 관리처분계획을 변경·중지 또는 폐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분양신청의 현황을 기초로 분양설계, 분양대상자의 주소 및 성명, 분양대상자별 분양예정인 대지 또는 건축물의 추산액, 분양대상자별 종전의 토지 또는 건축물의 명세 및 사업시행인가의 고시가 있은 날을 기준으로 한 가격, 정비사업비의 추산액 및 그에 따른 조합원 부담규모 및 부담시기, 분양대상자의 종전의 토지 또는 건축물에 관한 소유권 외의 권리명세, 세입자별 손실보상을 위한 권리명세 및 그 평가액, 그 밖에 정비사업과 관련한 권리 등에 대하여 시장·군수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당초 관리처분계획의 주요 부분을 실질적으로 변경하는 내용으로 새로운 관리처분계획을 수립하여 시장·군수의 인가를 받은 경우에는 당초 관리처분계획은 달리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효력을 상실한다.
이때 당초 관리처분계획이 효력을 상실한다는 것은 당초 관리처분계획이 유효하게 존속하다가 변경 시점을 기준으로 장래를 향하여 실효된다는 의미이지 소급적으로 무효가 된다는 의미가 아니다.
이러한 법리는 변경된 관리처분계획이 당초 관리처분계획의 주요 부분을 실질적으로 변경하는 정도에 이르지 않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할 것이므로, 이와 같은 경우 당초 관리처분계획 중 변경되는 부분은 장래를 향하여 실효된다고 보아야 한다(대법원 2016. 6. 23. 선고 2014다16500 판결).
'건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합이 조합원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기 위한 요건 (0) | 2018.02.05 |
---|---|
재건축조합원이 알아야 할 사항 (0) | 2018.02.05 |
재건축사업의 진행절차 (0) | 2018.01.29 |
점포가 화재로 소멸한 경우 (0) | 2018.01.25 |
재건축조합의 정관에 포함시켜야 할 사항 (0) | 2018.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