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이와 홍랑의 사랑법

조선시대 중종 때 송도에서 태어난 황진이는 아름다운 미모와 문학적 소양, 예술적 기예를 두루 갖추었다. 황진이는 지족선사를 파계시킬 정도의 매력이 있었고, 화담 서경덕과 평생 사제지간을 맺을 정도의 교양이 있었다. 그러나 그녀는 말년에 전국을 돌아다니다가 외롭게 죽었다.

<청산(靑山)은 내 뜻이요 녹수(綠水)는 님의 정이/ 녹수 흘러간들 청산이야 변할 손가/ 녹수도 청산을 못 잊어 울어예어 가는고> [황진이 시조에서]

사랑과 이별을 담은 애틋한 시조다. 여인의 가슴에 담긴 이별의 안타까움은 예나 지금이나 다른 게 없다.

인간은 누구나 아름다운 사랑을 꿈꾼다. 자신의 마음에 깊은 정을 남기는 상대를 향해 애틋한 연정을 가슴에 품는다. 그것이 정이다. 그것이 사랑이다. 인간의 애정이다.

황진이의 사랑! 애틋한 정은 흘러흘러 오늘에도 젊은 사람들의 피에 흐른다. ‘내가 너를 사랑하는데, 내가 너를 어떻게 보내?’ 이것은 사랑하는 사람의 절규다. ‘나를 완전히 사로잡은 네가 어떻게 나를 떠날 수 있다는 거야?’ 그것은 정당한 주장이고, 정당한 요구다.

‘죽어도 못 보내/ 내가 어떻게 널 보내/ 가려거든 떠나려거든 내 가슴 고쳐내/ 아프지 않게 나 살아갈 수라도 있게/ 안 된다면 어차피 못살 거/ 죽어도 못 보내/ 아무리 니가 날 밀쳐도 끝까지 붙잡을 거야 어디도 가지 못하게’(2AM, 죽어도 못 보내, 가사 중에서)

사대부 최경창과 애절한 사랑을 나눈 여인 홍랑은 조선시대 함경남도 홍원에서 살았던 기생이다. 1573년 선조 6년, 최경창은 경성(鏡城)에서 북도평사로 근무하면서 홍랑을 사랑했다. 최경창은 당대의 유명한 시인이다.

최경창이 서울로 돌아가게 되자, 홍랑은 쌍성에까지 따라와 아픈 이별을 했다. 홍랑은 최경창을 서울로 떠나보내고, 혼자 남아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함관령(咸關嶺)에 이르렀다. 마침 해가 져서 어두워지고 비가 내리고 있었다. 앞날을 기약할 수도 없는 딱한 처지에 있는 한 여인이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내고 느끼는 처참한 심정! 그 심정을 담아 그녀는 한 편의 시를 썼다.

<묏버들 갈 것거 보내노라 님의손/ 자시 창밧긔 심거두고 보소서/ 밤비에 새닙곳 나거든 날인가도 너기소서>[홍랑 지음]

얼마나 애절한가? 홍랑과 최경창은 그 뒤 서로 연락을 하지 못하고 지냈다. 그러다가 1년 후, 최경창이 서울에서 병이 들었다는 소식을 들은 홍랑은 서울로 찾아가 최경창을 지극정성으로 간호했다.

그 다음 해 홍랑은 혼자 고향인 홍원으로 돌아가 지내다가 8년 후 최경창이 죽자 몸을 단장하지 않고 최경창의 산소를 지켰다. 나중에 홍랑이 죽자, 사람들은 최경창의 산소 아래 홍랑의 산소를 만들어 장사지내주었다.

누구나 사랑과 이별을 경험하게 된다. 그것이 인간의 숙명이다. 그 누구도 피할 수 없는 삶의 한 과정이다. 그 이별의 아픔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는 모두 개인에게 달려 있다.

사랑이 절대성은 여기에서 나타난다. 한 사람을 사랑하는 것! 오직 한 사람에게만 마음을 주고, 그를 위해 일생을 바치는 것! 그것이 바로 순수한 사랑이다. 사랑의 지고지순한 최고의 가치다.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에는 단풍에 물들어  (0) 2020.10.24
너를 사랑할 때 가을이 왔다  (0) 2020.10.24
여행을 해보면 알게 된다  (0) 2020.10.23
공무원이 애인을 두는 경우  (0) 2020.10.23
사기꾼의 잔머리  (0) 2020.10.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