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의제 규정과 실질적인 소유권 귀속관계
가을사랑
구 상속세법(1993. 12. 31. 법률 제466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2조의2 제1항의 증여의제 규정은, 명의신탁 제도를 이용한 조세회피 행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조세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실질과세의 원칙에 대한 예외를 인정하는 데에 그 입법 취지가 있고,
이는 수탁자에게 증여세를 부과하는 경우에 한하여 적용될 수 있을 뿐이며, 가사 위 증여의제 규정이 적용되어 증여세가 부과되었다고 하더라도 당해 거래의 실질이 증여인 것으로 확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피상속인이 명의신탁을 하여 둔 재산에 대하여 그 수탁자에게 증여의제 규정이 적용되어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 재산이 신탁자인 피상속인의 소유에 속한 것이라는 실질에는 변함이 없으므로, 그 재산은 피상속인의 사망시 당연히 상속재산에 속한다고 보아야 한다 ( 대법원 2000. 11. 28. 선고 98두17937 판결 참조)<대법원 2004. 9. 24. 선고 2002두12137 판결>.
'조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기관의 대출채무가 피상속인의 채무인지 여부 (0) | 2014.04.07 |
---|---|
상속재산가액에서 공제할 피상속인의 채무 (0) | 2014.04.07 |
증여세와 상속세의 장기간의 제척기간 (0) | 2014.03.26 |
상속인 명의로 등기 등을 하지 아니한 경우 (0) | 2014.03.26 |
상속세 부과에 대한 제척기간 (0) | 2014.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