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CP의 확대 시행에 따른 정부의 책임
가을사랑
우리나라에 HACCP 제도가 도입된 것은 1995년이다. 벌써 20년의 세월이 흘렀다. 처음에는 미국에서 시작된 HACCP 제도가 여러 다른 나라에서 시행되는 것을 지켜보면서 제도에 관한 연구를 해오다가 마침내 우리나라에서도 도입한 것이다.
HACCP 시스템은 지금까지 연구된 식품 안전관리에 관한 제도 가운데에서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다만, 식품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현실적으로 식품생산 판매에 급급하다 보니, HACCP의 필요성을 알면서도 구체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원과 예산이 들어가는 관계로 무척 힘들어 하는 형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근원적으로 식품의 위생관리,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식품제조업체에서는 하루 빨리 HACCP 연구를 하여 이를 준비하고 시행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런데 HACCP 제도가 법령에 의한 것이기는 하나 지나치게 어려운 용어로 되어 있고, 기술적인 것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는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 측면이 많다. 정부에서 보급해 주는 HACCP 안내자료나 해설책자, 또는 인터넷을 통해서 접할 수 있는 관련 자료도 매우 제한적이고, 너무 어렵게 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HACCP 관리기준서나 선행요건 관리기준서는 굳이 비밀로 할 사항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미 인증을 받은 업체에서는 관리기준서를 일반에게 공개하지 않고 있다. 또한 행정청에서는 개별적인 식품생산업체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기준서 모델을 많이 만들어 보급해주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대로 하지 않고 있다.
그러다 보니 생산업무에 올인해야 할 사업자들이 불필요하게 HACCP 준비에 너무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고 있다.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규제완화, 규제개혁 차원에서 볼 때에도 이러한 행정청의 태도는 잘못이다. 더군다나 점차적으로 법적 의무사항으로 되어 있는 HACCP 적용업체의 입장에서는 HACCP의 강제적 시행 또는 법적 의무사항으로서의 시행을 해야 할 때 당연히 HACCP도 중요한 국민에 대한 행정부의 규제사항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HACCP제도를 법적으로 강제하는 경우라도, 일반인들이 그로 인해 지나친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정부에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HACCP 인증을 간편하고 쉽게 받을 수 있도록 모든 행정조치와 행정지도를 해야 한다. 기술적인 이유라는 만으로 그냥 방치하고 있기 때문에 영세한 식품회사에서는 하는 수 없이 천만원이 넘는 HACCP 컨설팅 비용을 지출해야 하는 실정이다.
그처럼 고비용을 지급하는 경우에도 실제 모든 일을 컨설팅 회사에서 대행해주는 것도 아니다. 컨설팅 업체에서는 실제 시험은 수험생이 보는 것처럼 실제로 모든 준비는 식품회사에서 하고, 자신들은 컨설팅만 해준다는 입장이다.
어찌 되었든 이제 HACCP은 상당한 범위의 식품회사에 대해서는 선택 사항이 아니라, 필수 의무사항이 되었다. 때문에 식품회사에서는 인원과 비용을 더 투입해서라도 하루 빨리 HACCP 준비를 하여 인증을 받고, 그에 따라 철저한 위생관리와 식품안전관리를 함으로써 기업체의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 높이고, 사회적으로도 식품안전문화에 기여하도록 하여야 한다.
'HACC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가품질검사제도의 강화 정책의 문제점 (0) | 2015.01.28 |
---|---|
축산물위생관리법의 주요 내용 (0) | 2015.01.22 |
HACCP제도의 역사 (0) | 2015.01.13 |
알기 쉽고 재미 있는 HACCP 이야기 (0) | 2015.01.13 |
HACCP에 있어서의 살균과 멸균 (0) | 201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