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에서 성공하는 비결


가을사랑



많은 사람들이 개인 사업을 하려고 준비를 한다. 물론 돈을 벌기 위해서는 사업도 해야 하고, 과감한 투자를 해야 한다. 그러나 문제는 너무 성급하게 사업을 시작하는 것은 곧 손해를 보게 되고, 나중에 후회를 하게 된다는 것이다.


세상을 너무 쉽게 보아서는 안 된다. 자기보다 어리석은 사람은 별로 없다. 모두 다 똑똑하고 열심히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돈을 번다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돈을 자기 주머니로 끌어넣는다는 것이다.


그것이 결코 쉽지 않다. 특히 머리가 좋은 사람들이 이런 착각에 빠진다. 자기가 머리가 좋고 학교 다닐 때 공부를 잘 했기 때문에 사회에서도 자기가 어떤 사업을 하면 공부처럼 잘 될 것으로 믿는 것이다.


그러나 학교에서 공부하는 것과 사회에서 사업을 하는 것은 전혀 다르다. 오히려 정 반대다. 공부란 혼자 열심히 하면 된다. 거기에는 상대가 없다. 장애물이 없다. 유일한 장애란 자신의 의지가 약하거나 자신의 건강이 뒷받침을 못해준다는 것뿐이다.


사업이란 기본적으로 혼자 하는 것이 아니다. 상대가 있고, 거래를 해야 한다. 아무리 혼자 잘 났어도 상대가 그것을 인정해 주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리고 예측하기 어려운 여러 가지 변수가 있고, 난관이 있다.


그것은 이론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직접 겪어보지 않으면 전혀 예상하지 못하고, 막상 닥쳤을 때에는 풀어나가기 어려운 문제들이다. 그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영업이 잘 될지 안 될지를 어떻게 눈으로 볼 수 있는가?


어리석은 사람은 아무리 봐도 보이지 않는다. 손님이 지금 당장은 많이 있지만, 그것은 점포를 팔아넘기기 위한 술수일 수 있다. 일시적으로 손님들이 많아 보이게끔 공짜로 대접을 하기도 한다. 친구들을 불러 앉아 있게 하기도 한다. 매출장부를 허위로 꾸면 보여주기도 한다.


중요한 것은 계속해서 그런 식으로 장사가 잘 될 것인지를 판단해야 하는데 그런 능력이 없으면 망하는 것이다. 그것은 오랜 시간에 걸친 직접적인 경험만이 판단할 수 있다.


장사란 자기 실력이 없으면 성공할 수 없다. 다른 사람의 힘에 의존하는 것은 안 된다. 주방장을 따로 두고 지배인들 따로 두어서는 그 사람들 좋은 일만 시키고 만다.


장사란 기본적으로 임대보증금, 권리금, 시설비, 월세, 인건비, 재료비, 관리비, 세금, 외상대금 등을 계산하면 웬만큼 장사를 잘 해서는 본전밖에 안 된다. 그리고 잘 되면 곧 다른 경쟁자들이 옆에 들어서고 난리를 친다.


장사가 잘 되면 월세를 많이 올리고 건물주인이 직접 그 영업을 하겠다고 임대계약을 연장해 주지 않는다. 장사가 안 되면 그 자체로 손해를 보게 된다. 임대기간내에는 보증금을 뺄 수도 없다. 중간에 그만 두면 권리금, 시설비 등 손해가 이만 저만이 아니다.


주변을 보면 그런 사람들이 너무 많다. 잘못 판단하고 세를 얻어 장사를 하다가 손해를 보는 사람들이 울며 겨자 먹기로 그만 두지도 못하고 시간을 보내고 있다. 속을 썩고 후회를 하고 거지가 된다. 그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어떤 장사를 하거나 사업을 시작할 때에는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 업종에 대한 경험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 남을 시켜 장사를 한다는 것을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밑에서부터 일을 배워야 한다. 충분한 노하우를 쌓아야 한다.


그리고 지리적 위치를 잘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장사가 잘 되었을 때와 안 되었을 때 각각 어떤 문제가 있고, 어떤 변화가 예상되는지 사전에 잘 연구해야 한다. 돈을 버는 것은 하늘에 별을 따는 것과 마찬가지다.


세상은 결코 만만치 않다. 그러므로 돈을 버는 사람들을 존경해야 한다. 거저 돈을 버는 사람들은 없다. 직장에 다니는 사람은 사업을 하기 위해 직장을 그만둘 때는 더욱 신중해야 한다.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의 의미와 새해  (0) 2008.02.09
남녀의 조화  (0) 2008.02.01
연예기획사의 실상  (0) 2008.01.31
종교인들의 모습  (0) 2008.01.27
나훈아의 카리스마  (0) 2008.01.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