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
가을사랑
법령이 특정한 사업을 영위하거나 특정한 행위를 하는 데에 면허, 허가 등을 받거나 신고 등을 하도록 요구하면서 그러한 절차를 위반하여 사업 또는 행위를 한 경우에는 위반행위와 관련된 물건의 소지와 판매 등을 금지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사정만을 들어 물건의 멸실 또는 훼손으로 인하여 입게 된 손해의 배상을 구할 수 없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그와 같은 경우에 물건의 멸실 또는 훼손으로 인한 손해의 배상을 구할 수 있는지는 법령의 입법 취지와 행위에 대한 비난가능성의 정도 특히 그 위반행위가 가지는 위법성의 강도 등을 종합하여 구체적, 개별적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대법원 2012.1.12. 선고 2010다79947 판결).
감정인의 감정 결과는 그 감정방법 등이 경험칙에 반하거나 합리성이 없는 등의 현저한 잘못이 없는 한 이를 존중하여야 한다( 대법원 1997. 2. 11. 선고 96다1733 판결, 대법원 2007. 2. 22. 선고 2004다70420, 70437 판결 등 참조).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사건에서 피해자에게 손해의 발생이나 확대에 관하여 과실이 있는 경우에는 배상책임의 범위를 정함에 있어서 당연히 이를 참작하여야 할 것이나, 과실상계 사유에 관한 사실인정이나 그 비율을 정하는 것은 그것이 형평의 원칙에 비추어 현저히 불합리하다고 인정되지 않는 한 사실심의 전권사항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대법원 2002. 1. 18. 선고 2001다62251, 62268 판결, 대법원 2002. 11. 26. 선고 2002다43165 판결 등 참조).
'민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무인수의 성격 (0) | 2013.11.19 |
---|---|
당사자표시 정정의 보정명령 (0) | 2013.11.18 |
임대주택의 양수인의 채권가압류의 제3채무자 지위 승계 여부 (0) | 2013.11.15 |
경매개시결정의 기입등기 이후 유치권을 취득한 경우 (0) | 2013.11.15 |
전세권자의 경락인에 대한 대항력 (0) | 2013.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