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워도 다시 한번

1968년 상영된 정소영 감독의 영화 ‘미워도 다시 한번’은 오랫동안 한국인의 심금을 울렸다.

젊은 미혼 여자가 기혼 남자와 사랑에 빠진다. 하지만 남자의 아내가 나타남으로써 두 사람은 헤어진다. 뒤늦게 임신 사실을 알게 된 여자는 아이를 낳아 기른다. 아이가 자라자 여자는 아이의 장래를 위해 남자에게 아이를 보낸다.

죽도록 사랑했던 남자에게 배신 당하고, 그 후 혼자서 겪는 지독한 아픔과 시련, 자식에 대한 뜨거운 모성애가 영화 전편에 짙게 깔려 있다. 1960년대 말 시대상황이 여성은 아무리 발버둥쳐도 상황을 바꿀 수 없다는 가부장제 남성 중심의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약한 위치에 있는 여성들의 눈물샘을 자극시켜 대히트했다.

물론 오늘날의 우리 사회에서 젊은 남녀가 느끼는 가치관과는 많이 다르다. 당시에는 기혼 남성이 이혼하고 새로 사랑하는 여성과 결혼한다는 생각을 거의 하기 어려운 분위기였다. 그래서 여성은 숨어서 살아가는 존재가 될 수밖에 없었다.

남성이 숨겨놓고 두집 살림을 하는 것이 아니고, 돌아서 버리면 아이를 혼자서 키우면서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외롭고 사회에서 손가락질을 당하는 비참한 상황이 된다.

이런 여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몹시 냉정했고 일방적인 비난대상이 되었다. 그런 상황에서 그 여성은 다른 여성들로부터 동정을 받게 되었다.

영화의 스토리는 비교적?단순하지만, 나는 이 영화가?만들어낸 '미워도 다시 한번'이라는 말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 비중을 두고 싶다. 서로가 뜨겁게 사랑했던 남자와 여자 사이의 정은 다른 사람이 알 수 없다.

살 속 깊이 자리 잡은 운우지정을 어찌하랴? 그래서 사랑했다가 어쩔 수 없는 상황 때문에 서로 헤어지고, 다시 만날 수 없어도 사랑은 변형된 형태로 남게 마련이다.

겉으로는 미워하면서도 꼴보기 싫어하면서도 그?내면 깊이 남아 있는 사랑의 존재는 때로 보고도 싶고, 다시 다가가고도 싶은 모순된?무의식을 내포하게 된다. 그게 사랑의 모순이다. 사랑의 비극이다.

‘미워도 다시 한번’이라는 말 다음에 어떤 표현이 들어가야 맞을까? 분명 다시 한번 무엇을 어떻게 한다는 단어가 생략되어 있는 것인데, 과연 그 말은 무엇일까?

남진이 부른 주제가는 두고 두고 불리워지는 고전이 되었다.
<이 생명 다 바쳐서 죽도록 사랑했고
순정을 다 바쳐서 믿고 또 믿었건만
영원히 그 사람을 사랑해선 안 될 사람
말없이 가는 길에 미워도 다시 한번
아 아 안녕>
- 남진, 미워도 다시 한번, 가사 중에서 -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 없으면 살 수 없다  (0) 2021.03.11
봄이 온 것은 너 때문이다.  (0) 2021.03.11
이혼할 때는 하더라도...  (0) 2021.03.11
어리석음에서 벗어나자  (0) 2021.03.11
직은 운명 (2)  (0) 2021.03.11

<미워도 다시 한번>

 

지나온 시간,

우리는 얼마나 울었던가?

서로 부둥켜안고

얼마나 아파했던가?

 

목숨을 다바쳐서 죽도록 사랑해야

진정한 사랑이다

영원히 사랑해야 진심이다.

 

진실한 사랑은 오직 하나뿐이다.

그래야 사랑의 빛이 난다.

그 빛은 생명이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점에서  (0) 2021.02.12
<Dust in the wind>  (0) 2021.02.12
오늘 밤에는  (0) 2021.02.11
사랑이 떠난 자리  (0) 2021.02.11
겨울 열차  (0) 2021.02.11


<미워도 다시 한번>

1968년 상영된 정소영 감독의 영화‘미워도 다시 한번’은 오랫동안 한국인의 심금을 울렸다.

젊은 미혼 여자가 기혼 남자와 사랑에 빠진다. 하지만 남자의 아내가 나타남으로써 두 사람은 헤어진다. 뒤늦게 임신 사실을 알게 된 여자는 아이를 낳아 기른다. 아이가 자라자 여자는 아이의 장래를 위해 남자에게 아이를 보낸다.

죽도록 사랑했던 남자에게 배신당하고, 그 후 혼자서 겪는 지독한 아픔과 시련, 자식에 대한 뜨거운 모성애가 영화 전편에 짙게 깔려 있다. 1960년대 말 시대상황이 여성은 아무리 발버둥쳐도 상황을 바꿀 수 없다는 가부장제 남성 중심의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약한 위치에 있는 여성들의 눈물샘을 자극시켜 대히트했다.

48년이 지난 오늘 날의 우리 사회에서 젊은 남녀가 느끼는 가치관과는 많이 다르다. 당시에는 기혼 남성이 이혼하고 새로 사랑하는 여성과 결혼한다는 생각을 거의 하기 어려운 분위기였다. 그래서 여성은 숨어서 살아가는 존재가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남성이 숨겨놓고 두집 살림을 하는 것이 아니고, 돌아서 버리면 아이를 혼자서 키우면서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외롭고 사회에서 손가락질을 당하는 비참한 상황이 되는 것이다. 이런 여성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몹시 냉정했고 일방적인 비난대상이 되었다. 그런 상황에서 그 여성은 다른 여성들로부터 동정을 받게 되었다.

영화의 스토리는 비교적 단순하지만, 나는 이 영화가 만들어낸 '미워도 다시 한번'이라는 말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 비중을 두고 싶다. 서로가 뜨겁게 사랑했던 남자와 여자 사이의 정은 다른 사람이 알 수 없다.

살 속 깊이 자리 잡은 운우지정을 어찌하랴? 그래서 사랑했다가 어쩔 수 없는 상황 때문에 서로 헤어지고, 다시 만날 수 없어도 사랑은 변형된 형태로 남게 마련이다.

겉으로는 미워하면서도 꼴보기 싫어하면서도 그 내면 깊이 남아 있는 사랑의 존재는 때로 보고도 싶고, 다시 다가가고도 싶은 모순된 무의식을 내포하게 된다. 그게 사랑의 모순이다. 사랑의 비극이다.

‘미워도 다시 한번’이라는 말 다음에 어떤 표현이 들어가야 맞을까? 분명 다시 한번 무엇을 어떻게 한다는 단어가 생략되어 있는 것인데, 과연 그 말은 무엇일까?

남진이 부른 주제가는 두고 두고 불리워지는 고전이 되었다.
<이 생명 다 바쳐서 죽도록 사랑했고
순정을 다 바쳐서 믿고 또 믿었건만
영원히 그 사람을 사랑해선 안 될 사람
말없이 가는 길에 미워도 다시 한번
아 아 안녕

지난 날 아픈 가슴 오늘의 슬픔이여
여자의 숙명인가 운명의 장난인가
나만이 가야하는 그 사랑의 길이기에
울면서 돌아설 때 미워도 다시 한번
아 아 안녕>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은 운명 (86)  (0) 2021.02.08
작은 운명 (85)  (0) 2021.02.08
세상 사는 법  (0) 2021.02.08
용서(容恕)하는 것  (0) 2021.02.08
겨울의 단상  (0) 2021.02.08

 


<미워도 다시 한번>

바쁜 일상의 생활 속에서도 자기 자신을 삭막하지 않게 만들기 위한 노력은 절대로 필요하다. 일에 쫓기고, 마음에 여유를 가지지 못하다 보니 감성은 저 혼자 외롭게 내팽개쳐져 있다. 안타까운 일이다.

차를 타고 올림픽대로를 가는데 비가 계속 내렸다. 배호의 노래를 듣는다. 배호의 노래는 내가 참 좋아한다. 듣기도 많이 들었다. 내가 가장 많이 들은 노래가 배호, 최진희, 나훈아, 남진, 이미자 등의 가수 순이 아닌가 싶다.

젊었을 때 왜 그렇게 그 가수들의 노래를 많이 듣고 다녔는지 나도 잘 모르겠다. 그들의 구성진, 애달픈 노래가사와 멜로디 때문이었을 것이다. 패티김의 노래도 마찬가지였다. 요새 젊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새로운 노래는 잘 적응을 못하고 있는 편이다.

남진이 원래 부른 노래를 배호가 부른 게 나왔다. "이 생명 다 바쳐서 죽도록 사랑했고, 순정을 다 바쳐서 믿고 또 믿었건만......" 가사를 들으면서 웬지 가슴이 찡했다.

이젠 사랑이라는 단어가 그렇게 가슴을 짓누를 때도 지났는데, 비가 내리는 잿빛구름을 보고 있어서 그런가? 나는 그런 센치한 분위기에 빠져 오래동안 멍한 상태로 운전을 하고 있었다.

목숨을 다 바쳐 죽도록 사랑할 수 있는 사람, 순정을 다 바치고 평생 믿고 살아갈 사람이 있으면 그건 그 사람의 지상에서의 최대 행복이다. 사랑은 아무나 하는 게 아니고, 아무 하고나 하는 건 더욱 아니다. 사랑을 줄 수 있는 상대가 있어야 하고, 그 상대는 목숨을 바칠 정도로 깨끗한 영혼의 소유자이어야 한다.

노래 가사는 아무렇게나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가슴 아프게 겪었던 사랑의 아픔을 처절하게 느껴본 사람만이 다른 사람의 가슴에 와닿는 가사를 만들 수 있다. 사랑을 뜨겁게 느껴보지 않은 사람들이 쓴 가사는 가벼운 리듬만을 들을 뿐이다.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은 7월에 찍었음이 분명하다  (0) 2020.12.28
사랑의 생리학과 병리학  (0) 2020.12.28
<사랑의 독점적 소유>  (0) 2020.12.28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0) 2020.12.28
겨울의 단상  (0) 2020.12.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