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98)

 

1. Emphasis on experience - The gestalt approach focuses on experience in terms of a person’s emotions, perceptions, behaviours, body sensations, ideas and memories. A therapy encourages the client to ‘experience’ in all of these ways, vividly in the here and now.

 

경험의 강조 게슈탈트 치료는 개인의 정서, 지각, 행동, 신체적 흥분, 생각과 기억에 대한 체험에 초점을 둔다. 치료는 내담자가 지금 여기에서 이러한 모든 면에서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격려해준다.

 

(해설)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관계에서도 마찬가지다. 일단 상대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애정어린 정성으로 관심을 가지고, 대화를 통해 상대를 이해하고 파악하고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언어적 표현도 중요하지만, 비언어적 표현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상대의 표정, 사소한 행동, 미묘한 몸짓, 음성의 변화를 파악해야 한다.

 

상대가 지금 여기에서 어떠한 심리상태에 있는가? 불안한가, 외로운가, 허무한 감정을 느끼고 있는가? 과거의 미해결과제에 쌓여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가? 앞으로 닥쳐올 미래에 대해 상상 속에서 공포에 떨고 있는 것은 아닌가? 이런 것들을 세심하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

 

2. Social responsibility - The gestalt approach recognises that humans have a social responsibility for the self and for others. It demands respect for all people and acknowledges that everyone is different. Ultimately, it encourages individuals to adopt an egalitarian approach to social life.

 

사회적 책임 게슈탈트 접근법에서는 인간은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게슈탈트 이론은 모든 사람을 존경하기를 바라고, 각 개인은 모두 다르다는 사실을 인정하기를 바란다.

 

(해설) 인간은 모두 다르다. 나와 네가 다르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부부 사이도 마찬가지고, 부모 자식 사이도 마찬가지다. 나와 똑 같은 인간은 없다. 모두 차이가 있고, 다르고, 각자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 차이와 상이점을 인정하고 시작하여야 한다.

 

3. Relationship - Relating is considered central to human experience, and gestalt therapy considers individuals as a ‘whole’ when they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themselves and others around them.

 

관계성 타인과 관계하는 것은 인간의 경험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다. 게슈탈트 치료는 개인은 자기 자신과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다른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을 때 완전하게 된다고 믿고 있다.

 

4. 좋은 인간관계 안에서 개인은 성장한다

The ability to complete the healing that exists after wounding takes time, courage and commitment. It is likely that the relationship will change, to be relaxed within a relationship allows each individual to grow, become closer and intimate.

 

5. 타인을 비난하거나 정죄해서는 안 된다

The session in gestalt couples therapy focuses on the contact in the relationship. Blame and fault are not to the forefront, the ability to move forward and solve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 is the primary process.

 

<해설>

인간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스스로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다른 사람과 좋은 관계를 맺기 위하여, 타인과 친하게 지내기 위해서 개인은 스스로 연구하고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인간은 매우 복잡한 존재이고, 가변적이며, 상대적이기 때문이다. 개인은 혼자 생각하고 혼자 행동하는 경우와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으면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은 동일하지 않다. 그래서 어려운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불화가 생기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인간은 타인과 접촉하고 관계를 할 때, 동시에 자기 자신의 내면의 세계와 타인의 내면의 세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해하고, 그에 따라 생각하고 행동하여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지는 것이다.

 

인간의 내면의 세계는 보이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의식과 무의식이 총동원되어 자신과 상대의 내면의 세계를 동시에 인지하고 지각하고 알아차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서 인간은 독립적이고 창조적이며 완전성과 통합성을 추구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두 사람 사이에는 일정한 경계가 명확하여야 하고, 경계에서 상호 간에 접촉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두 존재의 경계에서 접촉활동이 원만하지 못하면 이상심리상태에 빠지게 되고, 두 사람 사이의 관계는 비정상적인 것인 것, 즉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내사, 투사, 반전, 융합, 자의식, 편향 등의 이상심리가 나타나는 것이다

 

개인의 정서적 욕구와 신체적 욕구는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Ultimately, gestalt therapy is considered to help individuals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their emotional and physical needs are connected).

 

개인의 내면의 자아에 대해 제대로 아는 것(being aware of their internal self)은 개인이 왜 특정한 방법으로 반응하고 행동하는 것인지를 이해하는 열쇠이다(They will learn that being aware of their internal self is key to understanding why they react and behave in certain ways).

 

자기 자신을 발견하는 과정(This journey of self-discovery)은 개인이 자신의 감정에 부딪혀 막혀있을 때, 그리고 자신의 방식대로 느끼고 행동하는 것이 힘들게 느껴질 때 그를 도움이 되는 방법이다.

 

그것은 개인이 자신의 어려운 시기를 헤쳐나갈 때 도움을 주고 안전한 피난처를 마련해주는 것이다(It can also provide support and a safe space for individuals going through times of personal difficulty).

 

역할 바꾸기 연습은 개인으로 하여금 다른 감정과 정서를 경험하도록 도와주고, 자기 자신을 표현하고 조직하는 방법을 이해시켜준다(Role play can help individuals to experience different feelings and emotions, and to better understand how they present and organise themselves).

 

게슈탈트 치료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그가 특별한 방법으로 행동하고 생각할 수 있도록 의미 있고 확실한 대화에 참여하도록 인도할 필요가 있다(A gestalt therapist will need to engage the client in meaningful and authentic dialogue in order to guide them to a particular way of behaving or thinking).

 

이렇게 함으로써 단순한 토의에서 무용, 노래, 웃음과 같은 보다 적극적인 형태로 표현하도록 하는 것으로 옮겨가는 것이다(This may move beyond simple discussion to more creative forms of expression such as dancing, singing or laughing).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96)

 

1. A significant input of to phenomenological experimentation is expanding the parameters in order to embrace explanation of experience in nonverbal way.

 

현상학적 실험에 대한 중요한 사항은 비언어적인 방법에 의해 경험을 설명하는 것을 포함하기 위하여 변수들을 확장하는 것이다.

 

*em·brace¹ [embréis] vt.

얼싸안다, 껴안다(hug), 포옹하다.

③ 《~+?/+?+?+?》 품다, 포함포괄하다in

nòn·vérbal ɑ.

말에 의하지 않는, 말을 쓰지 않는; 비언어적인

┈┈• ~ communication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몸짓·표정 따위.

pa·ram·e·ter [pǝrǽmitǝr] n.

① 〖조변수(助變數), 매개(媒介) 변수; 모수(母數).

특질, 요소, 요인of.

pàr·a·mét·ric, -ri·cal [pæ̀rǝmétrik], [-əl] ɑ.

-ri·cal·ly ɑd.

*in·put [ínpùt] n.

(자본의) 투입(). 컴퓨터입력.

ex·per·i·men·ta·tion [ikspèrǝmentéiʃən] n.

? 실험, 실험법, 시험; 실지훈련.

 

2. Perls uses this distinction of figure-ground to establish a principle of human need. In good boundary functioning, people alternate between connecting and separating, between being in contact with the current environment and withdrawal of attention from the environment.

 

펄스는 인간의 욕구의 원리를 세우기 위하여 전경과 배경의 구별방법을 사용했다. 사람들은 연결과 분리를 번갈아 되풀이한다. 현재의 환경과 접촉하고 있는 것과 환경에 대한 주의를 철회하는 것을 번갈아 되풀이하는 것이다.

 

al·ter·nate¹ [ɔ́ːltǝrnit, ǽl-] ɑ.

번갈아 하는, 교호(交互), 교체교대

*al·ter·nate² [ɔ́ːltǝrnèit, ǽl-] vi.

번갈아 일어나다나타나다, 교체교대하다; 엇갈리다with; between

 

3. The Gestalt therapy emphasis on personal responsibility, interpersonal contact and increased clarity of awareness of what is, could be of great value in meet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게슈탈트 치료가 개인의 책임, 상호간의 접촉, 현재의 상황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켜 명확하게 하는 것을 강조하는 태도는 현재의 문제들을 만나는데 중요한 가치를 두고 있는 것이다.

 

4. For example, resisting the impulse to express anger may serve to cope with a dangerous environment.

 

예를 들면, 분노를 표현하려는 충동을 억제하는 것은 위험한 환경에 대처하는 방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im·pulse [ímpʌls] n.

① ? 추진(); 충격; 자극.

② ?? (마음의) 충동, 일시적 충격

 

5. An impasse is a situation in which external support is not forthcoming and the person believes he cannot support himself.

 

곤경에 처해 있는 것은 외부로부터의 지원이 올 수 없는 상황에서 개인이 자기 자신을 지탱할 수 없다고 믿는 것을 말한다.

 

ex·ter·nal [ikstə́ːrnəl] ɑ.

외부의, 밖의; 외면의; 의 외측외면에 있는to.

표면의, 외관의; 겉의, 형식적인

im·passe [ímpæs, --́] n.

F.막다름; 막다른 골목(blind alley); 난국, 곤경(deadlock)

 

<해설>

인간은 참 미묘한 존재다.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끊임 없는 욕구와 감정을 지닌다. 지금 여기에서 자신에게 나타나는 욕구와 감정은 우선 중요한 순위를 가진 것이 전경으로 나타나고, 그것은 하나의 게슈탈트를 형성한다.

 

이러한 게슈탈트를 정상적으로 해결 내지 해소가 되지 않고, 다시 배경의 위치로 돌아가서 그대로 남아 있으면, 이것은 그 사람에게 미해결과제가 된다.

 

미해결과제는 자동적으로 시간이 가면서 양적으로 많아지고, 질적으로 심각해진다. 그렇게 되면 이상심리상태가 되는 것이다.

 

게슈탈트 심리치료에서는 개인이 외부 환경과의 경계에서 정상적인 접촉을 하고 지각하고 인지하고 알아차리는 능력을 갖출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접촉과정에서의 알아차림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개인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 환경과의 관계에서 자신에게 나타나고 형성되는 전경과 배경의 관계를 확실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사람은 자신에게 형성되었던 게슈탈트가 억제되거나 포기된 상황에 대해서는 완전히 피하려고 하거나 그러한 상황을 다시 직면하려고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때 그곳에서 해결되지 않았던 감정들은 현재의 지금 여기에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For human beings have that tendency to avoid fully or not facing the situations once abandoned but those feeling do come to cause problems in the present because they were not completed there and then.)

 

심리치료는 이러한 관계이론을 현재의 상태와 결합시키고 있다. 자기 스스로 알아차림과 지금 여기에 강한 초점을 맞추고 있다.<The approach combines this relational theory with present state - focusing strongly on self-awareness and the ‘here and now’ (what is happening from one moment to the next).>

 

게슈탈트 치료에 있어서는 자기 깨달음이 개인의 성장과 충분한 잠재력을 개발하는 것의 열쇠라고 본다(In gestalt therapy, self-awareness is key to personal growth and developing full potential.)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95)

 

1. They are a core component of gestalt therapy and allow the person in therapy to understand different aspects of a conflict, experience, or mental health issue.

 

그것은 게슈탈트 치료의 핵심요소이며, 개인의 갈등과 경험 또는 정신건강문제의 다른 측면을 이해하도록 해준다.

 

ᛜcom·po·nent [kǝmpóunǝnt] ɑ.

구성하고 있는, 성분을 이루는

성분, 구성 요소; (기계·스테레오 등의) 구성 부분; 부품

*core [kɔːr] n.

(과일의) 응어리, .

핵심; 정수(pith).

(the ~) (사물의) 핵심, 안목(gist); (마음) .

 

2. Gestalt psychology provided Perls with the organizing principle for Gestalt therapy as an integrating framework.

 

게슈탈트 심리학은 펄스에게 게슈탈트 치료를 하나의 통합된 구조로 조직하는 원리을 제공해주었다.

 

*frame·work [fréimwə̀ːrk] n.

(구조물·이론·계획·이야기 따위의) 뼈대, 얼거리, 하부기초구조, 골조(骨組); 구성, 체제.

ᛜin·te·grate [íntǝgrèit] vt.

통합하다(unify), 흡수하다into; with; 완전하게 하다, 완성하다

 

3. Organisms have the capacity for accurate perception when they use their native ability of immediate experience in the here and now.

 

유기체는 지금 여기에서 직접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자연적인 능력을 사용할 때 필요한 정확한 지각능력을 가지고 있다.

 

4. Many times people strive for becoming what they are not, Gestalt approach to therapy emphasis on the point that people should try to explore them selves as deep as possible and to become fully what they are rather than wasting their energies in thinking and trying to become what they should be.

 

많은 경우 사람들은 그들이 아닌 것이 되려고 애쓴다. 게슈탈트 치료법은 사람은 가능한 한 깊이 자기 자신을 탐구하는 노력을 해야 하며, 자기 자신이 무엇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거나 노력하는데 에너지를 소모하는 대신에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5. Perls served in the German Army during World War I, and was wounded in the conflict. This self-deception is the basis of not being authentic. I'm really laughing at what's not funny.

 

6. This propensity is found in nature, and people are part of nature. It has existential premises, in that it focuses on the present rather than past, and is anti-deterministic but unlike existentialism , it has actual techniques that are typical to the field.

 

이러한 경향은 자연속에서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사람은 자연의 일부이다. 그거은 실존적인 명제를 가지고 있다. 그 안에서 그것은 과거보다는 현재에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결정론에 반대하며 운명론과도 다르다. 그것은 장에 특유한 실제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다.

 

de·ter·min·is·tic [ditə̀ːrminístik] ɑ.

결정론()적인.

pro·pen·si·ty [prǝpénsǝti] n.

경향, 성질, 성벽(inclination), 버릇to; for.

거의 자제할 수 없는 타고난 경향 흔히 악질(惡質)의 것.

 

7. The constructs of Gestalt therapy theory are field theoretical rather than genetic and phenomenological rather than conceptual.

 

게슈탈트 치료의 뼈대는 자연발생적이라기 보다는 이론적이며, 개념적이라기 보다는 현상학적이라고 할 수 있다.

 

ge·net·ic, -i·cal [dʒǝnétik], [-əl] ɑ.

발생유전, 기원; 발생유전학적인

 

8. The idea is to help clients understand what is really being experienced in the moment as opposed to interpreting events based on preconceived notions. Gestalt therapy is especially appropriate for those who know intellectually about themselves and yet don't grow.

 

내담자들이 지금 현재에서 진정으로 경험되고 있는 것을 이해하는 것을 도우려는 생각은 이미 지각된 개념에 기초하여 사건을 해석하려는 태도와 반대되는 것이다. 게슈탈트 치료는 자기 자신에 대해 지적으로는 알고 있지만, 아직 성장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을 위해 특별히 적합한 것이다.

 

9. Clinicians respond to clients in genuine and empathetic ways, in an attempt to help clients with here and now issues. The behaviorist therapist rewards or punishes behavior in order to modify it.

 

게슈탈트 치료자들은 내담자에게 진정으로 이해심을 가지고 대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움을 주려고 한다. 그러나 행동주의 치료자들은 그것을 정정하기 위하여 보상을 하거나 징벌을 가하는 것이다 .

 

10. Although one can do one's own breathing and chewing, the air and food must come from the environment. Applebaum, a psychoanalyst, observes that In Gestalt therapy the patient quickly learns to make the discrimination between ideas and ideation, between well-worn obsessional pathways and new thoughts, between a statement of experience and a statement of a statement.

 

비록 사람은 호흡하고 음식을 씹지만, 공기와 음식은 환경으로부터 올 수밖에 없다. 정신분석학자인 애플바움은 게슈탈트 치료에서 환자는 빠른 속도로 생각들과 생각하는 과정을 구별하고, 낡은 강박관념에 사로잡힌 방법과 새로운 생각을 구별하고, 경험을 설명하는 것과 단순한 설명을 기술하는 것을 구별하도록 만든다.

 

ᛜpáth·wày n.

통로, 작은 길(path); 生化경로

ob·ses·sion·al [ǝbséʃǝnəl] ɑ.

강박관념망상에 사로잡힌, 떨어지지 않는관념 따위; 강박관념에 의한병 따위.

 

<해설>

우리는 지금 여기에서 우리 자신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자기 자신의 진정한 내면의 모습을 찾아야 한다. 남을 위해 살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자기 주관이 없이 남들이 기대하는 대로, 남들이 요구하는 대로 아무 생각 없이 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냉철하게 살펴보아야 한다.

 

인간은 혼자 살 수 없다. 때문에 항상 다른 사람과 함께 살아야 한다. 그리고 외부 환경과도 분리될 수 없다.

 

인간은 자기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다른 사람들, 환경과 끊임없이 접촉하면서 그 중에서 중요하고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전경으로 떠올리고 이러한 게슈탈트를 효과적인 방법으로 해결하고 해소해나간다.

 

이러한 전경과 배경의 별 게슈탈트의 형성 및 해결이 창조적으로 반복되고 순환되지 않으면 이상심리가 형성된다.

 

미해결과제는 조속한 시일안에 성공적으로 완전히 해결되어야 한다.

 

게슈탈트 치료에서는 개인이 이와 같이 환경을 인식하고 지각하고 전경으로 떠올리고 이를 해결하는 능력을 배양해준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94)

 

1. In fact, Perls considered calling Gestalt therapy existential-phenomenological therapy.

 

사실상 펄스는 게슈탈트 치료를 실존주의적이며 현상학적인 치료법이라고 생각했다.

 

2. "The I and thou in the Here and Now", was a semi-humorous short-hand mantra for Gestalt therapy referring to the substantial influence of the work of Martin Buber on Perls and Gestalt.

 

지금 여기에서 나와 너의 관계는 펄스와 게슈탈트에 마틴 부버의 작업성과의 실질적인 영향을 가르키는 게슈탈트 치료의 약간 유머스러운 짧은 핵심 어구이다.

 

man·tra [mǽntrə, mάːn-] n.

힌두만투라, 진언(眞言)가지(加持) 기도에 외는 주문.

 

3. Buber's work was focused on the "I-thou, here and now" concept following his postponing a response to a client's request for help, following which the client committed suicide.

 

부버의 작업은 그가 도움을 필요로 하는 내담자의 요청을 즉시 받아들이지 않고 머뭇거리고 있는 상황에서 내담자가 자살한 사건이 있은 이후에 지금 여기에서의 나와 너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하였다.

 

4. Following that incident, Buber committed to the "I-Thou here and now" concept as of primary importance and focus i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This concept became figural in much of Gestalt theory and practice.

 

fig·ur·al [fígjǝrǝl] ɑ.

(인간이나 동물의) ()형상, 그림으로 된, 묘사적인; 수식적인.

ther·a·peu·tic, -ti·cal [θèrǝpjúːtik], [-əl] ɑ.

치료의, 치료법의; 건강유지에 도움이 되는.

-ti·cal·ly ɑd.

 

5. Goldstein viewed a person in terms of a holistic and unified experience. He encouraged a "big picture" perspective, taking in to account the whole context of a person's experience.

 

골드슈타인은 인간을 전체적이고 통일된 경험의 관점에서 파악하였다. 그는 개인의 경험의 전체적인 관점에서 고려하는 큰 그림으로서의 조망을 강조하였다.

 

6. 학문적인 게슈탈트 심리학의 통찰력이 가미되었다.

To this was added the insights of academic Gestalt psychology, including perception, Gestalt formation and the tendency of organisms to complete an incomplete Gestalt, and to form "wholes" in experience.

 

7. Perls suggested that when the infant develops teeth, he or she has the capacity to chew, to break apart food, and by analogy to experience, to taste, accept, reject or assimilate.

 

* the concept of "dental or oral aggression".

ᛜanal·o·gy [ǝnǽlǝdʒi] n.

① ?? 유사, 비슷함, 닮음between; to; with

 

8. This was opposed to Freud's notion that only introjection takes place in early experience. Thus Perls made "assimilation", as opposed to "introjection", a focal theme in his work, and the prime means by which growth occurs in therapy.

 

이러한 태도는 어린 시절의 경험에 있어서는 오직 내사만이 일어난다는 프로이드의 개념과는 상반되는 것이다. 그래서 펄스는 내사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동화라는 개념을 만들어냈다. 이러한 동화는 펄스의 연구에서 중요한 테마가 되었고, 치료에서 성장이 일어나는 중요한 수단이 된 것이다.

 

*theme [θiːm] n.

주제, 화제, 논지; (논문 따위의) 제목, 테마.

 

9. In contrast to the psychoanalytic stance, in which the "patient" introjects the (presumably more healthy) interpretations of the analyst, in Gestalt therapy the client must "taste" his or her experience, and either accept or reject it, but not introject or "swallow whole".

 

분석자의 해석 (보다 건강하게 보이는)을 환자가 받아들이도록 하는 정신분석학적 입장에 비해서, 게슈탈트 치료에서는 내담자는 그 자신의 체험을 직접 겪어보도록 하고, 그러한 체험을 무조건 받아들이거나 소화시키지 않고 삼키는 대신에 그것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도록 하는 것이다.

 

in·tro·ject [ìntrǝdʒékt] vt., vi.

(남의 특질·태도를) 자기의 것으로 받아들이다느끼다; 투입하다, 받아들이다.

 

10. Hence, the emphasis is on avoiding interpretation, and instead encouraging discovery.

 

여기에서, 해석을 피하고, 대신 발견이나 탐구를 독려하는 것이 강조되었다.

 

<해설>

1. This is the key point in the divergance of Gestalt therapy from traditional psychoanalysis growth occurs through gradual assimilation of experience in a natural way, rather than by accepting the interpretations of the analyst; thus, the therapist should not interpret, but lead the client to discover for himself or herself.

 

전통적인 정신분석과 게슈탈트 치료가 다른 중요한 요소는, 분석자의 해석을 받아들이는 것보다는 경험의 점진적인 동화과정을 통해서 성장은 일어난다고 보는 것이다. 내담자 스스로 발견하도록 안내하는 것이 치료자의 역할이다.

 

2. 경험에 의존하는 태도 때문에 게슈탈트 치료는 정신분석학과 차별화된다.

 

The Gestalt therapist contrives experiments that lead the client to greater awareness and fuller experience of his or her possibilities.

 

Experiments can be focussed on undoing projections or retroflections.

 

3. 미해결과제의 해소

The therapist can work to help the client with closure of unfinished Gestalts ("unfinished business" such as unexpressed emotions towards somebody in the client's life).

 

4. 해석하는 태도가 아니라 경험하는 방식이다

There are many kinds of experiments that might be therapeutic. But the essence of the work is that it is experiential rather than interpretive, and in this way Gestalt therapy distinguishes itself from psychoanalysis.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93)

 

1. However, Gestalt therapy places an undue emphasis on its brand of authenticity. Freedom is viewed as being "the true you."

 

그러나 게슈탈트 치료는 그 진정성의 표지를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다. 자유는 진정한 당신이 되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brand [brænd] n.

상표, 상품의 이름, 브랜드; 품질.

(소유주·품종 따위를 표시하는) 소인(燒印)(용 인두); 낙인옛날 죄인에게 찍은; 오명(disgrace)

au·then·tic·i·ty [ɔ̀ːθentísǝti] n.

? 확실성, 신빙성; 출처가 분명함, 진정(眞正).

ᛜun·dúe ɑ.

어울리지 않는, 지나친, 과도한.

부당한, 불법의

 

2. Also, there is some valid concern over Gestalt therapy’s emphasis on self-awareness.

 

또한 게슈탈트 치료자들이 스스로 지각하는 것을 강조하는 것은 정당한 이유가 있다.

 

*val·id [vǽlid] ɑ.

근거가 확실한, 확실한, 정당한; 효과적인; 들어맞는

② 〖유효한(OPP.void); 타당한; .

 

3. At the same time, Gestalt therapists are adept at pointing out inconsistencies, a skill that can be useful in cutting through pretense. Gestalt therapists attend to non-verbal behaviors that belie a client’s words and reveal his true emotional state.

 

동시에 게슈탈트 치료자들은 불일치나 모순을 지적하는데 익숙해있다. 그것은 가면을 벗겨내는데 유용한 기술이다. 게슈탈트 치료자들은 내담자의 말과 다른 비언어적인 행동에 관심을 가지며, 내담자의 진정한 감정상태를 밝히려고 한다.

 

ᛜbe·lie [bilái] vt. (p., pp. ~d; be·ly·ing)

거짓잘못전하다, 잘못틀리게나타내다, 속이다; 거짓임그릇됨을 나타내다; (약속·기대를) 어기다; 실망시키다; 》 …에 대하여 거짓말하다, 중상하다

┈┈• The report ~s him. 그의 됨됨이는 소문과는 다르다

┈┈• His acts ~ his words. 그는 언행(言行)이 다르다.

 

be·lí·er n.

*pre·tense [priténs] n.

구실, 핑계.

겉치레, 가면, 거짓

ᛜin·con·sist·en·cy, -ence [ìnkǝnsístənsi], [-təns] n.

? 불일치, 모순; 무정견(無定見); 부정합(不整合); ? 모순된 사물.

adept [ǝdépt] ɑ.

숙련된; 정통한, 환한in an art; in atdoing.

 

4. Gestalt therapy can be helpful in bringing to light the human tendency to deceive ourselves and others. It stresses our need to live in the present without wallowing in the past or fearing the future. Its emphasis on living genuinely is also helpful.

 

게슈탈트 치료는 인간이 자신과 다른 사람을 속이려는 것을 깨우쳐주는데 유용하다. 게슈탈트 치료는 인간이 과거에 빠져있거나 미래를 두려워하지 않고 현재에 살아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것이 진정하게 살 것을 강조하는 것은 매우 유익하다.

 

ᛜwal·low [wάlou/wɔ́l-] vi.

① 《~/+?+?》 뒹굴다진창·모래·물 속에서

② 《+?+?》 탐닉하다, (주색 따위에) 빠지다in

 

5. A danger of Gestalt therapy is that it relies on humans to be curative in themselvesrelationship and authenticity are seen as salvific; being "who you really are" is the supposed cure to life’s ills.

 

게슈탈트 치료의 위험성은 인간이 스스로 치료할 수 있는 힘이 있다고 믿는 것이다. 관계와 진정성은 구제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진정한 당신이 되는 것이 삶의 잘못된 부분을 고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sal·vif·ic [sælvífik] ɑ.

구제(救濟)를 베푸는에 도움을 주는

cur·a·tive [kjúərǝtiv] ɑ.

치료용의; 치료력이 있는.

 

6. The standard contact boundary resistances in Gestalt theory were confluence, introjection, projection and retroflection.

 

게슈탈트 치료에 있어서 일반적인 접촉경계 장애는 융합, 내사, 투사, 반전이다.

 

con·flu·ence [kάnfluǝns/kɔ́n-] n.

?? (강 따위의) 합류()of; (사람 따위의) 집합, 군중; 세포 배양으로 배양기() 바닥 전체가 한 켜의 세포로 덮이는 일.

 

7. A disturbance described by Miriam and Erving Polster was "deflection", which referred to a means of avoiding contact. Instances of boundary phenomena can have pathological or non-pathological aspects.

 

미리앰과 어빙 폴스터에 의해 기술된 장애는 편향이다. 편향은 접촉을 피하는 수단으로 지칭된다. 경계에서 나타나는 현상의 예시는 병적인 면과 그렇지 않은 면을 가지고 있다.

 

*dis·turb·ance [distə́ːrbəns] n.

소동, 평화질서를 어지럽히기

┈┈• the ~ of public peace 치안 방해

┈┈• make cause, raisea ~ 소동을 일으키다.

방해, 교란; 장애.

혼란, 동요.

, 귀찮음; 불안.

de·fléc·tion, -fléx·ion n.

?? 비낌, 기울어 짐; (계기 바늘의) 편향; 편향도(); 편각; 편차, (탄알의) 편류; ; 빛의 굴절.

path·o·log·ic, -i·cal [pæ̀θǝlάdʒik/-lɔ́dʒ-], [-əl] ɑ.

병리학의, 병리상의; 병적인.

*dis·turb·ance [distə́ːrbəns] n.

소동, 평화질서를 어지럽히기

방해, 교란; 장애.

혼란, 동요.

 

8. For example, it is appropriate for an infant and mother to merge, or become "confluent", but inappropriate for a client and therapist. If the latter become confluent, there can be no growth, because there is no boundary at which one can contact the other.

 

어린 아이와 어머니가 융합하는 것은 적절하지만, 내담자와 치료자가 융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만일 내담자와 치료자가 융합하면 성장이 있을 수 없다. 왜냐하면 그런 경우 개인은 다른 사람을 접촉할 수 있는 경계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ap·pro·pri·ate [ǝpróuprièit] vt.

① 《+?+?+?》 (어떤 목적에) 충당하다

② 《+?+?+?》 (정부가 어떤 금액을) 예산에 계상(計上)하다; (의회가) 의 지출을 승인하다

③ 《~+?/+?+?+?》 사유전유하다; 횡령착복하다; 훔치다

[ǝpróupriit] ɑ.

() 적합한, 적절적당for; to

특유의, 고유한to.

ᛜmerge [mǝːrdʒ] vt.

① 《~+?/+?+?+?》 합병하다, 합체(合體)시키다in, into; with

점차 으로 바뀌다into

서서히 을 하나로 만들다, 을 뒤섞어 합치다, 융합동화시키다, 몰입케 하다in, into; with

mer·gence [mə́ːrdʒəns] n. ? 몰입; 소실(消失); 합병.

 

9. The client will not be able to learn anything new because the therapist essentially becomes an extension of the client.

 

치료자는 내담자의 외연이 필수적으로 되어야 하는데, 융합되면 새로운 것을 내담자가 배울 수 없기 때문이다.

 

<해설>

게슈탈트 치료는 기본적으로 개인이 지금 여기에서 자기 자신의 내면의 모습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깨닫는 것을 강조한다. 뿐만 아니라 개인은 타인과의관계에서 상호 간에 적절한 선을 유지하면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것을 균형있게 할 것을 요구한다.

 

개인이 타인과의 관계에서 접촉과정에 장애가 발생하는 현상을 게슈탈트 심리치료에서는 여섯 가지를 들고 있다. 내사, 투사, 융합, 반전, 자의식, 반전이다.

 

게슈탈트 치료에 있어서는 개인은 지금 여기에서 자기 자산의 진정한 모습을 찾아내도록 지원한다. 과거는 이미 지나간 일이다. 과거에 매달려 있어서는안 된다. 과거의 미해결과제는 현재화하는 방법으로 지금 여기로 끄집어내서 풀어버려야 한다. 미래는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미래는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불확실한 두려움은 어리석은 일이다.

 

개인은 자기 자신과 타인, 그리고 외부 환경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지각하고 알아차려야 한다. 그리고 진정한 자기 자신의 모습을 찾아내서 자신이 주인이 되면서 살아갈 때 진정한 자유를 맛볼 수 있는 것이다.

 

타인에 의해 노예가 되어 살아가서는 안 된다. 타인의 기대나 요구에 따라 살아가서는 안 된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92)

 

1. The experience of the therapist is also very much part of the therapy. Since we co-create our self-other experiences, the way a therapist experiences being with a client is significant information about how the client experiences themselves.

 

치료자의 경험은 또한 매우 중요한 치료의 부분이 된다. 우리는 자신과 타인의 경험을 같이 창조하면서, 치료자가 내담자와 같은 입장이 되는 경험들은 내담자가 자신들을 어떻게 경험하는지에 관한 중요한 정보가 되는 것이다.

 

2. The proviso here is that a therapist is not operating from their own fixed responses. This is why Gestalt therapists are required to undertake significant therapy of their own during training.

 

여기에서의 조건은 치료자는 그들 자신의 고정된 반응으로부터 작업을 해서는 안 된다. 이것은 게슈탈트 치료자들이 훈련을 통해서 그들 자신의 중요한 치료를 담당하도록 요구되는 이유이다.

 

pro·vi·so [prǝváizou] n. (pl. ~(e)s)

단서(但書)보통 provided로 시작됨; 조건(condition)

 

3. From the perspective of this theory of self, neurosis can be seen as fixed predictability - a fixed Gestalt - and the process of therapy can be seen as facilitating the client to become unpredictable - more responsive to what is in the client's present environment, rather than responding in a stuck way to past introjects or other learning.

 

자아이론의 관점에서 보면, 신경증세는 고정된 예견 고정된 게슈탈트 로 생각될 수 있고, 치료의 과정은 과거의 내사들이나 다른 학습된 것에 대해 경직된 방법으로 반응하기 보다는, 내담자로 하여금 예측할 수 없게 만들고, 내담자의 현재의 환경속에서 일어나는 것에 보다 잘 반응하게 만들게 할 것이다.

 

*pre·dict [pridíkt] vt.

예언하다(prophesy); 예보하다

*per·spec·tive [pǝːrspéktiv] n.

원근(), 투시 화법; ? 투시화

원경(遠景), 경치, 조망.

③ ? 전망; 시각, 견지; ?? 상관 관계; (사물의) 균형

neu·ro·sis [njuəróusis] n. (pl. -ses [-siːz])

신경증, 노이로제; 신경 감동.

 

4. If the therapist has expectations of how the client should end up, this defeats the aim of therapy.

 

만일 치료자가 환자가 어떻게 마쳐야 하는 가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다면, 그것은 치료의 목표를 달성시키지 못하게 만든다.

 

5. In what has now become a "classic" of Gestalt therapy literature, Arnold Beisser described Gestalt's paradoxical theory of change.

 

지금은 게슈탈트 치료의 문헌에서 고전이 된 것에서, 아놀드 바이서는 게슈탈트의 역설적인 변화의 이론을 설명했다.

 

6. The paradox is that the more one attempts to be who one is not, the more one remains the same. Conversely, when people identify with their current experience, the conditions of wholeness and growth support change.

 

역설적인 것은, 개인이 자신이 아닌 것으로 되려고 할수록, 개인은 더욱 더 똑 같은 상태로 머물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사람이 현재의 경험을 받아들일수록 전체적인 조건과 성장의 조건은 변화하게 된다.

 

7. Put another way, change comes about as a result of "full acceptance of what is, rather than a striving to be different".

 

다른 말로 하면, 변화는 달라지려고 애쓰는 것보다 현재 있는 것을 그대로 받아들임으로써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해설>

외로움은 우울증의 원인이 된다

Since loneliness often accompanies depression, having good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can be an important part of recovery from this illness.

 

2. 지지그룹에 가입하는 것

Joining a support group, either in person or online, having regular contact with loved ones, or joining a club can help ward off becoming socially isolated.

 

3. Rather than promote a client’s conscious effort to change, Gestalt therapists adhere to a paradoxical theory in which change is a product of self-awareness.

 

내담자로 하여금 의식적으로 변화하려는 노력을 하도록 하기 보다는, 게슈탈트 치료자들은 변화는 스스로 깨닫는 것으로 얻어지는 것이라는 역설적인 이론을 믿고 있다

 

4. So, the key to our becoming more patient is to realize we are impatient.

 

우리가 보다 참을성있게 되는 열쇠는 우리가 참을성이 없음을 깨닫는 것이다.

 

5. 현재의 상황에서 완전하게 우리 자신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

What is important is to be ourselves fully in the current situation; striving to become what we "should" be is discouraged.

 

6. 미해결과제를 다루는 법

Gestalt therapists help clients deal with "unfinished business." Various techniques bring a client’s past emotional struggles into the present and help him work through those experiences.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91)

 

1. In field theory, self is a phenomenological concept, existing in comparison with other. Without the other there is no self, and how one experiences the other is inseparable from how one experience herself.

 

장이론에서는 자아는 현상학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개체와 비교 상태에서 존재한다. 다른 개체가 없으면 자아도 없다. 개체가 다른 개체를 경험하는 것은 개체가 자신을 경험하는 것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ᛜin·sep·a·ra·ble [insépərǝbəl] ɑ.

분리할 수 없는; 불가분의; 떨어질 수 없는from

 

2. The continuity of selfhood (functioning personality) is something that is achieved in relationship, rather than something inherently "inside" the person.

 

자아의 연속성(기능성의 인격)은 관계성에서 얻어지는 것이며, 개인의 내면에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

 

ᛜcon·ti·nu·i·ty [kὰntǝnjúːǝti/kɔ̀n-] n.

연속(), 연속 상태, 계속; (논리의) 밀접한 관련; 연속

*in·her·ent [inhíərǝnt] ɑ.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고유의, 본래의, 타고난; 선천적인in

sélf-hòod n.

자아, 개성; 인격; 이기심.

 

3. This can have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t one end of the spectrum, one may not have enough self-continuity to be able to make meaningful relationships, or to have a workable sense of who she is.

 

이것은 이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 부분에서는 개인은 의미있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자아 연속성이나 자신이 누구인지 알 수 있는 센스를 충분하게 가지지 못할 수 있다.

 

ᛜspec·trum [spéktrǝm] n. (pl. -tra [-trǝ], ~s)

① 〖스펙트럼, 분광; (눈의) 잔상(殘像).

(변동이 있는 것의) 범위, 연속체.

 

4. At the other end, her personality is a rigid defensive denial of the new and spontaneous. She acts in stereotyped ways, and either induces other people to act in particular and fixed ways towards her, or she redefines their actions to fit with fixed stereotypes.

 

다른 한편, 개인의 인격은 새롭고 자연히 일어나는 것에 대한 엄격한 방어적 거부반응이다. 그는 상투적인 방법으로 행동하고,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그를 향해 특별하고 고정된 방식으로 대하도록 유도하거나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고정된 상투적인 방식으로 맞추려고 한다.

 

ᛜster·e·o·type [stériǝtàip, stíər-] n.

② 《고정 관념, 판에 박힌 문구; 상투 수단.

~d [-t] ɑ. 연판의; 판에 박은, 진부한

┈┈• ~d phrases 상투 문구.

stèr·e·o·týp·ic, -týpi·cal [-típik], [-əl] ɑ. 연판법인쇄에 의한; 흔히 있는, 진부한.

*spon·ta·ne·ous [spɑntéiniǝs/spɔn-] ɑ.

자발적인, 자진해서 하는, 임의의(voluntary)

자연히 일어나는생기는, 무의식적인

(현상 따위가) 자동적인

rig·id [rídʒid] ɑ.

굳은, 단단한, 휘어지지 않는.

완고한, (생각이) 고정된

 

5. In Gestalt therapy, the process is not about the self of the client being helped or healed by the fixed self of the therapist, rather it is an exploration of the co-creation of self and other in the here-and-now of the therapy.

 

게슈탈트 치료에 있어서는, 과정은 내담자의 자의식이 치료자의 고정된 자의식에 따라서 도움을 받거나 치료를 받는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의 치료에 있어서 자기 자신과 타인과의 상호 창의적 노력에 의해 탐구되는 것이다.

 

6. There is no assumption that the client will act in all other circumstances as he or she does in the therapy situation. However, the areas that cause problems will be either the lack of self definition leading to chaotic or psychotic behaviour, or the rigid self definition in some area of functioning that denies spontaneity and makes dealing with particular situations impossible.

 

내담자가 치료상황에서는 행동하는 것처럼 다른 모든 상황에서 행동한다는 가설은 있지 않다. 그러나 문제를 야기시키는 것은 혼란스럽거나 정신 이상 행동을 일으키는 자의식이 명료하지 않거나, 자발적 행동을 거부하거나 특정한 불가능한 상황을 다루는 기능에 있어서 엄격한 자의식에 의한 한계에 있는 것이다.

 

spon·ta·ne·i·ty [spὰntǝníːǝti/spɔ̀n-] n.

자발(), 자발 행동활동; 무의식; 자연스러움

psy·chot·ic [saikάtik/-kɔ́t-] ɑ., n.

정신병의, 정신 이상의; 정신병자.

*as·sump·tion [ǝsʌ́mpʃən] n.

인수, 수락, 취임

가정, 억측; 가설

 

7. Both of these conditions show up very clearly in the therapy, and can be worked with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therapist.

 

이러한 조건들 모두 치료에서 매우 명확하게 나타나며, 치료자와의 관계에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해설>

1. 게슈탈트 치료의 관점에서 보면, “분열증 인격장애는 자신은 다른 사람들과 진정하게 친밀하게 지내는 것이 생래적으로 불완전하다는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는 믿음을 야기시킨 오래 된 어린 시절의 상황에 창조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연속을 재개념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From a Gestalt therapy point of view,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can be reconceptualized as a series of creative adjustments to an early traumatic childhood situation that created the deep-seated belief that true intimacy with other people is inherently unsafe.)

 

schiz·oid [skítsɔid] ɑ.

정신 분열병의같은, 분열병질의; 분열병적인.

 

2. 분열증적인 적응을 한 개인은 다른 사람에게 진정한 자기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위험하다고 믿고 있기 때문에 지각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Individuals who have made Schizoid adaptations can be difficult to recognize because they believe that it is dangerous to show other people their true Self.)

 

3. They fear that doing so will allow others to enslave them, appropriate what is theirs, or use them as tools. They use distancing defenses, fantasy, and dissociation to deal with their interpersonal fears and their porous interpersonal boundaries.

 

이런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보여주면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노예로 만들 것이라고 두려워한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90)

 

1. 실험적 접근방법

Gestalt therapy is distinct because it moves toward action, away from mere talk therapy, and for this reason is considered an experiential approach.

 

단순한 대화보다 행동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게슈탈트 치료는 실험적 접근법이라고 한다.

 

dis·tinct [distíŋkt] ɑ. (~·er; ~·est)

별개의, 다른(separate)from; 독특한(individual)

뚜렷한, 명백한; 명확한, 틀림없는.

드문, 진귀한.

 

2. 새로운 것을 직접 경험하게 하는 것

Through experiments, the therapist supports the client’s direct experience of something new, instead of merely talking about the possibility of something new.

 

경험을 통해서 치료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새로운 것에 대한 가능성을 단순히 말하도록 하는 대신에 내담자가 직접 새로운 것을 직접 경험하도록 도와준다.

 

3. Indeed, the entire therapeutic relationship may be considered experimental, because at one level it is a corrective, relational experience for many clients, and it is a "safe emergency" that is free to turn out however it will.

 

실제로 전체적인 치료관계는 실험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그 이유는 어떤 수준에서는 그것은 교정하는 것이며, 많은 환자에게 관계되는 경험으로서, 그로 인한 결과가 어떻게 되든지 간에 그것은 안전한 돌발사태(safe emergency)가 되기 때문이다.

 

cor·rec·tive [kǝréktiv] ɑ.

고치는, 개정하는; 바로잡는, 교정(矯正); 제재하는; 중화(中和)하는.

ther·a·peu·tic, -ti·cal [θèrǝpjúːtik], [-əl] ɑ.

치료의, 치료법의; 건강유지에 도움이 되는.

emer·gen·cy [imə́ːrdʒǝnsi] n.

비상돌발사태, 위급, 위급한 경우

 

4. An experiment can also be conceived as a teaching method that creates an experience in which a client might learn something as part of their growth.

 

경험은 또한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성장을 위하여 어떤 것을 배울 수 있는 경험을 만들어주는 교육방법이라고 생각될 수 있다.

 

con·ceive [kǝnsíːv] vt.

(감정·의견 따위를) 마음에 품다, 느끼다

(계획 등을) 착상하다, 고안하다

이해하다

 

5. Examples might include: (1) Rather than talking about the client's critical parent, a Gestalt therapist might ask the client to imagine the parent is present, or that the therapist is the parent, and talk to that parent directly;

 

흠잡기를 좋아하는 혹평하는 부모가 여기에 있다고 상상하고, 부모와 직접 이야기하도록 내담자에게 권유한다.

 

*crit·i·cal [krítikəl] ɑ.

비평의, 평론의; 비판적인

꼬치꼬치 캐기 좋아하는, 흠잡기를 좋아하는, 혹평하는.

 

6. 단호하게 말하는 것에 관한 지도

(2) If a client is struggling with how to be assertive, a Gestalt therapist could either (a) have the client say some assertive things to the therapist or members of a therapy group, or (b) give a talk about how one should never be assertive;

 

as·ser·tive [ǝsə́ːrtiv] ɑ.

단언적인, 단정적인; 독단적인, 우기는 (듯한)

 

7. 비언어적 행동 또는 음성의 음질

(3) A Gestalt therapist might notice something about the non-verbal behavior or tone of voice of the client; then the therapist might have the client exaggerate the non-verbal behavior and pay attention to that experience;

 

nòn·vérbal ɑ.

말에 의하지 않는, 말을 쓰지 않는; 비언어적인

┈┈• ~ communication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몸짓·표정 따위.

(문장 따위가) 동사를 포함하지쓰지않은.

말이 서툰, 언어 능력이 낮은.

 

8. 변화를 직접 깨닫는 것

(4) A Gestalt therapist might work with the breathing or posture of the client, and direct awareness to changes that might happen when the client talks about different content.

 

9. With all these experiments the Gestalt therapist is working with process rather than content, the How rather than the What.

 

이러한 모든 경험들을 통해서 게슈탈트 치료자는 내용보다는 과정을 중시하고, ‘무엇보다는 어떻게에 중점을 두는 것이다.

 

<해설>

게슈탈트 심리학을 공부하면서 우리는 많은 것을 깨닫게 된다. 부부 사이에, 연인 사이도 마찬가지다.

 

단순한 대화만 하고 있는 것은 무의미하다. 대화도 중요하지만, 대화보다도 상대방의 비언어적 행동, 몸짓, 태도, 미묘한 신체동작, 변화를 유심히 관찰하고 살펴보아야 한다.

 

지금 여기에서 상대는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욕구하고 있고, 무엇 때문에 고통 받고 있는가를 알아차리는 노력을 해야 한다. 특히 상대의 기분은 어떠한가? 상대는 나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이런 것들을 파악하려고 애써야 한다.

 

뿐만 아니라, 두 사람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 환경,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의 두 사람의 위치, 관계, 입장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더 나아가 상대나 주변 환경과 긴밀하게 관계를 맺고 있고, 상호 영향을 주고 받고 있는 나, 자신에 대해서도 내면의 나와 접촉하여 정확하게 파악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 때문에 억눌려 있는가?” “나는 정말 내가 원하는 진정한 나의 모습대로 살아가고 있는가?” “타인의 생각이나 가치관에 지나치게 내사되어 노예 노릇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나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상대방에게 투사하여 상대방을 오해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상대가 해주기를 바라는 것을 상대 대신에 나 스스로 나에게 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지나치게 자의식이 강해서 이상한 상태가 되어 있는 것은 아닌가?” 등을 깊이 따져보고 고쳐나가야 한다.

 

인간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상대를 배려하는 것이다. 상대를 이해하려고 하고, 상대를 파악하고, 상대가 무엇을 원하는 것인지 알아차리는 것이다.

 

상대와 친밀해지기 위해서는 먼저 나 자신을 낮추어야 한다. 높은 곳에서 상대를 내려다보고 있으면 절대로 친해지지 않는다. 계단 맨 아래로 내려가서 시선을 위로 하여 상대를 바라다보아야 한다. 상대의 머리부터가 아니라, 발끝에서부터 보기 시작하여야 한다.

 

성경에서도 예수님은 제자의 발을 씻겨주었다. 우리도 사랑하는 사람의 발부터 씻겨주는 마음으로 상대의 사소한 감정, 생각, 기분을 중요시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그래야 진정한 친밀감이 형성되고 유지된다. 그럼으로써 사랑은 완성된다. 그런 사랑은 상대를 위한 것이며, 곧 나를 위한 사랑이 된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89)

 

1. “The field” can be considered in two ways. There are ontological dimensions and there are phenomenological dimensions to one’s field.

 

은 두 가지로 이해될 수 있다. 존재론적인 차원이 있고, 개인의 장에 대한 현상학적인 차원이 있다.

 

di·men·sion [diménʃən, dai-] n.

(길이··두께의) 치수; ··컴퓨터차원(次元)

(보통 pl.) 용적; 면적; 부피(bulk); 크기; (pl.) 규모, 범위; 중요성.

(문제 등의) 일면; 양상; 특질.

phe·nom·e·no·log·i·cal [finὰmǝnəlάdʒikəl/-nɔ̀m-] ɑ.

현상학의; 현상론의.

on·to·log·i·cal, -ic [ὰntǝlάdʒikəl/ɔ̀ntǝlɔ́dʒ-], [-ik] ɑ.

존재론(), 존재론적인.

 

<What is an Ontology? An ontology is a specification of a conceptualization. he word "ontology" seems to generate a lot of controversy in discussions about AI. It has a long history in philosophy, in which it refers to the subject of existence. It is also often confused with epistemology, which i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 con·cèp·tu·al·i·zá·tion n.

개념화.

 

2. 형상학적 차원으로서의 장()의 의미

The phenomenological dimensions are all those physical and environmental contexts in which we live and move. They might be the office in which one works, the house in which one lives, the city and country of which one is a citizen, and so forth.

 

현상학적인 차원은 우리가 생활하고 움직이는 모든 신체적 환경적인 상황을 말한다.

 

con·text [kάntekst/kɔ́n-] n.

(글의) 전후 관계, 문맥; (사건 등에 대한) 경위, 배경; 상황, 사정, 환경

 

3. 존재론적인 장의 의미

The ontological field is the objective reality that supports our physical existence. The ontological dimensions are all mental and physical dynamics that contribute to a person’s sense of self, one’s subjective experience - not merely elements of the environmental context.

 

존재론적인 장은 우리의 신체적인 존재를 지지하는 객관적 현실을 말한다.

 

4. 객관적 현실의 의미

These might be the memory of an uncle’s inappropriate affection, one’s color blindness, one’s sense of the social matrix in operation at the office in which one works, and so forth.

 

in·ap·pro·pri·ate [ìnǝpróupriit] ɑ.

부적당한, 온당치 않은.

ma·trix [méitriks, mǽt-] n. (pl. ~·es, -tri·ces [-trǝsìːz])

모체, 기반; 자궁; 모형(母型), 지형(紙型); 주형(鑄型);

 

5. The way that Gestalt therapists choose to work with field dynamics makes what they do strategic.

 

게슈탈트 치료자들이 장의 역학과 작업하는 것은 그들이 하는 일을 전략적으로 만든다.

 

ᛜdy·nam·ic [dainǽmik] ɑ.

동력의; 동적인.

역학상의

┈┈• ~ psychology 역동 심리학

stra·te·gic [strǝtíːdʒik] ɑ.

전략(); 전략상 중요한, 적의 군사·경제상 요충지를 노린폭격 따위.

 

6. 성격 구조에 초점을 맞춘다

Gestalt therapy focuses upon character structure; according to Gestalt theory, the character structure is dynamic rather than fixed in nature.

 

7. 개인의 성격 구조에 대해 지각하는 것

To become aware of one's character structure, the focus is upon the phenomenological dimensions in the context of the ontological dimensions.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88)

 

1. The goal of a phenomenological exploration is awareness. This exploration works systematically to reduce the effects of bias through repeated observations and inquiry.

 

현상학적인 탐구의 목표는 알아차림이다. 이러한 탐구활동에 의하여 반복되는 관찰과 조사에 의해 야기되는 편견 효과는 자동적으로 감소된다.

 

*bi·as [báiǝs] n.

사선(斜線), 엇갈림, 바이어스

선입관, 편견; 심리적 경향; 성벽(性癖)

ᛜex·plo·ra·tion [èksplǝréiʃən] n.

실지답사, 탐험, 탐사; (우주의) 개발; (문제 등의) 탐구, 조사

phe·nom·e·no·log·i·cal [finὰmǝnəlάdʒikəl/-nɔ̀m-] ɑ.

현상학의; 현상론의.

 

2. The phenomenological method comprises four steps: (1) the rule of epoché, (2) the rule of description, and (3) the rule of horizontalization.

 

현상학적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초기화의 법칙, 기술의 법칙, 평준화의 법칙 등이다.

 

de·scrip·tion [diskrípʃən] n.

① ? 기술, 묘사, 서술(account)

*ep·och [épǝk/íːpɔk] n.

(중요한 사건이 일어났던) 시대; (특색 있는) 획기적 시대.

획기적인 사건, 중요한 사건.

ep·och·al [épǝkəl/épɔk-] ɑ. 신기원의; 획기적인; 전대미문의.

ᛜcom·prise, -prize [kǝmpráiz] vt.

함유하다, 포함하다; 의미하다; 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성하다

 

3. Applying the rule of epoché one sets aside one's initial biases and prejudices in order to suspend expectations and assumptions.

 

중요한 사건의 법칙을 적용하는 경우, 개인은 기대와 가정을 중지하기 위하여 개인이 초기에 가지는 편견과 선입관을 제쳐놓아야 한다.

 

sus·pend [sǝspénd] vt.

달다, 걸다

중지하다, 일시 정지하다, 한때 멈추다, 연기하다

in·i·tial [iníʃəl] ɑ.

처음의, 최초의, 시작의; 초기의

어두(語頭); 머리글자의, 어두에 있는

*as·sump·tion [ǝsʌ́mpʃən] n.

인수, 수락, 취임

가정, 억측; 가설

 

4. Applying the rule of description, one occupies oneself with describing instead of explaining.

 

기술의 법칙을 적용하는 경우, 개인은 설명하는 대신에 자기 자신을 묘사하는 것에 집중하여야 한다.

 

5. 평준화의 법칙

Applying the rule of horizontalization one treats each item of description as having equal value or significance.

 

6. 초기화의 법칙

The rule of epoché sets aside any initial theories with regard to what is presented in the meeting between therapist and client.

 

7. 기술의 법칙

The rule of description implies immediate and specific observations, abstaining from interpretations or explanations, especially those formed from the application of a clinical theory superimposed over the circumstances of experience.

 

8. 평준화의 법칙

The rule of horizontalization avoids any hierarchical assignment of importance such that the data of experience become prioritized and categorized as they are received.

 

9.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는 게슈탈트 치료사

A Gestalt therapist utiliz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might say something like, “I notice a slight tension at the corners of your mouth when I say that, and I see you shifting on the couch and folding your arms across your chest and now I see you rolling your eyes back”.

 

10. 치료자의 임상학적 관련 평가

Of course, the therapist may make a clinically relevant evaluation, but when apply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emporarily suspends the need to express i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