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18)

 

현대심리치료기법에는 게슈탈트치료를 비롯해서 수많은 기법이 개발되어 있다. 우리는 기본적으로 게슈탈트 심리학, 게슈탈트 치료를 공부하지만, 그 이외에도 실존주의 치료법 등을 포함하여 다른 많은 심리치료를 연구할 것이다.

 

핵심은 인간의 심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분석하며, 이상심리가 형성된 사람을 치료자가 직접 만나서 대화를 하고, 개인의 비언어적 행동을 통해 그가 현재 지금 여기에서 느끼고 있는 감정과 생각, 욕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가 자신의 본래의 모습대로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1. Other important orientations developed in the last three decades include Feminist therapy, Brief therapy, Somatic Psychology, Expressive therapy, applied Positive psychology and the Human Givens approach which is building on the best of what has gone before.

 

지난 30년간 발달된 중요한 경향은, 여성주의치료, 단순치료, 신체심리학, 표현치료, 응용된 긍정심리학, 그리고 이미 지나간 것 가운데 가장 좋은 것 위에 만들어지는 인간위주의 접근법 등을 포함한다.

 

*ori·en·ta·tion [ɔ̀ːrientéiʃən] n.

동쪽으로 향하게 함

(건물 등의) 방위; 방위측정.

(외교 등의) 방침태도(의 결정); 적응 새로운 환경 등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적응) 지도신입생·신입사원 등의

pos·i·tive [pάzǝtiv/pɔ́z-] ɑ.

확신하는, 자신 있는

단정적인, 명확한, 의문의 여지가 없는

긍정적인.

OPP.negɑtive.

적극적인, 건설적인.

ᛜex·pres·sive [iksprésiv] ɑ.

() 표현하는, () 나타내는of

표정표현이 풍부한; 뜻이 있는, 의미가 있는 듯한표정·말 따위

so·mat·ic [soumǽtik] ɑ.

신체의; 육체의(physical); ·몸의; 체구의; 체강(體腔), 체벽(體壁).

 

2. During the 1950s, Albert Ellis originated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REBT).

 

1950년대에는 알버트 엘리스가 합리적 이성행동치료법을 창안했다.

 

emo·tive [imóutiv] ɑ.

감동시키는; 감정적인; 감동을 나타내는; 감정을 일으키는.

emo·tiv·i·ty [ìːmoutívǝti] n. ? 감동성.

*ra·tion·al [rǽʃənl] ɑ.

이성이 있는, 이성적인

합리적인; 사리도리에 맞는, 온당한

 

3. A few years later, psychiatrist Aaron T. Beck developed a form of psychotherapy known as cognitive therapy.

 

몇 년 뒤에는 정신과의사인 애론 벡이 인지치료법이라고 하는 심리치료법을 고안해냈다.

 

cog·ni·tive [kάgnǝtiv/kɔ́g-] ɑ.

인식의; 인식력이 있는

psy·chi·a·ter, -trist [saikáiǝtǝr], [-trist, si-] n.

정신병 의사학자.

 

<해설>

1. Psychotherapy often includes techniques to increase awareness, for example, or to enable other choices of thought, feeling or action; to increase the sense of well-being and to better manage subjective discomfort or distress.

 

심리치료는 개인으로 하여금 스스로 자신을 알게 하도록 만드는 기법을 개발하고 있다. 개인의 생각과 감정, 행동을 스스로 지각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시킨다. 그럼으로써 자기 자신의 걱정과 불안감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dis·tress [distrés] n.

심통(心痛), 비탄(grief), 고민, 걱정(worry); ? 걱정거리.

SYN⟩ ⇨??????.

고통(pain); ? 피로.

SYN⟩ ⇨?????????.

ᛜdis·com·fort [diskʌ́mfǝrt] n.

불쾌, 불안; ? 싫은불안한.

불편, 곤란, 슬픔.

 

2. Therapy may address specific forms of diagnosable mental illness, or everyday problems in managing or maintaining person relationships or meeting personal goals.

 

진단이 가능한 정신적 질환이나 일상 생활의 모든 문제들에 대해 치료하는 것이다. 개인의 인간관계를 유지시키고,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까지 관여한다.

 

3. Treatment of everyday problems is more often referred to as counseling (a distinction originally adopted by Carl Rogers) but the term is sometimes used interchangeably with “psychotherapy”.

 

일상의 모든 문제를 다루는 점에서 종종 상담이라도 불리워진다. 그러나 심리치료라고도 하는 것이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17)

 

오랫동안 게슈탈트 심리치료 공부를 하지 못했다. 연말연시였고, 또한 독서클럽에서 소설, <리투아니아 여인> 공부를 열심히 해야했기 때문이었다.

 

이제 다시 게슈탈트 심리치료 공부를 본격적으로 하기로 한다. 현대 심리학 전반에 걸쳐 외국의 학문적 성과를 돌아보고, 심리치료기법에 관해 달라진 내용을 파악해 보는데 중점을 두기로 한다.

 

1. Both of these included generally relative short, structured and present-focused therapy aimed at identifying and changing a person’s beliefs, appraisals and reaction-patterns, by contrast with the more long-lasting insight-based approach of psycho-dynamic or humanistic therapies.

 

이 두 가지는 개인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하고, 개인의 신념이나 평가, 반응형태 등을 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단기적이고 구조적이며 현재에 집중하는 치료법을 포함하고 있다. 그것은 비교적 오래 걸리는 내면에 기초한 심리역동적 또는 인본주의적 치료법과 대비된다.

 

ap·prais·al [ǝpréizəl] n.

평가, 감정, 사정, 견적; 사정견적가격, 사정액.

 

<해설> 종래의 심리치료기법이 개인의 내면세계를 세심하게 관찰하고 분석하여 이상심리의 원인을 밝히려고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면, 현대심리치료기법은 그 보다는 개인이 지금 여기에서 무엇을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고, 욕구하고 있는가 하는데 중점을 두고, 치료자와 환자가 같은 입장에서, 서로의 입장을 바꾸어서, 똑 같이 공감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환자의 오래 된 믿음과 생각, 환경에 대한 반응방법 등을 바꾸어나가려고 하는 것이다.

 

2. Cognitive and behavioral therapy approaches were combined and grouped under the heading and umbrella-term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in the 1970s.

 

인지적, 행동적 치료접근법은 1970년대에 인지행동치료(CBT)라는 주도적이고 광범위한 그룹으로 결합되었다.

 

cog·ni·tive [kάgnǝtiv/kɔ́g-] ɑ.

인식의; 인식력이 있는

~·ly ɑd.

còg·ni·tív·i·ty n.

 

3. Many approaches within CBT were oriented towards active/directive collaborative empiricism and mapping, assessing and modifying clients core beliefs and dysfunctional schemas.

 

인지행동치료법의 다양한 접근방법은 적극적/직접적인, 협조적인 경험주의에 따라, 개인의 중요한 신념과 기능장애의 원인을 확인하고 평가하며 이를 고치는 쪽으로 방향을 설정하였다.

 

map·ping [mǽpiŋ] n.

지도 작성; 사상(寫像); 컴퓨터매핑, 사상

col·lab·o·ra·tive [kǝlǽbǝrèitiv, -rǝtiv] ɑ.

협력적인하는, 합작의, 공동 제작의

dys·func·tion [disfʌ́ŋkʃən] n.

?? 〖()기능(disfunction); 기능 장애이상, 부전(不全).

vi. 기능 장애를 일으키다.

~·al ɑ.

sche·ma [skíːmǝ] n. (pl. ~·ta [-tǝ])

윤곽, 개요; 도해; (삼단 논법의) ;

as·sess [ǝsés] vt.

평가하다, 사정하다at; (세금·벌금 따위를) 사정하다at

 

4. These approaches gained widespread acceptance as a primary treatment for numerous disorders.

 

이러한 접근법은 다양한 심리적 이상증세를 치료하는 중요한 방법으로 널리 받아들여졌다.

 

*dis·or·der [disɔ́ːrdǝr] n.

무질서, 어지러움, 혼란

(pl.) 소요(騷擾), 불온.

(심신의) 부조(不調), 장애, 질환, 이상.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16)

 

인간은 살아있는 동안 끊임 없는 욕구를 생성시키고, 해소하거나 미해결과제로 남긴다. 욕망이 없는 인간이 있을 수 있을까?

 

하지만 동물과 달라서 인간은 모든 욕망을 충족시킬 수 없는 존재다. 식욕을 관리하지 못하면 비만하고, 고혈압 당뇨에 걸린다. 술이나 담배, 약물 중독에 빠지면 건강을 해치거나 인생을 망친다.

 

성욕을 통제하지 못하면 늙어서 주책을 부린다고 한다. 젊은 시절에 정욕의 노예가 되면, 멀쩡하던 사람이 감방에 가서 앉아있는다. 전자팔찌를 차고 감시대상이 된다. 결혼생활을 파탄나고 끊임 없이 사랑의 방랑자가 된다.

 

자본주의사회에서 돈욕심은 한이 없다. 돈의 노예로 전락한다. 하지만 돈이란 욕심을 부린다고 벌리는 것이 아니다. 무리한 투자를 하다가 파산하고, 다단계에 빠져 패가망신한다. 꽃뱀과 제비족이라는 불명예를 안기도 한다.

 

1. Based on existentialism and the works of Abraham Maslow and his hierarchy of human needs, Rogers brought person-centered psychotherapy into mainstream focus.

 

실존주의와 아브라함 매슬로우의 업적과 그의 인간욕구의 단계이론에 기초하여, 로저스는 인간중심의 심리치료에 주된 초점을 맞추었다.

 

hi·er·ar·chy [háiərὰːrki] n.

계급 제도; 권력자 집단.

ex·is·ten·tial [ègzisténʃəl, èksi-] ɑ.

존재에 관한, 실존의; 존재상의, 실체론상의; 실존주의의.

~·ìsm n. ? 〖실존주의.

~·ist n., ɑ. 실존주의자; 실존주의()

máin·strèam n.

(강의) 본류, 주류; (활동·사상의) 주류; (사회의) 대세

 

2. Rogers’s primary requirement is that the client should be in receipt of three core ‘conditions’ from their counsellor or therapist: unconditional positive regard, also sometimes described as ‘prizing’ the person or valuing the humanity of an individual, congruence [authenticity/genuineness/transparency], and empathic understanding.

 

로저스의 중요한 주장은 내담자는 그들의 상담자 또는 치료자로부터 세 가지 핵심적인 조건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조건 없는 긍정적 관점, 또한 개인을 칭찬해주는 것, 개인의 인간성을 평가하는 것, 일치감(확실성, 진정성, 투명성), 그리고 공감하는 이해등을 말한다.

 

gen·u·ine [dʒénjuin] ɑ.

진짜의, 정짜의

진심에서 우러난, 성실한(sincere, real); 거짓없는

em·path·ic [empǽθik] ɑ.

감정 이입의에 의한.

ans·par·en·cy [trænspέərǝnsi] n.

? 투명(); 투명도; 명료, 간명;

au·then·tic·i·ty [ɔ̀ːθentísǝti] n.

? 확실성, 신빙성; 출처가 분명함, 진정(眞正).

*core [kɔːr] n.

(과일의) 응어리, .

핵심; 정수(pith).

중심(); (나무의) 고갱이; (부스럼 따위의) ; (끈목·전선 따위의) ; (변압기 따위의) 철심; (주물의) 심형(心型).

(the ~) (사물의) 핵심, 안목(gist); (마음) .

*re·quire·ment [rikwáiǝrmǝnt] n.

요구, 필요. 필요 조건, 자격for

con·gru·ence, -en·cy [kάŋgruǝns, kǝngrúːǝns/kɔ́ŋ-], [-si] n.

일치, 합치; 조화(); 합동(合同), 합동식.

 

3. The aim in using the ‘core conditions’ is to facilitate therapeutic change within a non-directive relationship conducive to enhancing the client’s psychological well being. This type of interaction enables the client to fully experience and express themselves.

 

중요한 조건을 이용하는 목적은, 간접적인 관계내담자의 심리적인 안정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치료적 변화를 촉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내담자로 하여금 충분하게 경험하고 자신을 잘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en·hance [enhǽns, -hάːns] vt.

향상하다; 높이다, 늘리다, 더하다; 앙양하다

con·du·cive [kǝndjúːsiv] ɑ.

도움이 되는, 이바지하는, 공헌하는to

ᛜfa·cil·i·tate [fǝsílǝtèit] vt.

()쉽게 하다.

(행위 따위를) 돕다; 촉진조장하다.

 

4. Others developed the approach, like Fritz and Laura Perls in the creation of Gestalt therapy, as well as Marshall Rosenberg, founder of Nonviolent Communication, and Eric Berne, founder of Transactional Analysis. Later these fields of psychotherapy would become what is known as humanistic psychotherapy today. Self-help groups and books became widespread.

 

다른 사람들은 치료법을 개발하였다. 프릿츠와 로라 펄스는 게슈탈트 치료를 개발하였고, 마샬 로젠버그는 비폭력적 소통을 세웠다. 에릭 베른은 교류분석을 창설했다. 나중에 이러한 심리피료의 분야들은 인본주의적 심리치료법으로 알려졌다. 자조그룹과 책은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다.

 

trans·ác·tion·al análysis [trænsǽkʃǝnəl-, trænz-]

교류 분석생략: TA.

 

5. During the 1950s, Albert Ellis originated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REBT). A few years later, psychiatrist Aaron T. Beck developed a form of psychotherapy known as cognitive therapy.

 

1950년대에 알버트 엘리스는 이성적 감성행동치료를 만들었다. 몇 년 후에 정신과의사인 아론 벡은 인지치료라고 알려진 심리치료법을 개발하였다.

 

psy·chi·a·ter, -trist [saikáiǝtǝr], [-trist, si-] n.

정신병 의사학자.

emo·tive [imóutiv] ɑ.

감동시키는; 감정적인; 감동을 나타내는; 감정을 일으키는.

emo·tiv·i·ty [ìːmoutívǝti] n. ? 감동성.

 

<해설>

1. Maslow wanted to understand what motivated people, in order to accomplish that he studied the various needs of people and created a hierarchy out of those needs.

 

매슬로우는 동기가 부여된 사람들을 이해하기를 바랬다. 그것을 위해서 매슬로우는 인간의 다양한 욕구를 욕구하였고, 그들의 욕구로부터 단계이론을 구성하였다.

 

mo·ti·vate [móutǝvèit] vt.

동기를 주다, 자극하다(incite); 움직이다(move), 유발유도하다, 일으키다.

mó·ti·và·tor n.

 

2. The idea was that the needs that belong towards the end of the Pyramid are Deficit Needs/ Basic Needs (Physiological, safety, love/belonging, esteem) and the ones that belong to the top of the pyramid are Growth Needs (Self Actualization).

 

그 이론은 피라미트의 맨 아래에 위치한 욕구들은 결핍의 욕구/ 기본적인 욕구(생리적, 안전, 애정, 소속, 자존감)이며, 피라미트의 꼭대기에는 성장의 욕구(자기 실현)이 있다는 것이다.

 

*es·teem [istíːm] vt.

존경하다(respect), 존중하다

phys·i·o·log·ic, -i·cal [fìziǝlάdʒik/-lɔ́dʒ-], [-əl] ɑ.

생리학(), 생리적인.

 

3. One must satisfy lower level basic needs before progressing on to meet higher level growth needs. Once these needs have been reasonably satisfied, one may be able to reach the highest level called self-actualization.

 

개인은 보다 높은 단계의 성장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낮은 단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욕구들이 합리적으로 충족되면, 개인은 자기 실현이라는 높은 단계에 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4. The strongest criticism of this theory is based on the way this theory was formed. In order to create a definition of Self Actualization, Maslow identified 18 people as Self Actualizers and studied their characteristics, this is a very small percentage of people.

 

이러한 이론에 대한 강력한 비판은 이 이론이 형성된 과정에 대한 것이다. 자기 실현을 정의하기 위하여 매슬로는 자기 실현을 성취한 사람들로서 18명을 뽑아서 그들의 성격을 연구했는데, 이것은 너무 적은 분량이다.

 

5. Secondly there are artists, philosophers who do not meet the basic needs but show signs of Self Actualization.

 

두 번째는 기본적인 욕구는 충족시키지 못했지만 자기 실현을 보여준 예술가나 철학가들이 엄연히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15)

 

1. In the most basic sense of the term, self-consciousness is not something that comes about the moment one attentively inspects or reflectively introspects one’s experiences, or recognizes one’s specular image in the mirror, or refers to oneself with the use of the first-person pronoun, or constructs a self-narrative.

 

그 용어의 기본적인 개념으로소, 자기 자각은 주의깊게 검사하거나 자신의 경험을 되돌아보거나, 거울속에서 특별한 이미지를 인식하거나 첫 번째 사람의 인상을 이용하여 자신을 가르키거나, 자기 대화를 만들어나가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in·spect [inspékt] vt.

(세밀히) 조사하다, 검사하다, 감사점검하다

*con·scious·ness [kάnʃǝsnis/kɔ́n-] n.

의식, 자각; 알고 있음, 알아챔

pro·noun [próunàun] n.

문법대명사생략: pron.

term [tǝːrm] n.

기간; 임기; 학기

(의무·계약의) 기한, (만료)기일

*at·ten·tive [ǝténtiv] ɑ.

주의 깊은, 세심한to

 

2. Rather, these different kinds of self-consciousness are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pre-reflective self-consciousness which is present whenever I am living through or undergoing an experience, e.g., whenever I am consciously perceiving the world, remembering a past event, imagining a future event, thinking an occurrent thought, or feeling sad or happy, thirsty or in pain, and so forth.

 

오히려, 이러한 다른 종류의 자기 자각은 경험을 통하거나 겪음으로써 언제나 내가 살고 있는 현재에 대한 미리 예견하는 자기 자각과는 다른 현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내가 과거의 일을 기억하고 미래의 일을 상상하면서, 현재의 생각을 하고, 슬프거나 기쁘게 느끼고, 갈증을 느끼거나 통증을 느끼는 것으로 세상을 의식적으로 지각하는 경우를 말한다.

 

*dis·tin·guished [distíŋgwiʃt] ɑ.

눈에 띄는, 현저한(eminent).

oc·cur·rent [ǝkə́ːrǝnt, ǝkʌ́r-] ɑ.

현재 일어나고 있는(current); 우연의(incidental).

 

3. One can get a bearing on the notion of pre-reflective self-consciousness by contrasting it with reflective self-consciousness.

 

개인은 돌이켜보는 자기 자각과 대비하여 미리 스스로 지각하는 개념을 얻을 수 있다.

 

4. If you ask me to give you a description of the pain I feel in my right foot, or of what I was just thinking about, I would reflect on it and thereby take up a certain perspective that was one order removed from the pain or the thought.

 

만일 당신이 나에게 내가 나의 오른박에서 느끼는 통증에 대해서, 또는 내가 그에 관해 생각하는 것을 설명하라고 하면, 나는 그것을 생각하고, 그럼으로써 그런 통증이나 생각으로 벗어난 하나의 요구에 대한 일정한 개념을 잡을 것이다.

 

*per·spec·tive [pǝːrspéktiv] n.

① ? 원근(), 투시 화법; ? 투시화

원경(遠景), 경치, 조망.

③ ? 전망; 시각, 견지; ?? 상관 관계; (사물의) 균형

 

5. Thus, reflective self-consciousness is at least a second-order cognition. It may be the basis for a report on one’s experience, although not all reports involve a significant amount of reflection.

 

이와 같이, 회상하는 자기 자각활동은 적어도 두 번째 요구되는 인지작용이다. 그것은 비록 모든 보고가 반응의 상당한 양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개인이 경험에 대한 보고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cog·ni·tion [kɑgníʃən/kɔg-] n.

? 인식(·작용), 인지; 지각(된 것); 지식; Sc.(정식) 인지.

ᛜre·flec·tive [rifléktiv] ɑ.

반사하는; 반영하는; 반사반영에 의한

숙고하는; 반성적인, 사려 깊은.

 

<해설>

1. Although phenomenologists do not always agree on important questions about method, focus, or even whether there is an ego or self, they are in close to unanimous agreement about the idea that the experiential dimension always involves such an implicit pre-reflective self-awareness.

 

비록 현상학자들이 방법, 초점, 또는 심지어는 자아 또는 자기의 존재 여부에 대해 항상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들은 경험의 영역은 언제나 선행하는 은연중에 이루러지는 자기 지각활동을 포함한다는 생각에 거의 동의하고 있다.

 

*im·plic·it [implísit] ɑ.

은연중의, 함축적인, 암시적인, 암묵의.

무조건의(absolute), 절대적인, 맹목적인

내재잠재하는(potential)in.

 

2. 인식은 자기 표현을 내포하며, 경험은 언제나 자기 표현이다.

 

In line with Edmund Husserl (1959, 189, 412), who maintains that consciousness always involves a self-appearance (Für-sich-selbst-erscheinens), and in agreement with Michel Henry (1963, 1965), who notes that experience is always self-manifesting, and with Maurice Merleau-Ponty who states that consciousness is always given to itself and that the word ‘consciousness’ has no meaning independently of this self-givenness (Merleau-Ponty 1945, 488), Jean-Paul Sartre writes that pre-reflective self-consciousness is not simply a quality added to the experience, an accessory; rather, it constitutes the very mode of being of the experience:

 

3. This self-consciousness we ought to consider not as a new consciousness, but as the only mode of existence which is possible for a consciousness of something (Sartre 1943, 20 [1956, liv]).

 

우리는 자기 지각을 하나의 새로운 인식으로 생각할 것이 아니라, 어떠한 사물을 인식하는 가능성의 하나의 존재라고 보아야 한다.

 

4. In short, unless a mental process is pre-reflectively self-conscious there will be nothing it is like to undergo the process, and it therefore cannot be a phenomenally conscious process (Zahavi 1999, 2005, 2014).

 

간단히 말해서, 정신적 과정이 사전에 반응하는 자기 지각이 아니라면, 과정을 겪어야 하는 것과 같은 것은 없을 것이며, 그래서 현상학적으로 의식의 과정이 될 수 없다.

 

5. 내가 살아가면서 겪는 경험은 다른 사람에 대한 관계와는 다른 방식으로 나에게 다가오는 것이다<It refers to the fact that the experiences I am living through are given differently (but not necessarily better) to me than to anybody else>.

 

6. 내가 느끼는 너의 슬픔은 나의 슬픔과는 질적으로 다른 것이다(I may see that you are sad, but my seeing your sadness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my living through my sadness).

 

7. 나의 경험은 나만의 경험이다.

It could consequently be claimed that anybody who denies the for-me-ness of experience simply fails to recognize an essential constitutive aspect of experience.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14)

 

인간은 매우 연약한 존재다. 쉽게 병들고, 나이 들면 늙고 추해지고, 정신적으로 매우 약하고 쉽게 깊은 상처를 받을 수 있는 존재다. 게다가 인간은 혼자 무인도에서 살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잠시도 가만 있지 못하고 누군가와 관계를 맺고 살아야 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 코로나 바이러스균에 의해 감염되고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 요새는 그래서 사람이 무섭다. 누가 감염되어 바이러스균을 가지고 있는지 모르기 때문이다.

 

실존적 심리치료기법에서는 이러한 연약한 실존에 대해 해부하고 분석한다. 거기에 대응해서 실존을 강하게 성장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한다.

 

1. Psychological theories are generally based in more pervasive philosophical concepts, such as naturalism or humanism.

 

심리학의 이론들은 일반적으로 널리 퍼져있는 철학적 개념, 예컨대 자연주의 또는 인문주의와 같은 것에 기초를 두고 있다.

 

hú·man·ìsm n.

인간성. 인도주의. 인문인본주의; (or H-) 인문학14-16세기에 있었던 그리스·로마 문학 연구.

nát·u·ral·ìsm n.

① ? 〖·자연주의, 사실(寫實)주의.

*psy·cho·log·i·cal, -log·ic [sàikǝlάdʒikəl/-lɔ́dʒ-], [-dʒik] ɑ.

심리학(), 심리학적인; 정신적인

per·va·sive [pǝrvéisiv] ɑ.

(특히 좋지 않은 것이) 널리 퍼지는, 침투하는, 어디에나 있는, 널리 스며 있는

┈┈• a ~ smell of damp 온통 퍼져 있는 습한 냄새.

 

2. Existential therapy is unique in that it is more of a philosophical orientation to therapy than an actual therapeutic theory.

 

실존적 치료기법은 그것이 실제적인 치료이론이라기 보다는 치료에 관한 철학적 방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고 할 수 있다.

 

*ori·en·ta·tion [ɔ̀ːrientéiʃən] n.

동쪽으로 향하게 함; (교회를) 성단이 동쪽이 되도록 세움

(건물 등의) 방위; 방위측정.

(외교 등의) 방침태도(의 결정); 적응 새로운 환경 등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적응) 지도신입생·신입사원 등의

 

3. Viktor Frankl and Rollo May are the primary existential therapy theorists. Frankl lost his family to Nazi concentration camps and was himself a prisoner in Auschwitz and Dachau. Though he had already begun forming an existential approach to therapy prior to his imprisonment, Frankl tested his views on finding meaning in suffering and found them confirmed during his time in the concentration camps. May also experienced suffering and was greatly influenced by Søren Kierkegaard and Paul Tillich.

 

Viktor Frankl 그리고 Rollo May는 최초의 실존적 치료기법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다.

 

4. Existential therapy assumes human freedom and a corresponding human responsibility for choices and actions.

 

실존적 치료기법은 인간의 자유와 선택과 행동에 대한 인간의 부응하는 책임을 당연한 것으로 여긴다.

 

실존적 치료기법은

*as·sume [ǝsjúːm] vt.

당연한 것으로 여기다

(태도를) 취하다; (임무·책임 따위를) 떠맡다

(성질·양상을) 띠다, 나타내다

④ 《~+?/+to do짐짓 가장하다, 인 체하다, 꾸미다

*cor·re·spond·ing [kɔ̀ːrǝspάndiŋ, kὰr-/kɔ̀rǝspɔ́nd-] ɑ.

대응하는, 상응하는; 유사한

부합하는, 일치하는, 조화하는to; with.

 

5. Clients are encouraged to reflect on lif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ir own choices and reactions, and learn to exercise responsibility in shaping their own lives. Meaning is a primary focus.

 

내담자들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그들의 선택과 반응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게 되며, 자신의 인생을 형성하기 위한 책임을 실천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의미는 가장 중요한 초점이 된다.

 

6. Existentialism posits that humans possess a capacity for self-awareness; freedom, which necessitates responsibility; the ability to create a personal identity and establish meaningful relationships; a drive to search for meaning and purpose, which leads to the formation of goals and values; anxiety; and an awareness of death or nonbeing.

 

실존주의는 인간은 스스로 알아차리는 능력, 책임을 필요로 하는 자유, 개인의 정체성을 만들고 의미 있는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 목표와 가치를 추구하는 의미와 목적을 가지는 동기, 불안감, 죽음과 소멸에 대한 인식에 대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전제한다.

 

pos·it [pάzit/pɔ́z-] vt.

놓다, 앉히다; 단정하다, 긍정적으로 가정하다.

 

7. Existential therapy seeks to balance one’s awareness of limitations and tragedies with an awareness of opportunities and potential.

 

실존적 치료기법은 개인의 한계에 대한 인식과 기회와 가능성에 대한 인식에 따른 불행 사이에 균형을 찾으려고 한다.

 

<해설>

1. Existential therapy is used to help clients become more self-aware and better able to authentically interact with the world.

 

실존적 치료는 내담자로 하여금 보다 자지 자신을 알게 하고, 세상과 진정으로 상호작용을 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ᛜau·then·tic, -ti·cal [ɔːθéntik], [-əl] ɑ.

믿을 만한, 확실한, 근거가 있는.

진정한, 진짜의

③ 〖인증된

-ti·cal·ly ɑd. 확실히; 진정하게

 

2. After clients realize they have not taken personal responsibility, they are encouraged to live life actively and redefine themselves.

 

내담자들이 자신의 개인적인 책임을 부담하지 않았다는 점에 대해 깨닫게 되면, 그들은 자신의 삶을 적극적으로 살고 자신을 다시 재정의하게 된다.

 

3. Therapy also addresses any anxieties a client has, to date, been too afraid to confront.

 

실존적 치료는 내담자가 지금까지 가지고 있었던 불안감을 직면하도록 한다.

 

4. Existential therapists aim to provide clients with insight that leads to action.

 

실존적 치료는 내담자로 하여금 행동을 나아가기 위한 통찰력을 가지도록 한다.

 

*in·sight [ínsàit] n.

? 통찰, 간파; 통찰력into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13)

 

우리는 현실에 대해 냉정하고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신이 처해 있는 환경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현실성이 없는 사람은 곧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상실하고 표류하게 된다.

 

현실성이 없다는 것은 삶이 얼마나 치열하고 무한경쟁이며, 사람들의 본성이 매우 이기적이고 개인주의적이며, 물질우선주의에 빠져있다는 사실을 무시하는 것이다.

 

그 결과 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의식주를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고 공허하며 비현실적인 생활을 하게 된다. 사회의 보편적인 사고나 의식에서 벗어나고 현실에 적응을 하지 못한다.

 

이러한 사람들에게 심리치료는 어떻게 하여야 할까? 실존 심리치료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여러 가지 제안을 하고 있다.

 

1. An example is an African American client who comes from the ghetto and the existential therapist consistently tells the client that he or she has a choice in making his or her life better, when in reality he or she does not.

 

하나의 예로 아프리카계 미국인 내담자가 있다. 그는 슬럼가에 살고 있는데, 실존적 치료사는 계속해서 내담자가 자신의 삶을 보다 낫게 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현실은 그 내담자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상황에 있다.

 

ghet·to [gétou] n. (pl. ~(e)s)

유대인 강제 거주 구역; (특정 사회 집단의) 거주지; (흑인 등 소수 민족) 빈민굴; 슬럼(slum), 고립 집단 (지구).

 

2. A student learning from a teacher c Existential psychotherapy is often misperceived as some morbid, arcane, pessimistic, impractical, cerebral, esoteric orientation to treatment. We are a living paradox I guess.

 

교사로부터 실존 심리치료를 배우는 학생은 때로 치료에 대하여, 약간 불건전하고, 비관적이고, 비실용적이고, 사색적이고, 은밀한 것으로 안내를 받아 오해를 하기도 한다.

 

es·o·ter·ic, -i·cal [èsoutérik], [-əl] ɑ.

비교적(秘敎的)(OPP.exoteric), 비법의, 비밀의, 내밀한(secret).

cer·e·bral [sérǝbrəl, sǝríː-] ɑ.

대뇌의; 뇌의; 지성에 호소하는, 지적인; 사색적인,

ar·cane [ɑːrkéin] ɑ.

비밀의; 불가해한.

*mor·bid [mɔ́ːrbid] ɑ.

병적인, 불건전한, 음침한; 우울한

병의, 병에 기인한.

섬뜩한, 소름끼치는

 

3. Safety needs have to do with establishing stability and consistency in a chaotic world. These needs are mostly psychological in nature. We need the security of a home and family. However, if a family is dysfunction, i.e., an abusive husband, the wife cannot move to the next level because she is constantly concerned for her safety.

 

안전의 욕구는 혼란스러운 세상에서 안정성과 지속성을 위해 무엇인가 하도록 만든다. 이러한 안전의 욕구는 대부분 본질상 심리적인 것이다. 우리는 가정과 가족의 안전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만일 가족 중 한 사람이 기능장애가 있는 경우, 예를 들면 폭력적인 남편이 있는 경우에는 아내는 그녀의 안전에 끊임없이 신경을 쓰기 때문에 다른 단계로 나아갈 수 없는 것이다.

 

ᛜabu·sive [ǝbjúːsiv] ɑ.

욕하는, 매도하는, 입정 사나운

(특히 육체적으로) 학대혹사하는.

악용남용하는; 부정부패

dys·func·tion [disfʌ́ŋkʃən] n.

()기능(disfunction) 기능 장애이상, 부전(不全).

 

4. Love and belongings have to wait until she is no longer cringing in fear. Many in our society cry out for law and order because they do not feel safe enough to go for a walk in their neighborhood.

 

사랑과 가족은 아내가 불안에 떨고 있는 동안은 그녀의 관심사가 되지 못한다.

우리 사회의 많은 사람들은 동네에서 산책을 갈 정도로 안전하게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법과 질서에 호소하고 있다.

 

críng·ing ɑ.

(공포로) 움츠린, 곱송그리는.

굽실굽실하는, 비굴한.

.

5. Many people, particularly those in the inner cities, unfortunately, are stuck at this level. In addition, safety needs sometimes motivate people to be religious. Religions comfort us with the promise of a safe secure place after we die and leave the insecurity of this world.

 

많은 사람들, 특히 도심지에 사는 사람들은 불행하게도 이런 단계에 머물러있다. 게다가, 안전의 욕구는 때로 사람들을 종교에 몰입하게 만든다. 종교는 우리가 죽은 다음 불안한 이 세상을 떠나게 되면, 안전하고 아무런 위협이 없는 장소로 우리를 데려갈 것을 약속하면서 위로하고 있다.

 

<해설>

게슈탈트 치료에서는, 치료사의 고정된 자아에 의하여 도움을 받거나 치유가 되는 내담자의 자아가 아니라, 내담자 자신과 다른 사람 사이에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상호 탐구와 공동의 창의적 활동에 중심을 두고 있다(In Gestalt therapy then, the approach is not the self of the client being helped or healed by the fixed self of the therapist, but the exploration of the co-creation of self and other in the here-and-now of the therapy).

 

개인의 심리적인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은, 혼란스럽고 정신이상적인 행동을 야기시키는 자기 주관이 결여이거나 또는 일정한 범위에서 자발적인 행동을 하지 못하고 특정한 상황을 다루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지나치게 자기 주관이 강한 경우이다(However, the areas that cause problems will be either the lack of self definition leading to chaotic or psychotic behaviour, or the rigid self definition in some area of functioning that denies spontaneity and makes dealing with particular situations impossible).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12)

 

1. In field theory, self is a phenomenological concept, and is a comparison with ‘other’. Without other there is no self, and how I experience other is inseparable from how I experience self.

 

장의 이론에서는, 자아는 현상학적 개념이며, 타인과 대비된다. 타인이 없으면 자아도 있을 수 없다. 그리고 내가 타인을 경험하는 방식은 내가 자아를 경험하는 방식과 분리될 수 없다.

 

2. The continuity of selfhood (personality functioning) is something achieved rather than something inherent “inside” the person, and has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자아의 연속성(인격의 기능성)은 개인의 내면에서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이 아니고, 노력으로 얻어지는 것이며, 그것은 나름대로의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다.

 

ad·van·tage [ædvǽntidʒ, -vάːn-, ǝd-] n.

① ? 유리; 이익; 편의

② ? 우세, 우월of something to someone

③ ? 이점, 장점

*in·her·ent [inhíərǝnt] ɑ.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고유의, 본래의, 타고난; 선천적인in

sélf-hòod n.

자아, 개성; 인격; 이기심.

ᛜcon·ti·nu·i·ty [kὰntǝnjúːǝti/kɔ̀n-] n.

연속(), 연속 상태, 계속; (논리의) 밀접한 관련; 연속

continue v.

 

3. At one end of the spectrum, there is not enough self-continuity to be able to make meaningful relationships or to have a workable sense of who I am.

 

그 영역의 한쪽 끝에는, 의미있는 관계를 맺도록 하거나 또는 내가 누구인가에 대한 기능적인 인식을 가지는 자기 연속성이 충분하지 않은 것이다.

 

ᛜspec·trum [spéktrǝm] n. (pl. -tra [-trǝ], ~s)

① 〖스펙트럼, 분광; (눈의) 잔상(殘像).

(변동이 있는 것의) 범위, 연속체.

 

4. In the middle, personality is a loose set of ways of being that work for me, commitments to relationships, work, culture and outlook, always open to change where I need to adapt to new circumstances, or just want to try something new.

 

그 중간 영역에는, 성격은 나를 위해 작동을 하는 고정되어 있지 않은 여러 가지 방법과 인간관계, , 문화, 외모에 대응하는 것을 말하며, 내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필요가 있을 때 또는 새로운 일을 하고자 할 때 항상 변화를 수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per·son·al·i·ty [pə̀ːrsənǽlǝti] n.

개성, 성격, 인격, 인물, 특히매력 있는 성격

 

5. At the other end, it is a rigid defensive denial of the new and spontaneous. I act in stereotyped ways, and either induct other people to act in particular and fixed ways towards me; or I redefine their actions to fit with the fixed stereotypes.

 

다른 한쪽 끝에는, 새로운 것이나 자발적인 것에 대해서는 강하게 방어적으로 거부하는 태도를 보인다. 나는 매우 진부한 방식으로 상투적으로 행동하며, 다른 사람들도 나에게 특별하고 고정된 방법으로 행동하도록 요구하거나 나 스스로 그들의 행동을 고정된 방법으로 재평가하는 것이다.

 

in·duct [indʌ́kt] vt.

이끌어 들이다, 안내하다(lead), (자리에) 앉히다; 입회시키다into; to

전수하다, 초보를 가르치다to; into

ᛜster·e·o·type [stériǝtàip, stíər-] n.

① 〖〗 ?? 연판(鉛版)(stereo), 스테로판; ? 연판 제조, 연판 인쇄.

② 《고정 관념, 판에 박힌 문구; 상투 수단.

~d [-t] ɑ. 연판의; 판에 박은, 진부한

┈┈• ~d phrases 상투 문구.

 

<해설>

사람의 심리문제는 언제나 <> 자신의 문제이다. 내가 중요한 것이지, 다른 사람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때문에 심리학이나 심리치료에서는 <self>가 중요하다.

 

<> 자신을 자세하게 관찰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는 지금 어떤 생각을 하고 있고, 어떻게 행동하고 있는가? 나의 욕구와 감정은 무엇이고, 무엇에 눌려 있으며, 어떻게 고착되어 있는가?

 

나의 생각은 고리타분하고 과거에 매여있는 것은 아닌가? 나이를 먹어도 세상의 변화를 거부하고 우물안 개구리처럼 살고 있는 것은 아닌가?

 

혼자 잘못 생각함으로써 변화하는 사회적 도덕과 윤리, 가치관과 이념에 부응하지 못하고,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인간은 혼자 살 수 없는 존재다. 그래서 나에게는 반드시 너라는 타인이 필요하다. 때문에 먼저 <self>의 문제는 <other>의 존재와 함께 연관시켜서 생각하고 풀어야 한다.

 

<self>는 홀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때문에 <self><other>에 대해 오픈(open)되어야 한다. 나는 너와 공존하여야 한다. 나를 너에게 일방적으로 강요해서는 안 된다. 나는 너와 똑 같은 입장이 되어야 하고, 똑 같이 공감하여야 한다. 너의 위치로 내가 내려가야 한다. 또는 너의 위치로 내가 올라가야 한다. 오케스트라 단원들은 모두 똑 같은 높이에서 연주를 한다. 그리고 모두 지휘자를 마주 보아야 한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11)

 

인간의 심리는 겉으로 보이지 않는다. 다른 사람이 머릿속으로 생각하고, 무엇을 욕구하고 어떤 감정을 느끼고, 어떻게 행동하려고 하는 것인지를 안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뿐만 아니라, 인간은 타인이 문제가 아니라,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잘 모른다. 자신의 생각과 감정, 욕구와 관심, 사랑과 미움, 분노와 충동, 선악의 구분이 어떠한지 스스로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도 힘든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리학자들은 이러한 인간의 생각과 행동, 심리에 대해 엄청난 노력을 해왔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이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에 대해 연구했다. 이드, 자아, 초자아로 구분하여 설명했다.

 

1. Psychoanalysis was perhaps the first specific school of psychotherapy, developed by Sigmund Freud and others through the early 1900s.

 

정신분석학은 아마 심리치료기법으로 최초로 독특한 학파라고 할 수 있는데, 지그먼트 프로이트와 다른 사람들에 의하여 1900년대 초반에 발달되었다.

 

psỳcho·thérapy n.

? 정신심리요법.

-apist n. 정신심리요법 의사.

*spe·cif·ic [spisífik] ɑ.

특유한, 특수한, 독특한(peculiar).

일정한, 특정한(specified)

psỳcho·análysis n.

정신 분석()

 

2. Trained as a neurologist, Freud began focusing on problems that appeared to have no discernible organic basis, and theorized that they had psychological causes originating in childhood experiences and the unconscious mind.

 

신경과 정신의사로서 훈련을 받은 프로이트는, 분별력이 없는 유기체의 근본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유아기의 경험과 무의식적으로부터 야기되는 심리적인 원인들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였다.

 

*dis·cern [disə́ːrn, -zə́ːrn] vt.

분별하다, 식별하다

인식하다, 알다, 이해하다, 깨닫다; 발견하다

~·i·ble, ~·a·ble ɑ. 식별판별, 분간할 수 있는.

neu·rol·o·gist [njuərάlǝdʒist/-rɔ́l-] n.

신경()학자, 신경과 전문 의사.

 

3. Techniques such as dream interpretation, free association, transference and analysis of the id, ego and superego were developed.

 

꿈의 해석, 자유 연상, 전이, 이드와 자아, 초자아 분석 등과 같은 기법이 발달되었다.

 

trans·fer·ence [trænsfə́ːrǝns, trǽnsfər-] n.

? 이전, 옮김; 이동, 전송(轉送); 양도; 정신(감정) 전이.

-fer·en·tial [træ̀nsfǝrénʃəl] ɑ.

 

4. Many theorists, including Anna Freud, Alfred Adler, Carl Jung, Karen Horney, Otto Rank, Erik Erikson, Melanie Klein, and Heinz Kohut, built upon Freud’s fundamental ideas and often formed their own differentiating systems of psychotherapy.

 

애나 프로이트, 알프레드 아들러, 칼 융, 캐런 호니, 오토 랭크, 에릭 에릭슨, 멜라니 클라인, 하인츠 코후트 등을 포함한 많은 이론가들이 프로이트의 기본 개념 위에 기초를 두고, 종종 그들 나름의 차별화된 심리치료기법을 형성하였다.

 

5. These were all later categorized as psychodynamic, meaning anything that involved the psyche’s conscious/unconscious influence on external relationships and the self. Sessions tended to number into the hundreds over several years.

 

이들은 나중에 모두 정신역동학으로 분류되었다. 그것은 외부와의 관계와 자아에 대한 정신적인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 영향에 연관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해설>

게슈탈트 심리치료도 이러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을 많이 수용하고 있다. 다만, 게슈탈트 심리치료는 인간의 무의식이나 꿈에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유기체인 인간이 외부 환경과의 경계에서 정상적인 접촉활동을 통해, 현상학적으로 장의 이론에 따라 전체적인 관점에서 각 부분 요소들을 통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가지는 다른 하나로써 자신에게 필요하고 유익하고 중요한 게슈탈트를 형성하고, 자신의 잠재력을 창의적으로 발휘하여 이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런 의미에서 모든 연구, 분석, 치료의 초점은 과거나 미래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지각과 해결이다. 그래서 내용보다 과정에 치중하고, 살아있는 유기체의 실존적 현상학적 체험을 중요시 한다.

 

현재의 상태에서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자기 자신의 본래의 모습을 찾도록 하고, 자기 자신의 욕구와 감정에 충실한 삶을 살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우리도 이러한 심리학을 공부하여, 나 자신과 나와 너의 관계에 적용하여 나의 심리, 너의 심리를 분석하고 정확하게 파악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10)

 

인간이 이상심리는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고 좌절될 때 생기기도 한다. 우리는 심리학을 통해서 인간의 욕구가 무엇인가? 욕구가 억제되고 충족되지 못하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가? 이러한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할 필요가 있다.

 

인간은 식욕과 성욕, 물질욕, 명예욕, 정복욕 등등 수많은 욕망을 가지고 살아간다. 많은 경우 우리의 욕망과 욕구는 충족될 수 없다. 현실이 그렇게 만들기 때문이다.

 

사회에 순응해 가면서 살려면 당연히 부질 없는 욕망을 버려야 하고, 욕구를 억제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감방에 가거나 사회적 비난을 받게 된다.

 

나이 들어 성욕을 억제하지 못하고 성추행을 하거나 성범죄를 저질러서 패가망신하는 사람이 있다. 부정한 방법으로 돈을 벌다가 탈세나 횡령등으로 감방에 가있기도 한다.

 

장관이 되려고 추악한 과거를 감추고, 갖은 위선을 떨다가 인사청문회에서 탈탈 털려서 파렴치범으로 낙인찍히고 물러나는 사람들도 있다. 여자 정복욕이 강해서 부인을 여러 명 두고 사생아를 열명 이상 두었다가 회장이 죽고나서 상속분쟁 때문에 회사가 망하는 경우도 있다.

 

인간의 욕구에 대해서는 매슬로우의 욕구이론이 있다. 앞으로 이 이론에 대해서 차분하게 공부해 보기로 한다.

 

1. The goal of existential therapy is to understand the subjective world of the client and to help them come to new understandings and new options.

 

실존적 치료의 목표는 내담자의 주관적 세계를 이해하고, 내담자로 하여금 새로운 이해와 새로운 선택을 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ex·is·ten·tial [ègzisténʃəl, èksi-] ɑ.

존재에 관한, 실존의; 존재상의, 실체론상의; 실존주의의.

 

2. According to Maslow, there are general types of needs (physiological, safety, love, and esteem) that must be satisfied before a person can act unselfishly. He called these needs "deficiency needs."

 

매슬로우에 의하면, 개인이 이기적이 아닌 동기로 행동하기 위해서는 먼저 충족되어야 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욕구들이 있다. 생리적 욕구, 안전감, 애정, 존중 등이다. 이러한 것을 그는 결핍 욕구라고 불렀다.

 

*es·teem [istíːm] vt.

존경하다(respect), 존중하다

간주하다, 으로 생각하다(consider)

*un·self·ish [ʌnsélfiʃ] ɑ.

이기적이 아닌, 욕심사심이 없는

ᛜde·fi·cien·cy [difíʃənsi] n.

결핍, 부족, 결여; 영양부족, 영양소 결핍; 결손; 결함.

OPP.sufficiency.

phys·i·o·log·ic, -i·cal [fìziǝlάdʒik/-lɔ́dʒ-], [-əl] ɑ.

생리학(), 생리적인.

 

3. As long as we are motivated to satisfy these cravings, we are moving towards growth, toward self-actualization. Satisfying needs is healthy; blocking gratification makes us sick or evil. In other words, we are all "needs junkies" with cravings that must be satisfied and should be satisfied. Else, we become sick.

 

우리가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동기를 가질 때, 우리는 성장과 자기실현을 향하게 된다.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은 건강하다. 욕구의 충족을 방해하는 것은 우리로 하여금 아프거나 나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우리는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수많은 욕구로 채워져 있다. 이러한 욕구가 불충족되면 우리는 병들게 되는 것이다.

 

ᛜgrat·i·fi·ca·tion [græ̀tǝfikéiʃən] n.

? 만족(시킴), 희열, 욕구 충족; 만족감; ? 만족시키는 것

junky [dʒʌ́ŋki] n.

=??????; 고물상.

ɑ. 잡동사니의, 2급품의.

*crav·ing [kréiviŋ] n.

갈망, 열망; 간원

 

4. Needs are proponent. A proponent need is one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ver our actions. Everyone has a proponent need, but that need will vary among individuals.

 

욕구는 개인의 행동을 이끈다. 행동을 이끄는 욕구는 개인의 행동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그러한 욕구는 개인에 따라 다르다.

 

pro·po·nent [prǝpóunǝnt] n.

제안자, 제의자, 발의자; 옹호자, 지지자.

OPP.opponent.

 

5. A teenager may have a need to feel that a group accepts him. A heroin addict will need to satisfy his/her cravings for heroin to function normally in society, and will not worry about acceptance by other people.

 

10대는 집단이 자신을 받아주도록 느끼는 욕구를 가진다. 헤로인 중독자는 사히에서 헤로인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기를 바란다. 그러면서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욕구를 받아줄 것인지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는다.

 

<해설>

인간은 누구나 불안감을 느낀다. 인간의 근심과 걱정, 그리고 불안은 외톨이가 되거나 고독한 상황,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서 나타난다(Any anxieties a person comes across will be explored for fears of isolation, loneliness, and death).

 

인간이 불안을 느낄 때 옆에서 어떻게 도와주어야 하는가? 먼저 불안의 대상과 원인, 이유를 서로 대화를 통해 파악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대의 비언어적 표현, 표정, 동작 등을 예의 살펴서 불안의 정도를 알아야 한다.

 

남편은 아내의 불안감을 똑 같은 정도로 공감하고 같이 느낄 수 있어야 한다. 아내의 입장이 되어야 한다. 그러면서 불안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야 한다.

 

아내는 자신이 느끼는 불안감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지 못할 수도 있다. 솔직하게 모든 것을 다 이야기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남편은 시간을 가지고 자세하게 파악하여야 한다.

 

불안감의 원인이 되는 것을 해소하고 해결하려는 노력을 같이 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불안해 하는 것은 문제 해결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문제 해결을 방해하거나 비효율적임을 같이 깨달아야 한다.

 

지금 여기에서 느끼는 불안감은 나중에 시간이 가서, 1년 후 또는 5년 후, 10년 후, 아니면 죽을 때가 되면 그것이 너무 지나치게 불안감을 느꼈다고 생각이 될 것이라는 사실을 인지할 필요도 있다.

 

그리고 개인에게 닥치는 나쁜 일, 좋지 않은 일, 불행한 일은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으며, 그것을 피하려고 모두 노력은 하지만, 피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는 세상 이치를 깨달아야 한다.

 

그럴 때는 아내에게 그런 불행을 받아들이도록 마음 가짐을 갖도록 해야 한다. ‘진인사 대천명(盡人事 待天命)’임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세상에는 자신보다 더 큰 불행을 당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사실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09)

 

1. Field-theoretical strategies / “The field” can be considered in two ways. There are ontological dimensions and there are phenomenological dimensions to one’s field.

 

() - 이론적 전략들 / 장은 두 가지로 이해된다. 개인의 장에는 존재론적 차원과 현상학적 차원이 존재한다.

 

*di·men·sion [diménʃən, dai-] n.

치수; ··컴퓨터차원(次元)

(보통 pl.) 용적; 면적; 부피(bulk); 크기; (pl.) 규모, 범위; 중요성.

(문제 등의) 일면; 양상; 특질.

phe·nom·e·no·log·i·cal [finὰmǝnəlάdʒikəl/-nɔ̀m-] ɑ.

현상학의; 현상론의.

on·to·log·i·cal, -ic [ὰntǝlάdʒikəl/ɔ̀ntǝlɔ́dʒ-], [-ik] ɑ.

존재론(), 존재론적인.

 

2. The ontological dimensions are all those physical and environmental contexts in which we live and move. They are the office in which one works, the house in which one lives, the city and country of which one is a citizen, and so forth.

 

존재론적 차원에는 신체적, 환경적 관점에서 우리가 살고 활동하는 모든 것들을 말한다. 개인이 일하는 사무실, 개인이 살고 있는 집, 개인이 구성원으로서의 시민인 도시와 국가 등이 있다.

 

3. The ontological field is the objective reality that supports our physical existence.

 

존재론적 장은 개인의 신체적 존재를 지탱하는 객관적 실재를 말한다.

 

4. The phenomenological dimensions are all mental and physical dynamics that contribute to a person’s sense of self, one’s subjective experience, but are not merely elements of the environmental context.

 

현상학적 차원의 장이란, 개인의 자아인식, 주관적 경험에 기여하는 모든 정신적, 육체적 동력을 말한다. 환경적 관점에서의 단순한 요소에 불과한 것이 아니다.

 

ᛜdy·nam·ic [dainǽmik] ɑ.

동력의; 동적인.

OPP.stɑtic.

역학상의

n.

; 원동력; 변천발달의 형(dynamics).

 

5. This could be the memory of an uncle’s inappropriate affection, one’s color blindness, one’s sense of the social matrix in operation at the office in which one works, and so forth.

 

이것은 삼촌의 부적절한 애정, 피부색에 대한 무지, 개인이 근무하는 사무실에서의 사회적 작동모형 등에 대한 기억일 수 있다.

 

ma·trix [méitriks, mǽt-] n. (pl. ~·es, -tri·ces [-trǝsìːz])

모체, 기반; 모형(母型), 지형(紙型); 주형(鑄型); 행렬; 컴퓨터행렬

ᛜblínd·ness n.

? 맹목; 무분별(recklessness); 문맹, 무지(ignorance).

 

6. It is in the way that Gestalt therapists choose to work with field dynamics that makes what they do strategic (Brownell, in press, 2009, 2008)).

 

그것은 게슈탈트 치료사들이 전략적으로 삼고 있는 장의 역동성으로서 이것을 갖고 작업을 하는 것이다.

 

stra·te·gic [strǝtíːdʒik] ɑ.

전략(); 전략상 중요한, 적의 군사·경제상 요충지를 노린폭격 따위.

cf.tactical.

 

7. Gestalt therapy focuses on the character structure; according to Gestalt theory, the character structure is dynamic rather than fixed in nature. To look into ones character structure, the focus would be on the phenomenological dimensions rather than the ontological dimensions.

 

게슈탈트 치료는 성격 구조에 초점을 맞춘다. 게슈탈트 치료에 의하면, 성격의 구조는 본질상 고정된 것이 아니라 역동적이다. 개인의 성격의 구조를 관찰할 때, 초점은 존재론적 차원이 아니라 현상학적 차원이 될 것이다.

 

<해설>

게슈탈트 심리치료는, 현상학적 방법, 장이론적 방법, 대화적 방법, 실험적 방법을 사용한다.

 

인간의 행동은 그가 속해 있는 장의 전체적 관점에서 파악되고 이해되어야 한다. 개인의 심리작용과 행동양태는 자신의 욕구, 감정, 생각, 관심, 과거에 겪었던 경험, 현재 처해 있는 상황, 개인이 장을 조직화하여 지각하는 태도 등 많은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장의 요소는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장에 존재하는 모든 현상을 가리킨다. 장에 속해 있는 모든 요소들은 언제나 상호작용을 하며,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관계에 있다.

 

인간은 혼자 무인도에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다. 인간은 다른 인간과 관계를 맺으며, 자신이 처해 있는 환경 속에서 생활한다.

 

개인이 지금 여기에서 처해 있는 장() 속에서, 장에 속한 수많은 요소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어떻게 접촉하며, 어떤 자각을 하고 있으며,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작용을 하는가 하는 문제가 바로 장이론이다.

 

우리는 바로 이러한 장이론에 입각해서 현재 자신이 처해 있는 주변 환경을 정확하게 파악하여야 한다. 특히 나 자신의 생각과 감정, 욕구 및 관심 사항, 내가 장의 여러 요소들을 창의적으로 조직화하는 방식과 태도 등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이해하고 정리하여야 한다.

 

특히 바로 곁에서 상호 간에 중요한 영향을 수시로 주고 받는 너와의 관계에서 두 사람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대해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장이론에서 특히 강조하는 것은 현재 실재하는 바로 이 공간에서, 지금 이 시간의 문제에 집중하라는 것이다. 과거는 이미 사라졌고, 미래는 지금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우리가 현재 처해 있는 우리에게 고유하고, 우리에게만 의미가 있는 장에서, 장을 구성하고 있는 수많은 요소들을 의미 있는 하나의 새로운 형태로 조직화하여 그에 적응하고, 그를 활용하고, 그를 해결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