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77)

 

1. These demonstrations elevated Perls to guru-status, but also encouraged practitioners to apply his techniques piece-meal, without understanding the underlying theory of gestalt therapy. This had the overall effect of watering down the method as a whole (Janov, 2005).

 

이러한 실연들은 펄스를 대단한 위치로 끌어올렸다. 그러나 또한 치료자들로 하여금 게슈탈트 치료의 기본적인 이론을 이해하지 않은 채 펄스의 치료기법을 따로 따로 개별적으로 적용하게 만들었다 (Janov, 2005).

 

dem·on·stra·tion [dèmǝnstréiʃən] n.

증명; 논증; 증거.

실물 교수설명, 시범, 실연, (상품의) 실물 선전.

píece·mèal ɑd.

하나씩; 차차, 차츰; 조각조각으로.

gu·ru [gúːruː, gurúː] n.

힌두교의 도사(導師), 교사(敎師); 때로 (신봉자가 숭배하는) 지도자.

베테랑, (한정된 분야의) 권위자.

*el·e·vate [élǝvèit] vt.

(들어) 올리다, 높이다

승진시키다; 등용하다 to

(지적·정신적으로) 향상시키다, 고상하게 하다; 기분을 돋우다

 

2. Another critique is that Perls’ gestalt therapy was focused on helping clients to have “honest interactions” with others. In contrast, he maintained a strict focus on the client’s experience, leaving himself out of the room by avoiding personal questions, turning them back on the client (Dolliver, 1981).

 

펄스의 게슈탈트 치료가 환자들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과 정직한 상호 작용을 하도록 하는데 집중하고 있다는 또 다른 비판이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그는 환자의 체험에 엄격한 초점을 유지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는 개인의 문제를 회피하고, 그들을 환자에게 돌려버리고 치료실을 나와버렸다 (Dolliver, 1981).

 

ìnter·áction n.

?? 상호 작용 영향, 교호(交互) 작용; 컴퓨터대화.

cri·tique [kritíːk] n.

(문예 작품 따위의) 비평, 비판; ? 평론, 비판문; ? 비평법.

 

3. Recent gestalt therapists have revised this aspect, bringing more of themselves into the room and answering their client’s questions when there could be therapeutic value in doing so.

 

최근의 게슈탈트 치료자들은 이러한 관점을 바꾸어서, 그렇게 하는 것이 치료적인 가치가 있는 경우에는 자신들이 치료실로 더 들어가서 환자들의 질문에 대답을 하고 있는 것이다.

 

4. Perls also emphasized “total experiencing”, yet he de-emphasized the client’s past and kept the focus of the work strictly on the present.

 

펄스는 또한 전체적인 경험하기를 강조했다. 반면에 그는 환자의 과거를 덜 강조하고, 작업의 초점을 현재에 엄격하게 유지하도록 했다.

 

5. He also emphasized “living as one truly is”, but in the room, he relied upon re-enactment and role-playing of feelings, which he strictly controlled (Janov, 2005).

 

그는 또한 자기 자신의 본래의 모습대로 살아가는 것을 강조했다. 그러나 치료실에서는 그는 그가 엄격하게 통제하는 감정을 재현하는 것과 역할을 하는 것에 의존했다 (Janov, 2005).

 

<해설>

게슈탈트 치료에서는 치료자는 환자로 하여금 독특한 삶의 방식을 찾도록 도와준다. 환자가 실질적으로 가장 흥미를 가지고 관심을 가지고 있는 행동과 가치를 발견하도록 지원한다.

 

환자 자신의 진정한 모습, 본래의 모습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자의 주관대로, 의도대로 환자가 어떤 방향으로 형성되어 가는 것을 시도해서는 안 된다.

 

환자 자신의 방식과 욕구, 필요성을 스스로 찾아내고, 그러한 것에 충실하게 살아가도록 만들어주어야 한다.

 

게슈탈트 치료는 내담자가 과거의 체험에 근거하여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지각하는 것보다, 바로 지금 이곳에서 내담자의 삶에서 정말 일어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차리도록 하고, 현재에 초점을 맞추도록 도와주는 심리치료법이다(Gestalt therapy is a client-centered approach to psychotherapy that helps clients focus on the present and understand what is really happening in their lives right now, rather than what they may perceive to be happening based on past experience).

 

과거의 상황에 대해 단순히 이야기하는 것 대신에, 내담자들은 재연기를 통해 과거의 일들을 체험하도록 격려된다(Instead of simply talking about past situations, clients are encouraged to experience them, perhaps through re-enactment).

 

게슈탈트 치료를 통해서 내담자들은 그들 자신의 부정적인 생각 형태와 행동들이 자기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깨닫지 못하게 막고 자신들을 불행하게 만들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것이다(Through the gestalt process, clients learn to become more aware of how their own negative thought patterns and behaviors are blocking true self-awareness and making them unhappy).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76)

 

1. Awareness allows for the figure/ground differentiation process to work naturally, helping us form gestalts, satisfy our needs, and make sense of our experience (Latner, 1973, pp. 72). And so, awareness is both the goal and the methodology of gestalt therapy (O’Leary, 2013).

 

알아차림은 전경과 배경을 구별하는 과정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그럼으로써 우리로 하여금 게슈탈트를 형성하고, 우리의 욕구를 만족시켜주고, 우리의 경험을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Latner, 1973, pp. 72). 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알아차림은 게슈탈트 치료의 목표와 방법론이 된다 (O’Leary, 2013).

 

2. Therapists use what is present in the here-and-now, including actions, posture, gesticulations, tone of voice, and how the client relates to them to inform their work (O’Leary, 2013). The past is thought of as significant insofar as it exists in the present (O’Leary, 2013).

 

치료자들은 지금 여기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을 사용한다. 그것에는 행동, 태도, 몸짓, 음성의 고저, 그리고 환자가 그들의 과제를 알려줄 때 그러한 것들에 관계하는 방법 등이 포함된다.

 

ges·tìc·u·lá·tion n.

? (흥분한 듯한) 몸짓, 손짓; 몸짓손짓으로 말하기.

ges·tíc·u·lar ɑ.

ᛜpos·ture [pάstʃǝr/pɔ́s-] n.

자세, 자태

(정신적) 태도, 마음가짐

 

3. Gestalt therapists focus on helping their clients restore their natural awareness of the present moment by focusing on the here-and-now in the therapy room.

 

게슈탈트 치료사들은 환자들이 치료실에서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에 집중함으로써 현재의 순간을 자연스럽게 지각하는 능력을 회복하도록 도와주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4. Experiences and feelings that have not been fully processed in the past are revisited and worked through in the present.

 

과거에 충분하게 진행되지 않았던 체험들과 감정들은 현재의 과정을 거쳐서 다시 확인되고 작업이 되는 것이다.

 

<해설>

게슈탈트 치료가 시작되면, 환자들은 자신의 느낌이나 감정, 문제를 자기의 것으로 지각하지 못한다. 종종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외부의 환경 탓으로 돌리거나 다른 사람의 잘못이나 다른 원인으로 생각하는 경향을 보인다 (O’Leary, 2013).

 

환자들은 과거에 집착해서 벗어나지 못하고, 자신의 행동들에 대해 잘못된 점을 곰곰이 되새기고 있거나 그에 대해 후회하고 있는 것이다(They may be stuck in the past, ruminating on mistakes or regrets about their actions).

 

게슈탈트 치료에서는 이러한 환자들로 하여금 자기 자신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함으로써, 그들이 스스로 얼마나 많은 일들을 할 수 있는지를 깨우쳐주는 것이다(By helping clients take responsibility for themselves, they come to realize how much they can do for themselves / O’Leary, 2013).

 

이렇게 함으로써 환자들은 지금 현재의 이 순간에 무엇이 자신에게 일어나고 있는지를 지각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호작용에서 자신의 역할까지 알아차려야 한다(To do this, clients must have an awareness of what is happening to them in the present moment, as well as awareness of their part of the interaction).

 

이와 같은 방식의 알아차림을 증진시키고, 과거의 체험을 완성하고, 새롭고 유연한 행동을 하도록 격려하는 것은 게슈탈트 치료자들이 그들의 환자들이 개인적인 책임을 지도록 도와주는 방법에 해당한다(Increasing this type of awareness, completing past experiences, and encouraging new and flexible behaviors are some of the ways that gestalt therapists help their clients take personal responsibility).

 

우리가 지각하고 알아차린 일 가운데, 불완전한 상태로 있는 것을 미해결과제라고 부른다(Things that are in our awareness, but are incomplete are called “unfinished business.”).

 

우리가 게슈탈트를 형성하는 자연스러운 성향 때문에, 미해결과제는 에너지를 고갈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장래의 발전을 저해하는 장애물이 되는 것이다(Because of our natural tendency to make gestalts, unfinished business can be a significant drain of energy, as well as a block on future development - O’Leary, 2013).

 

게슈탈트 치료에서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고 잘 알려진 기법인 빈의자기법이나 빈의자대화법은 치료실에서 미해결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The most popular and well-known technique in gestalt therapy, the empty chair technique or empty chair dialogue (ECH), is a method of resolving unfinished business in the therapy room).

 

미해결과제는 때로 표현되지 않은 감정의 결과로서, 예를 들면 어떤 상실에 대해 제대로 슬픔을 나타내지 못한 것과 같은 것이다. 미해결과제는 또한 종종 욕구가 충족되지 않은 것과 관련된다. 예를 들면 우정관계에서 풀리지 않은 슬픔과 같은 것이다(Unfinished business is often the result of unexpressed emotion, such as not grieving a loss (O’Leary, 2013). It is also often related to unfulfilled needs, such as unaired grievances experienced in a relationship).

 

게슈탈트 치료에서는 기본적으로 인간이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도와주려고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개인이 지금 여기에서 어떠한 욕구나 감정을 느끼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개인 자신에게 가장 중요하고 필요한 욕구나 감정을 전체의 장과의 관련 하에서 하나의 형태, 즉 게슈탈트로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 중요한 욕구나 감정을 전경으로 떠올리고, 그 이외의 욕구나 감정은 배경으로 위치를 잡도록 해야 한다.

 

일단 중요한 게슈탈트로 형성되어 전경으로 떠오른 욕구나 감정은 내면의 에너지를 동원해서 해결 내지 해소해야 한다. 이러한 게슈탈트가 완전히 충분하게 해결되지 않고 배경으로 돌아가서 남아 있는 것을 미해결과제라고 한다.

 

이러한 미해결과제가 많이 남아 있고, 그것의 중요성이나 심각성이 중하면 중할수록 개인은 그러한 미해결과제 때문에 다른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

 

게슈탈트 치료에서는 비록 과거에 형성되어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은 이러한 미해결과제를 지금 여기로 꺼집어내어서 현재화하는 작업을 거쳐 현재의 문제로 간주하고 이를 해결하려고 한다.

 

이때 사용되는 게슈탈트 치료기법이 바로 빈의자기법, 빈의자대화법이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75)

 

1. Additionally, the individual is thought of as being involved in a constant construction of gestalts, organizing and reorganizing their experience, searching for patterns, and a feeling of wholeness.

 

뿐만 아니라, 개인은 끊임 없이 게슈탈트를 형성해가고 있으며, 자신의 경험을 구성하고 재구성하며, 형태를 추구하며, 전체로서의 하나의 감정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2. Gestalt therapy associates feeling whole with feeling alive and connected to one’s own unique experience of existence.

 

게슈탈트 치료는 감정 전체를 실존의 독특한 자신의 경험과 연결되어 있는 생생한 감정과 결합시킨다.

 

3. Gestalt therapy sees healthy living is a series of creative adjustments (Latner, 1973, pp.54). This means adjusting one’s behavior, naturally and flexibly, to the figure in awareness.

 

게슈탈트 치료는 건강한 삶은 창조적인 조정을 계속하는 것이라고 본다(Latner, 1973, pp.54). 이것은 개인이 자신이 지각하는 전경에 자신의 행동을 자연스럽고 탄력성있게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4. Healthy living requires the individual to attend flexibly and intentionally to the most crucial figure in their awareness.

 

건강한 삶은 개인으로 하여금 탄력적으로 관심을 가지도록 요구하며, 그들이 지각하는 가장 중요한 전경에 의도적으로 집중하도록 요구한다.

 

5. In contrast, unhealthy living results when one’s attention flits from one figure to the other without ever achieving wholeness.

 

이와 반대로, 건강하지 못한 삶은 하나의 전경으로부터 다른 전경으로 개인의 관심이 훌쩍 옮겨가면서 완전한 상태를 이루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ᛜflit [flit] vi. (-tt-)

(새 등이) 훌쩍 날다, 훨훨 날다

(사람이) 휙 지나가다, 오가다; (생각 따위가) 문뜩 (머릿속을) 스치다

 

6. Gestalt therapists prioritize present moment awareness. Paying attention to the events unfolding in the here-and-now, this is the way to achieve the above definition of healthy living.

 

게슈탈트 치료자들은 현재의 순간을 알아차리는 것에 우선순위를 둔다.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위에서 건강한 삶이라고 규정한 것을 성취하는 것이다.

 

un·fold¹ [ʌ̀nfóuld] vt.

(접어 갠 것, , 봉오리 따위를) 펼치다, 펴다

(이야기·사태 따위가) 전개되다

(의중·생각 등을) 나타내다, 표명하다, 털어놓다; 말하다, 설명하다to

pri·or·i·tize [praiɔ́ːritàiz, -άr-] vt.

(계획·목표)에 우선 순위를 매기다; 우선시키다.

우선 사항을 결정하다.

pri·òr·i·ti·zá·tion [-tǝ-] n.

 

<해설>

게슈탈트 치료사들은 이러한 전체의 철학(philosophy of wholeness)이론을 환자에게 적용하고 있다. 치료사들은 인간의 한 부분을 가지고 일반화(generalizing one part of the self)해서는 전체로서의 인간(the whole person)을 이해할 수 없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환자는 단순히 그에 대한 하나의 진단결과(diagnosis)나 하나의 상호작용(one interaction)만 가지고는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그 대신 환자의 모든 것을 고려해야 비로소 환자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인간의 지각현상은 끊임 없이 전경과 배경을 구별하는 과정(a constant process of differentiating figures and grounds)을 거치게 된다.

 

전경은 우리가 그에 대해 관심을 보이는 것이고, 배경은 전경 대신에 전경의 배후에 있는 것을 말한다(The figure is whatever we are paying attention to, while the ground is whatever is happening in the background).

 

건강한 기능은 그때 그때 가장 중요한 것을 전경으로 나타나게 하는 능력을 말한다(Healthy functioning is the ability to attend flexibly to the figure that is most important at the time / O’Leary, 2013).

 

<One example of this process is that I am writing when suddenly I realize that my lips are dry and my mouth is parched. I get up, pour a drink of water, and then return to my writing. In response to my feeling of thirst, I shift my frame of awareness from my writing, to drinking water, and then back to my writing. The act of drinking water, satisfying my thirst, completes the Gestalt, and I am free to return to my work.>

* <이 부분은 예를 들고 있는 것으로서 특별히 번역을 하지 않았음>

 

An easy example of this can be seen through our relationships with our phones. If we are working on something important, and our phone rings, we can make a decision to ignore it, for now, finish our work, and then call the person back later. If there is a deadline for our project, this may be the healthy choice. But if each time our phone rings, we allow our attention to be divided, we may never finish our project.

* <이 부분은 예를 들고 있는 것으로서 특별히 번역을 하지 않았음>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74)

 

1. The path to direct awareness involves both TECHNIQUES TO SHARPEN OUR AWARENESS and tools for BECOMING AWARE OF OUR DEFENSES, repressions, and whirling vortexes of thought that stand between us and a direct apprehension of what IS in the here and now.

 

직접적인 알아차림으로 가는 방법은 우리들의 알아차리는 능력을 개발하는 기법과 우리들의 방어, 억제들을 지각하는 도구들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우리들 사이에 놓여있는 복잡한 생각의 소용돌이와 지금 여기에 있는 것에 대한 직접적인 이해를 포함하는 것이다.

 

vor·tex [vɔ́ːrteks] n. (pl. ~·es, -ti·ces [-tǝsìːz])

① 소용돌이, 화방수; 회오리바람

re·pres·sion [ripréʃən] n.

? 진압, 제지, 억제; 〖心〗 억압(된 것)《생각·충동 등》.

whirl [hwǝːrl] vi.

① 빙빙 돌다, 회전하다; 선회하다, 곡선을 그리며 가다; 급히 방향을 바꾸다

 

2. In this, the Gestalt process draws on both phenomenology and zen. And on Reich's seminal insight that when you hit a resistance, rather than trying to barge through it, THE RESISTANCE ITSELF BECOMES THE CENTER OF THE WORK. The person develops the ability to dismantle defenses when she is ready.

 

이러한 점에서 게슈탈트 과정은 현상학과 선을 끌어들이고 있다. 그리고 라이히의 독창적인 견해에 의하면, 사람이 저항을 자신에게 끌어들이지 않고, 저항을 치게 되면, 저항 자체가 과제의 중심이 되어 버린다. 사람은 준비가 된 상태에서 방어를 제거할 능력을 개발하게 된다.

 

dis·man·tle [dismǽntl] vt.

① (건물·배에서) 설비를〔기구·장비·방비 등을〕 제거하다.

② 부수다; (기계 등을) 분해하다; (제도 등을) (서서히) 폐지하다.

③ …에게서 (옷·덮개 등을) 벗기다, 발가벗기다《of》.

barge [bɑːrdʒ] n.

① 거룻배, 바지《바닥이 평평한 짐배》.

① 느릿느릿 움직이다.

② 《口》 난폭하게 부딪치다〔돌진하다〕《into》.

Zen [zen] n.

〖불교〗 선(禪).

se·mi·nal [sémənl, síːm-] ɑ.

① 정액의; 〖植〗 씨의.

② 생식의, 발생의.

③ 씨눈〔배자〕 상태의.

④ 발전〔장래〕성 있는; 독창성이 풍부한; 생산적인.

㉺~·ly ɑd.

sèm·i·nál·i·ty [-nǽlǝti] n.

 

3. UNFINISHED SITUATIONS from the past, and concerns about the future, are worked with in terms of the person's present experience of them.

 

과거에 남겨진 미해결과제, 미래에 대한 관심은 그것들에 대한 개인의 현재의 체험과 관련하여 처리된다.

 

4. A painful old trauma may be reenacted and mentally relived in the present. Old unfinished situations that we carry around stop us from being fully present know because we're responding to them, to some degree, rather than entirely to our present reality.

 

고통스러운 과거의 상처는 다시 나타나고 현재의 시점에서 정신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우리가 끌고오는 과거의 미해결된 과제들은 우리로 하여금 현재를 충분하게 알게 하지 못하게 만들게 된다. 그 이유는 어느 정도에서는 우리가 우리들의 현재에 전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과거의 미해결과제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이다.

 

re·live [riːlív] vt.

(과거·경험을) 되새기다, 회상하다; 다시 체험하다; 재생하다.

소생하다(revive).

trau·ma [trɔ́ːmǝ, tráu-] n. (pl. -ma·ta [-mǝtǝ], ~s)

〖醫〗 외상(성 증상); 〖정신醫〗 정신적 외상, 마음의 상처, 쇼크.

 

<해결>

어떤 사람은 자신의 내면에 깔려있는 후회와 분노와 접촉하면서 이를 표현하고 있다. 또는 자신의 오래되고 억압되어 있는 슬픔과 접촉하면서 화를 내고 있다. 펄스는 이러한 층들을 “양파의 껍질을 벗기는 것(peeling the onion)”이라고 말했다.

 

게슈탈트 치료의 목적은 “행복해지는 것(to be happy)”이 아니라, “완전하게 충분하게 사는 것(to live fully)”이다.

 

우리는 먼저 우리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확실하게 알아야 한다. 그리고 다른 사람에 대해서도 그 사람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알고 지각하고 인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 장, 무대, 세상에 대해서도 있는 그대로를 보아야 한다.

 

개인의 내면의 참모습과 개인의 외관상의 삶의 모습 사이에 열정적인 관련성(a passionate connection with our inner selves and our lives)을 찾아내야 한다.

 

게슈탈트 치료에 있어서는 과거나 미래보다 언제나 지금 – 여기에서의 현재의 상황(here-and-now framework)에 주목한다.

 

게슈탈트 치료는 정신분석학(psychoanalysis), 게슈탈트 심리학(gestalt psychology), 실존철학(existential philosophy), 불교의 선이론(zen Buddhism), 노장철학(Taoism) 등에서 많은 것을 가져다가 사용하고 있다(Bowman, 2005).

 

게슈탈트 치료기법의 수립에 기여한 세 사람은 Fritz Perls, Laura Perls, and Paul Goodman라고 할 수 있다.

 

* 위 글은 제가 아마추어로서 게슈탈트 심리학을 영어로 공부하고 있는 것입니다. 영어 번역은 모두 제 책임 하에 하고 있고, 해설도 제가 공부하여 쓰고 있는 것입니다. 혹시 잘못 번역된 부분이 있거나, 해설 부분에 오류가 있으면 지적하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영어 원문은 모두 인터넷을 통해 구하고 있는 자료들입니다.

태그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73)

 

1. Although gestalt therapy is often considered a “fringe therapy”, it is applicable in diverse settings, from the clinic to the locker room to the boardroom.

 

비록 게슈탈트 치료는 종종 비주류 치료법이라고 간주되지만, 그것은 임상 장소로부터 일반장소나 중역회의실까지 다양한 곳에 적용이 가능하다.

 

*clin·ic [klínik] n.

임상 강의실습; 임상; 집합적임상 강의 수강 학생; 집합적진료소의 의사들.

(외래 환자의) 진료소, 진찰실; (대학 등의) 부속 병원; 개인전문병원, 클리닉; (병원 내의) (); 상담소;

*lock·er

로커, (자물쇠가 달린) .

② 〖(선원 각자의 옷·무기 따위를 넣는) , ; 격납용 칸.

자물쇠를 채우는 사람 , 세관의 창고지기.

bóard·ròom

중역(회의).

fringe

; (스카프·숄 따위의) 술 장식.

가장자리, , 외변.

(학문 등의) 초보적인 지식; (문제 따위의) 일단.

(경제·사회·정치 등의) 과격파 그룹, 주류 일탈파(主流逸脫派)

 

2. These science-based exercises will explore fundamental aspects of positive psychology including strengths, values, and self-compassion, and will give you the tools to enhance the wellbeing of your clients, students, or employees.

 

이와 같이 과학에 기초를 두고 있는 훈련은 긍정적인 심리학으로서, 능력과 가치, 자기 동정심의 기본적인 면을 개발하고, 치료자에게 내담자와 학생, 근로자의 행복을 높여주는 도구를 제공할 것이다.

 

ᛜwéll-béing n.

? 복지, 안녕, 행복(welfare).

OPP.ill-being.

*com·pas·sion

불쌍히 여김, (깊은) 동정()

SYN⟩ ⇨????????.

 

3. According to Bowman (1998): Gestalt therapy is a process psychotherapy with the goal of improving one’s contact in community and with the environment in general.

 

보우만(1988)에 의하면, 게슈탈트 치료는 개인이 일반적인 사회와 환경과 접촉하는 것을 개선시켜주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과정의 심리요법이라고 한다.

 

psỳcho·thérapy n.

? 정신심리요법.

-apist n. 정신심리요법 의사.

 

4. This goal is accomplished through aware, spontaneous and authentic dialogue between client and therapist. Awareness of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s] encouraged while interruptions to contact are explored in the present therapeutic relationship. (Bowman, 1998, p. 106)

 

이러한 목표는 환자와 치료자 사이의 깨어있고, 자발적이고, 진정한 대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현재의 치료적 관계에서 접촉 상의 장애요인이 발견되는 동안 차이점과 동일점을 인식하도록 격려될 것이다.

 

*in·ter·rup·tion [ìntǝrʌ́pʃən] n.

가로막음, 차단; 방해; 중지, 중절; (교통의) 불통

interrupt v.

*spon·ta·ne·ous [spɑntéiniǝs/spɔn-] ɑ.

자발적인, 자진해서 하는, 임의의(voluntary)

자연히 일어나는생기는, 무의식적인

(현상 따위가) 자동적인

ᛜau·then·tic, -ti·cal [ɔːθéntik], [-əl] ɑ.

믿을 만한, 확실한, 근거가 있는.

진정한, 진짜의

③ 〖인증된

 

<해설>

20세기에 들어와서 본격적으로 연구된 인간의 생각과 행동에 관한 심리학은 다윈의 진화론에 이어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스키너의 행동주의 심리학 등의 발전에 따라 인간은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며,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하는 주체적인 존재로 인정받지 못하게 되었다.

 

게슈탈트 심리학이나 게슈탈트 심리치료에서는 유기체인 인간의 심리적 문제를 연구하고 이를 치료하거나 개선하는데 있어서 유기체를 소극적인 관찰의 대상으로 보지 않는다.

 

오히려 유기체의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시도와 노력을 강조한다. , 인간은 단순한 기계처럼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행동과 행위를 하는 실존적 존재라고 이해한다.

 

게슈탈트 치료에서는 인간의 정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인간의 생각과 감정, 신체 및 행동의 통합성을 강조한다. 뿐만 아니라 개인과 다른 사람, 환경과의 상호 불가분적인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인간은 자신의 정서를 중심으로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환경을 조직화하여 이해한다고 보고 있다.

 

인간은 자기조정 원리에 의하여 자신이 현재 처해 있는 시간과 공간의 장을 전경과 배경으로 나누어 지각한다. 인간은 자신의 관심을 끄는 부분을 전경으로 지각하고, 그 이외의 나머지는 배경으로 지각한다.

 

인간의 감각운동이나 신체활동은 개인의 심리작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인간의 신체와 감각, 감정과 욕구, 사고와 행동은 서로 분리된 현상이 아니라,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의미 있는 전체에 해당한다. 인간의 행동은 개별적인 부분들의 기계적이며 단순한 연합이 아니라, 이러한 부분들을 통합하는 의미 있는 전체라고 본다.

 

인간은 환경과 분리되어 있는 존재가 아니라, 인간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장 속에서 하나의 부분에 해당한다고 본다. 따라서 인간은 환경과 함께 하나의 새로운 통합적인 전체를 이루고 있으며, 인간의 행동은 전체 장의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고 본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72)

 

1. I call working at this layer "dental gestalt." Below that is the "explosive layer," in which the person explodes into anger or grief or orgasm or Zorba-like joy and aliveness.

 

나는 이러한 층에서 머물고 있는 것을 치아 게슈탈트라고 부른다. 그 층 아래에는 폭발층이 있는데, 그 층에서는 사람은 분노 또는 슬픔, 또는 격렬한 흥분, 또는 조브라 같은 기쁨과 생동감으로 폭발해 들어가는 것이다.

 

alive [ǝláiv] ɑ.

살아 있는, 생존해 있는.

생생한, 활발한, 활동적인(active)

or·gasm [ɔ́ːrgæzəm] n.

? 격렬한 흥분; 오르가슴성교시의 성쾌감의 절정.

or·gas·mic, or·gas·tic [ɔːrgǽzmik], [ɔːrgǽstik] ɑ.

 

2. One relatively seldom sees an explosion into orgasm in the Gestalt group, but explosions into tears and anger are common. Often this is into the opposite of the person's characteristic modality.

 

게슈탈트 집단에서 개인은 격렬한 흥분 상태로 폭발하는 것을 보는 것이 상대적으로 드문 일이다. 그러나 폭발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눈물을 흘리고 분노하는 것이 보통이다. 가끔 이것은 개인의 성격적인 양상과 반대로 나타난다.

 

mo·dal·i·ty [moudǽlǝti] n.

?? 양식을방식·형태를갖는 일; 양식, 양상; 물리치료.

 

3. Someone who always cries contacts and expresses the underlying resentment and anger; or someone who always gets angry contacts long-suppressed grief. Perls spoke of these layers as "peeling the onion.“

늘상 부르짖는 사람은 자신에게 내재해있는 원한과 분노와 접촉하고 이를 표현한다. 또는 항상 화를 내는 사람은 오래 억압되어있던 슬픔과 접촉하게 된다. 펄스는 이러한 층들을 양파를 벗기는것이라고 말했다.

 

*re·sent·ment [rizéntmǝnt] n.

? 노함, 분개; 원한

┈┈• in ~ 분연히

 

4. To get a real feeling for the Gestalt approach, watch a video of the process in action or read Fritz' autobiography "in and out of the garbage pail." The goal is not to "be happy," but to live fully.

 

게슈탈트 접근에서 진정한 느낌을 얻으려면, 프릿츠의 자서전인, “쓰기통의 속과 겉을 읽거나 실제 행동하는 과정에 관한 비데오를 보아야 한다. 그 목표는 행복해지는 것이 아니라, “완전하게 사는 것이다.

 

*pail [peil] n.

들통, 버킷.

*gar·bage [gάːrbidʒ] n.

(부엌의) 쓰레기, 음식 찌꺼기, 잔반(殘飯); 맛없는 음식;

잡동사니; 너절한 것, 쓰레기; 너절한 말생각, 허풍

*au·to·bi·og·ra·phy [ɔ̀ːtǝbaiάgrǝfi/-ɔ́g-] n.

? 자서전; ? 자전(自傳) 문학; 자서전 저술.

 

5. To be real. To experience ourselves, others, and our world as we truly are and be in a passionate connection with our inner selves and our lives. In their basic outlook, Perls and Jung had a lot in common. Jung's conceptions were transmitted to Perls through Otto Rank.

 

진정한 자아기 되기 위해서는, 우리 자신과 타인, 그리고 세상을 진정한 우리 자신인 것처럼 경험해야 한다. 우리 자신의 내면과 우리의 삶을 열정적으로 접촉하여야 한다. 그들의 기본적인 관점에서, 펄스와 융은 많은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융의 개념은 오토 랭크를 통해서 펄스에게 옮겨갔다.

 

trans·mit

(화물 등을) 보내다, 발송하다.

전하다, 전파보급시키다

 

<해설>

사람에게 외부자극이나 내면적 불균형상태가 초래되면 개인의 욕구나 감정은 신체감각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것을 감각하고 지각하고 알아차리게 되면, 게슈탈트가 형성되며, 이것은 전경을 떠오르게 된다.

 

이러한 게슈탈트를 해소하기 위하여 개인은 에너지를 동원하게 되고, 에너지를 사용하여 행동으로 실천하게 된다.

 

유기체인 사람은 환경과 접촉하면서 게슈탈트를 해소하게 되고, 해소된 게슈탈트는 전경에서 배경으로 물러나면서 사라진다.

 

유기체인 인간이 접촉경계혼란을 극복하고 심리적 성숙을 얻기 위해서는 5개의 신경증층을 통과해야 한다고 한다. 인간이 이러한 신경증층을 통과할 때마다 인간은 환경과의 접촉이 증진된다.

 

피상층은 타인을 피상적으로 대한다. 위선적인 상투적인 행동을 하는 단계이다. 공포층(연기층)은 인간이 진정한 자기 모습을 보이는 것을 공포스럽게 생각하는 단계다.

 

교착층은 인간이 역할연기를 그만두려고 하지만, 변화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내파층은 인간이 자신의 내면의 욕구나 감정을 알아차리고 진정한 자기를 인식은 하지만, 외부에 표현하는 것은 억제하는 단계이다.

 

폭발층은 인간이 거짓 없는 자기 자신과 진정한 접촉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말한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71)

 

1. This may involve projection--that is, I intrude my conceptions of you into your space and don't leave you room to be yourself; or it may involve Introjection--I don't establish my own boundary but allow your definition of me to obtrude far into my space. (Erv & Miriam Polster have dealt wonderfully with the subject of contact boundaries in Gestalt Therapy Integrated).

 

이것은 투사를 내포할 수도 있다. , 나는 나의 생각을 너의 공간에 집어놓고, 너 자신이 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놓지 않는다. 또는 그것은 내사를 포함할 수 있다. 나는 나 자신의 경계를 세워놓지 않고, 네가 생각하는 것이 내 안으로 밀고 들어오게 허용한다. (에바와 미리앰 폴스터는 통합된 게슈탈트 치료에서 접촉 경계의 문제로 훌륭하게 다르었다)

 

ᛜin·te·grate 통합하다(unify), 흡수하다into; with; 완전하게 하다, 완성하다

결합시키다, 융합조화시키다into; with

ᛜcon·cep·tion 개념, 의상(意想), 생각(concept).

구상, 착상, 창안, 고안, 계획

ob·trude [ǝbtrúːd] vt.

(생각·의견 따위를 아무에게) 강요강제하다, 억지쓰다on, upon

*in·trude 밀어붙이다, 강요하다on, upon; 끼어들다, 개입하다into

in·volve [invάlv/-vɔ́lv] vt.

말아 넣다, 싸다, 감싸다; 나사 모양으로 말다감다

연좌연루시키다in; 관련관계시키다, 말려들게 하다,

 

2. Perls spoke of LAYERS OF NEUROSIS. On the surface is the "cliché layer" (How are you? Fine.) Below that is the "roles and games layer" in which we pretend to be what we want others to think we are. Below that is the "phobic avoidance layer," or "anti-existence layer," or "impasse layer" where a person retreats into nonawareness.

 

펄스는 신경증 층에 관해 이야기했다. 진부한 상투적인 말(안녕하십니까? 좋습니다)은 겉으로 나타난다. 그 아래에는, 우리가 생각하는 바를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생각하도록 하기를 바라는 것을 숨기려고 하는 역할과 게임의 층이 들어있다. 그 아래에는 어떤 개인이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으로 숨어버리는 병적인 회피층또는 반실존층또는 막다른 골목층이 들어있다.

 

im·passe [ímpæs, --́] n.

F.막다름; 막다른 골목(blind alley); 난국, 곤경(deadlock)

pho·bic [fóubik] ɑ.

병적 혐오의, 병적 공포증의.

re-treat [riːtríːt] vt.

재처리하다.

*re·treat 퇴각, 퇴거, 은퇴, 은둔.

물러가다, 후퇴하다, 퇴각하다from

*cli·ché [kli(ː)ʃéi] n.

F.진부한 표현사상, 행동, 상투적인 문구

 

<해설>

인간은 출생하는 순간 어머니로부터 분리된다. 그때부터 완전히 독립한 개체가 된다. 이러한 개체로서의 인간은 다른 개체와 끊임 없이 접촉하면서 상호 교류하고, 상호 작용을 하며, 서로에게 영향을 미친다.

 

게슈탈트 치료에서는 이러한 인간과 인간 사이의 경계에 주목한다. 두 개체가 만나서, 서로 관계를 맺고, 좋아하기도 하고, 미워하기도 한다. 서로 대화를 나누기도 하고, 서로 성관계를 맺기도 한다. 권투나 격투기처럼 서로 죽기 살기로 싸우기도 한다.

 

인간은 다른 인간과의 관계에서 상호 간에 상대에 관한 게슈탈트를 형성하고 이러한 게슈탈트를 상대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해소시키고 완결시키려고 한다.

 

이러한 게슈탈트의 형성과 해소는 두 사람이 함께 있는 하나의 무대, 하나의 공간, 하나의 장(field)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지나간 과거와 불확실한 미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지금 두 사람이 같이 있는 현재의 시간과 현재의 공간이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두 사람 사이에 존재하는 경계의 인식이 중요하다. 두 사람의 각자의 영역은 명확하게 구별되어야 한다. 나의 영역과 너의 영역은 따로 구획되어 있다. 두 영역이 불분명하거나, 각자의 영역에 대한 인식이 애매하거나, 혼동되거나 경계에 대한 인식이 잘못되는 경우에는 두 사람 사이의 관계가 정상적이 되지 못한다. 이상 상태가 되고, 이상심리상태가 된다.

 

나는 너와 관계하면서 너로부터 수시로 너의 말을 듣고, 너의 행동을 보고, 너의 생각과 가치관, 도덕관을 보고 듣는다. 그런데 내가 너의 이러한 것들을 나의 주관을 통해 받아들일 것은 받아들이고, 그렇지 않는 것은 받아들이지 않아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것들을 무비판적으로 받아 들여 나의 내면에 쌓여 굳어지면 나는 내 주관대로 살지 못하고, 너의 많은 것들이 내 안에 내사되어 나의 주인 노릇을 하게 된다. 이것이 내사로 인한 이상심리라고 한다.

 

이와는 반대로 나의 생각, 욕구나 감정을 내 것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너의 생각이나 욕구, 감정으로 인식하거나 지각하는 것을 투사라고 한다. 투사가 심해져서 병적으로 되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투사현상이 계속되면, 인간은 자신의 진정한 생각이나 욕구, 감정을 지각하고 인지하고 접촉하며 해소하는 것이 방해를 받게 된다. 이러한 인간은 다른 사람과의 건강한 정상적인 접촉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내면의 양극성(polarity)의 부분 또는 요소들 가운데 충분히 개발되지 못한 것, 즉 부드러움 따뜻함, 자신감, 인간적인 측면을 자신의 것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 상대에게 투사하고 상대를 부러워하거나 상대에게 의존하려고 하는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투사의 정도가 심해지는 경우에는 그러한 사람은 자아의 경계가 경직되어 있고, 다른 사람과의 교류나 접촉을 꺼려하게 되며 스스로 많은 피해의식을 가지게 된다.

 

투사가 심한 사람은 자신감을 상실하고, 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감정, 욕구에 지나치게 민감하고, 다른 사람에 대해 지나칠 정도로 방어태세를 취하거나 방어를 한다. 또한 상대를 아무런 이유 없이 의심하거나 미워하고 기피하기도 한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70)

 

1. Gestalt work draws on Karen Horney's identification of our "shoulds" or inauthentic introjects as a central aspect of personal growth, so that we can go on to discover our own ways of being in the world that are true to ourselves to take their place.

 

게슈탈트 작업은 캐런 호니의 주장을 받아들이고 있다. 그의 주장은 우리에게 부과된 의무들과 나 아닌 다른 사람들로부터 내사된 것들이 개인의 성장에 있어서 중심적인 측면이 되며, 그럼으로써 우리에게 있는 그대로 나타나는 세상에서 자신의 존재가 살아가는 고유한 방법을 계속해서 발견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iden·ti·fi·ca·tion (사람·물건의) 신원정체의 확인인정

② 〖정신동일시; 동일시, 일체화, 귀속 의식

in·au·then·tic [ìnɔːθéntik] ɑ.

실물이 아닌, 진짜가 아닌.

in·au·then·tic·i·ty [ìnɔːθentísǝti, -θǝn-] n.

 

2. The defensive manouvers / neurotic emphasis about which Perls wrote most extensively were PROJECTION (especially projecting my disowned power onto others); INTROJECTION (uncritically "swallowing whole" ways of acting, thinking, and feeling that you tell me to; RETROFLECTION (doing to myself what I want to do to you, but fear the consequences.

 

방어적인 조작적 행동/ 펄스가 가장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신경증적인 강조점은 투사와 내사, 반전이다. 투사는 나의 것이 아닌 것을 타인에게 보내는 것이다. 내사는 무비판적으로 네가 나에게 말하는 것을 행동하고 생각하고 느끼는 것이다. 반전은 내가 너에게 하고 싶은 것을 나에게 하고, 그 결과를 두려워하는 것이다.

 

dis·own [disóun] vt.

제 것책임이 아니라고 말하다, 에 관계가 없다고 말하다; 자식과 의절하다; 의 합법성을권위를인정치 않다.

*ex·ten·sive [iksténsiv] ɑ.

광대한, 넓은

광범위하게 미치는; 다방면에 걸치는, (지식 따위가) 해박한

 

3. For instance, I want to strangle you so I choke myself. I want to give you a box of chocolates but I'm afraid you'll spurn me so I eat them myself.

 

예를 들면, 나는 너를 질식시키고 싶어하면서도 나를 질식시키고 있는 것이다. 나는 너에게 쵸코렛을 주고 싶은데, 네가 그것을 거부할 것을 두려워하면서 내가 쵸코렛을 먹는 것이다 .

 

ᛜspurn [spǝːrn] vt.

(사람·제의·충고 등을) 퇴짜놓다

② …을 코방귀 뀌다, 경멸하다.

③ 《차다, 걷어차다(kick)

*choke [tʃouk] vt.

질식시키다, 을 숨막히게 하다

막다, 메우다, 막히게 하다up

(성장·행동 등을) 저지억제하다off

ᛜstran·gle

교살하다; 질식()시키다

(하품·외침 따위를) 참다; 억제억압하다; (의안 따위를) 묵살하다.

(발전·활동·비판 따위를) 억압하다, 눌러 못하게 하다

 

4. CONFLUENCE is a fuzzy lack of contact in which there is not a clear distinction between where I leave off and you begin.

 

융합은 접촉에 있어서 불분명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서 내가 그만두어야 할 곳과 네가 시작하여야 할 곳 사이에 명확한 구별이 없는 것을 말한다.

 

fuzzy [fʌ́zi] ɑ. (fuzz·i·er; -i·est)

보풀 같은, 솜털 모양의; 보풀이 인, 솜털로 덮인.

(윤곽·사고 등이) 희미한, 분명치 않은; 탁한소리.

 

<해설>

게슈탈트 심리학과 심리치료를 공부하면서 느끼는 것이 있다. 다른 사람을 연구하고 상담하거나 치료하기 보다는 먼저 나 자신에 대해 차분하게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먼저, “나는 누구인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나는 지금 몇 살이고, 무슨 일을 하고 있고, 어떤 환경에서 살고 있는가? 그리고, “앞으로 몇 년이나 더 살 것이며, 어떤 형태로 살아갈 것인가?”를 생각해야 한다.

 

그 다음 중요한 것은 나를 둘러싼 가족관계, 주변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이고, 나는 그들과 어떠한 입장에서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개인적으로 나는 하나의 실존으로서 성숙하고 정신적, 심리적으로 건강한 상태에 있는가를 진단해볼 필요가 있다.

 

게슈탈트 심리치료에서 말하는 다섯 가지 신경증 층에 쌓여있는 것은 아닌가 살펴볼 필요가 있다. 허위층, 공포층, 난국층, 내적 파열층, 폭발층을 공부하면서, 나는 이 중 어떤 과정이나 단계를 지나고 있는가 확인하여야 한다.

 

그런 다음 나는 외부 환경과의 접촉, 특히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 되돌아보아야 한다.

 

내사, 투사, 반전, 융합, 자의식, 편향 등의 문제는 없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게슈탈트 심리치료를 공부하면서 제일 중요한 것은 나 자신의 내면 세계를 들여다보고, 더 나아가 <너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와 마찬가지로, <>도 똑 같이 복잡한 심리를 가지고 있고, 지금 여기에서 수많은 생각과 감정, 욕구를 가지고 있는 실존적 존재이다.

 

내가 너와 접촉하고 관계를 맺으면서, 내가 느끼는 생각과 감정, 욕구는 네가 느끼는 생각과 감정, 욕구와 동일하지 않다.

 

그러므로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나 보다, 너를 더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상호작용하고 있다는 원리를 잊어서는 안 된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69)

 

1. FRUSTRATION is an element of the Gestalt process. Claudio Naranjo speaks of "SUPPRESSIVE TECHNIQUES" that the facilitator uses to thwart the client's inauthenticbeing and avoidances.

 

좌절은 게슈탈트 과정의 하나의 요소이다. 클라우디오 나란조는 억압적 기법은 내담자의 비진정성과 회피를 꺾기 위해 치료자가 사용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avoid·ance [ǝvɔ́idəns] n.

? 회피, 기피, 도피; (성직 따위의) 결원, 공석; 무효(), 취소.

avóid·ant [-ǝnt] ɑ. 회피성의

in·au·then·tic [ìnɔːθéntik] ɑ.

실물이 아닌, 진짜가 아닌.

in·au·then·tic·i·ty [ìnɔːθentísǝti, -θǝn-] n.

ᛜthwart [θːrt] vt.

(사람·계획·목적 등을) 훼방 놓다, 방해하다, 반대하다; 좌절시키다, 꺾다

fa·cil·i·ta·tor [fǝsílǝtèitǝr] n.

쉽게 하는 사람물건, 촉진자; (그룹 따위의) 관리자.

sup·pres·sive [sǝprésiv] ɑ.

진압하는; 억압억제하는; 억누르는; 은폐하는

frus·trá·tion n.

좌절, 차질, 실패; 타파; 계약의 불이행; 욕구 불만, 좌절감.

 

2. The flip side of this is "EXPRESSIVE TECHNIQUES" that are used to help the person contact and develop unused or underused sensitivityies and capacities.

 

이것의 다른 면은, “표현기법으로서, 개인으로 하여금 감성이나 능력 가운데 사용되지 않았거나 덜 사용된 것과 접촉하여 개발하도록 도와주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

 

sen·si·tiv·i·ty [sènsǝtívǝti] n.

? 감성(感性), 민감도, 자극 감응반응(irritability); 감도

ᛜex·pres·sive

() 표현하는, () 나타내는of

표정표현이 풍부한; 뜻이 있는, 의미가 있는 듯한표정·말 따위

ᛜflip¹

(손톱·손가락으로) 튀기다, 홱 던지다.

톡 치다, (재 따위를) 가볍게 털다off

뒤집다, 뒤엎다; 훌훌 넘기다through.

 

3. The most dominant need or unfinished situation becomes "FIGURE" and emerges into the foreground out of the rest of the person's experience which becomes the "GROUND," or background. When it declines in importance through some kind of resolution (or even boredom), something else becomes figure, and so on.

 

가장 우선적이고 미해결된 상황은 전경이 되고, 개인의 경험으로서 배경이 되는 다른 것들보다 전면에 나타나게 된다 그러한 전경이 어떤 방법(또는 심지어 권태)에 의해 해결되는 경우, 그것의 중요성은 감소하고, 다른 것이 전경이 된다.

 

bore·dom

? 권태; ? 지루한 것.

*dom·i·nant

지배적인; 유력한, 우세한;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현저한, ().

우뚝 솟은

 

4. The goal of therapy, counseling, or personal growth is for the person to become fully capable of "ORGANISMIC SELF-REGULATION," that is, responding from his or her own center and needs, (with attention to sensory, intuitive, emotional, and cognitive modes of experience) within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치료, 상담 또는 개인적 성장의 목적은 그 사람으로 하여금 유기체로서의 자기 통제를 충분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인데, 이것은 구체적인 상황과의 맥락에서 자신의 중심과 욕구 (경험을 지각적으로, 직관적으로, 정서적으로, 인식적인 방법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것)에 반응하는 것을 말한다.

 

ᛜin·tu·i·tive [intjúːitiv] ɑ.

직각적(直覺的)직관적능력; 직관적으로 얻은 지식·확신

cog·ni·tive [kάgnǝtiv/kɔ́g-] ɑ.

인식의; 인식력이 있는

còg·ni·tív·i·ty n.

sen·so·ry [sénsǝri] ɑ.

지각감각(); 지각 기관의, 감각 중추의

*or·gan·ism [ɔ́ːrgənìzəm] n.

유기체; ()생물().

유기적 조직체사회 따위.

 

5. Developing DIRECT, IMMEDIATE AWARENESS of the total perceptual field and of specific details in it is a central element of the work.

 

전체적인 장과 그 안에서 일어나는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을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알아차리는 것을 개발하는 것은 작업의 중심적인 요소이다.

 

de·tail

세부, 세목(item); 항목

(종종 pl.) 상세(particulars); 상술(詳述).

im·me·di·ate [imíːdiǝt] ɑ.

① ⦗공간적직접의(direct), 바로 이웃의, 인접한(next, nearest)

② ⦗시간적곧 일어나는, 즉석의, 즉시의(instant); 가까운, 머지않은

per·cep·tu·al [pǝrséptʃuǝl] ɑ.

지각의; 지각 있는.

 

<해설>

게슈탈트 치료에서는 인간은 자기 자신을 스스로 보살필 수 있으며, 자신의 내적인 힘을 동원하여 자립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믿는다. 인간이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은 그 자신 속에 있으며, 인간은 이러한 내면에 있는 것과 힘을 스스로 꺼내어 사용함으로써 타인의 도움이나 지지 없이 독립할 수 있고, 자립할 수 있다고 본다.

 

어떤 사람은 자기 자신에게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자원이나 힘, 능력이 없다고 믿고,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으려고 타인에게 의지하거나 타인을 시키려고 한다.

 

이런 사람은 자신이 생각하고 느끼고 욕구하는 것을 그대로 표현하면 다른 사람들이 더 이상 자신에게 가까이 오지 않고 달아날 것을 두려워하는 나머지, 다른 사람들이 그 사람에게 하기를 바라는 행동이나 역할을 하게 된다. , 이러한 역할연기를 함으로써 다른 사람의 지지를 받기 위한 게임을 습관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게슈탈트 치료에 있어서는 개인이 이와 같은 역할연기, 다른 사람에게 지나치게 의존하고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보고, 다른 사람의 마음에 드는 생각과 행동을 함으로써 스스로의 독립성과 주체성, 정체성을 상실하고 있는 사람을 좌절시키는 기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개인의 이러한 타인의존성 행동이나 생각, 시도를 치료자가 좌절시키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개인 스스로 자신의 내적 에너지를 동원하여 주체적으로 행동하고, 타인의 지지 대신에 자신의 지지로 바꾸도록 만드는 것이다.

 

인간은 언제나 혼자다. 특히 나이 들면 더욱 그런 상황이 된다. 때문에 인간은 자신의 독립성을 확보해야 한다. 독립성이라 함은, 개인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고, 자신의 모든 것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을 말한다.

 

부모에게 의존하고, 혼자 아무 것도 결정하지 못하고, 타인에게 종속된 삶을 살아서는 안 된다. 자신의 인생은 자신의 것이다. 자기 스스로 삶의 방향을 정하고, 거기에 맞추어 열심히 살면 된다.

 

그런 의미에서 게슈탈트 치료에서는 개인의 주체성, 독립성, 정체성을 강조한다. 내 인생을 나 이외의 다른 사람이 살아줄 수 없기 때문이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68)

 

1. ANXIETY is conceived of as leaving the present, not being in the here and now, "the gap between the now and the later. Will I get applause, or will I get tomatoes?" Fritz also described holding the breath as a central component in anxiety.

 

불안은 지금 여기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떠남으로써 생겨나는 것이다. “지금과 나중 사이의 갭. 내가 박수를 받을 것인가, 토마토를 얻을 것인가?” 프릿츠 역시 불안의 중심적인 요소로서 숨을 멈추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con·ceive

(감정·의견 따위를) 마음에 품다, 느끼다

(계획 등을) 착상하다, 고안하다

이해하다

 

2. EATING AND DIGESTING are treated as metaphors for what we do with every dimension of experience.

 

먹는 것과 소화하는 것은 우리가 모든 경험의 면에서 하는 것에 대한 은유로 사용된다.

 

3. Do I bite into something, chew it up thoroughly, spit out what I don't like, and assimilate what I find nourishing and healthy, or do I "swallow whole" what others have told me to whether I like it or not? (The latter is the mechanism of introjection.)

 

내가 무엇을 물었을 때, 나는 충분하게 씹는다. 내가 싫어하는 것은 뱉아버린다. 내가 영양분 있고 건강에 좋다고 생각하는 것은 소화를 시킨다. 또는 다른 사람들이 나에게 말한 것을 내가 그것을 좋아하든, 싫어하든 나는 통째로 삶켜버리기도 하는 것이 아닌가? (후자는 바로 내사의 기제가 된다)

 

4. DREAMWORK. In Fritz' view, every dream is an existential message about some important aspect of our existence.

꿈작업. 프릿츠의 견해에 의하면, 모든 꿈은 우리의 존재의 중요한 면에 관한 실존적인 메시지라고 본다.

 

ex·is·ten·tial

존재에 관한, 실존의; 존재상의, 실체론상의; 실존주의의.

~·ìsm n. ? 〖실존주의.

 

5. Gestalt therapy works with a dream by asking the dreamer to identify with each aspect of the dream, BE it, describe oneself as this element of it and act it out, in order to connect with and re-own disowned parts of our own experience and personal power.

 

게슈탈트 치료는 꿈꾸는 사람에게 꿈의 모든 모습을 물어보는 것으로 작업을 하게 된다. 그것은, 꿈의 이러한 요소처럼 자신을 묘사해보고, 그것을 행동으로 옮겨보는 것이다. 우리들 자신의 경험과 개인적인 힘의 잃어버린 부분을 되살려내고 그것과 연결시켜 보도록 하는 것이다.

 

as·pect

양상, 모습, 외관, (사람의) 용모, 표정

국면, 정세(phase)

 

<해설>

인간은 환경과의 접촉이 자신이 감당하기 어려운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할 때 환경과의 접촉을 회피하거나 자신의 감각을 둔화시키는 데, 이러한 현상을 게슈탈트 심리학에서는 편향(偏向, deflection)이라고 부른다.

 

편향의 경우에 인간은 외부 환경과의 접촉에 사용하여야 할 에너지를 철회함으로써 접촉을 회피하는 것이다.

 

인간은 편향이라는 기제를 사용함으로써 외부 환경과의 접촉에서 생길 수 있는 위험과 좌절을 사전에 막을 수 있고, 그로 인해 생기는 고통을 피할 수 있게 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편향이 습관화되면 인간은 타인이나 환경으로부터 고립된다. 개인의 삶은 무기력해지고, 생동감과 활력을 상실하게 된다.

 

편향은 인간이 불안감, 죄책감, 심리적 갈등, 긴장감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적응 기제라고 할 수 있다. 편향은 특히 불안을 회피하고, 불안감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불안은 행동으로 옮겨질 수 없는 흥분이나 억제된 흥분에너지라고 한다. , 어떠한 행동을 하고 싶은 욕구나 감정을 느낄 때 인간에게는 흥분에너지가 동원된다. 그러나 인간은 그 순간 흥분을 행동으로 옮겼을 때, 초래될 수 있는 좌절 상황을 예상해서 호흡을 멈춤으로써 흥분을 억제하게 된다. 이 때 느끼는 감정이 흥분이라고 펄스는 보았다.

 

불안이라 함은 인간이 흥분을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고 막아버림으로써 해소되지 못한 흥분에너지로 인해 생기는 감정을 말한다. 이때 편향은 인간이 불안을 막는 방법으로 흥분에너지 자체를 피하거나 둔화시키는 방법을 택하는 것을 말한다.

 

게슈탈트 치료에 있어서는 인간이 미래를 생각하지 않고 지금 여기에 충실하게 몰입해 있으면, 흥분을 자연스럽게 행동으로 옮겨질 수 있고, 불안은 체험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런 의미에서 불안은 현재와 미래 사이의 간격이라고 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