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57)

 

1. From a holistic Gestalt perspective, creativity is not the province of "the Arts", artists, or any select stratum of society or discipline. Nor is it an achievement.

전체론적인 게슈탈트의 입장에서 보면, 창조성은 예술이나 예술가의 영역이 아니다. 또한 사회나 어떤 분야의 특정 집단에 속하는 영역도 아니다. 그것은 하나의 성취라고 할 수 있다.

 

*dis·ci·pline [dísǝplin] n.

① ?? 훈련, 훈육; 단련, 수양

┈┈• military ~ 군사훈련.

규율, 풍기; 자제(自制).

학과, 교과, (학문의) 분야

┈┈• scholars from various ~s 여러 학문 분야의 학자들.

 

per·spec·tive [pǝːrspéktiv] n.

① ? 원근(), 투시 화법; ? 투시화

원경(遠景), 경치, 조망.

③ ? 전망; 시각, 견지; ?? 상관 관계; (사물의) 균형

ho·lism [hóulizəm] n.

? 〖··전일론(全一論)복잡한 체계의 전체는, 단지 각 부분의 기능의 총합(總合)이 아니라 각 부분을 결정하는 통일체라는 입장; 전체론적 (관점에 입각한) 연구방법.

ho·lis·tic [houlístik] ɑ.

-ti·cal·ly ɑd.

ᛜstra·tum [stréitǝm, strǽt-] n. (pl. -ta [-tǝ], ~s)

; (대기·해양의) ; 생태(식물·생물의) ; 지질지층; 단층; (고고학상의) 유적이 있는 층; 조직의 박층(薄層)(lamella); 계층, 계급; ()조사를 위해 어떤 기준에 따라 구분한 집단; 시대 구분, 발전 단계.

 

2. It must ultimately be embraced as a birthright and an existential constant; whether we learn to use it consciously, responsibly, and proactively or not. The active word is awareness.

그것은 궁극적으로 생득권이며, 실존적인 불변율로 간주될 것이다. 우리가 그것을 의식적이거나, 책임감으로나, 주도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배우든 배우지 않든 관계없이 말이다. 적극적인 용어는 알아차림이다.

 

con·stant [kάnstənt/kɔ́n-] ɑ.

변치 않는, 일정한; 항구적인, 부단한.

OPP.vɑriɑble.

(뜻 따위가) 부동의, 불굴의, 견고한.

성실한, 충실한

┈┈• a ~ wife 정숙한 아내

┈┈• a ~ friend 충실한 친구.

④ ⦗서술적(한 가지를) 끝까지 지키는to.

bírth·rìght n.

생득권(生得權); 장자 상속권.

*ul·ti·mate [ʌ́ltǝmit] ɑ.

최후의, 마지막의, 궁극의

최종결정적인

ᛜ~·ly ɑd. 최후로, 결국, 마침내; 궁극적으로.

 

3. It is the intrinsic role of the Gestalt therapist to provide the appropriate environment which invites the client to become the "expert", the "author" of his or her own unique and individual legitimacy, a self-empowered co-creator of a work in process.

 

내담자로 하여금 그 자신의 독특하고 개별적인 정당성의 전문가 또는 저자, 즉 과정의 작업에 있어서 스스로 권한을 부여받은 공동 작업자가 되도록 하는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게슈탈트 치료자에게 부여된 고유한 역할이다.

le·git·i·ma·cy [lidʒítǝmǝsi] n.

합법성, 적법; 정당().

정통, 정계(正系), 적출.

 

ᛜin·trin·sic, -si·cal [intrínsik], [-əl] ɑ.

(가치·성질 따위가) 본질적인, 본래 갖추어진, 고유의(inherent)to; in; ·내재성내인성.

OPP.extrinsic(ɑl).

 

4. In Gestalt therapy the model of an individual is always of that individual in his/her environment or "field" or "life space" (Lewin 1951).

게슈탈트 치료에서 개인의 모델은 언제나 그의 환경이나 장, 또는 삶의 공간에서의 그 자신의 개별적인 인간이어야 한다.

 

5. Thus, the focus of therapy is a complex of material from the individual, from the environment, and from the interactive processes between.

 

그러므로 치료의 중심은 개인, 환경, 그리고 개인과 환경 상호 간에 작용하는 과정으로부터 생겨나는 복잡한 재료들이다.

 

<해설>

인간의 신체와 감각, 감정과 욕구, 사고와 행동은 서로 분리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이들은 모두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의미 있는 전체로 이해되고 파악되어야 한다.

 

인간의 행동은 이러한 모든 부분들이 기계적으로 연합되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다. 인간행동은 이들을 통합하는 의미 있는 전체로 나타난다.

 

게슈탈트 치료에 있어서는,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는 명백한 현상들을 기초로 하여, 내담자 스스로 자신의 감각을 사용하면서 실제로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가, 그리고 그것들이 어떻게, 어떠한 방법으로 일어나고 있는가를 스스로 탐구하고, 깨닫도록 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이다.

 

그 다음, 실험을 통해서 자신의 창조적인 에너지를 사용해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직접 찾아나서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개인의 행동은 그의 욕구, 흥미, 과거의 경험, 그가 처한 상황, 그가 장을 조직화하여 지각하는 방식, 그의 생각, 상상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동일한 장에 속한 모든 요인이나 요소들은 상호 작용을 일으키며,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관계에 있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56)

 

1. Since many such processes are unconscious (I include dreaming as an example) there is no reason to imply a necessity of the "will" or deliberate action.

많은 그러한 과정들이 무의식적(나는 한 예로 꿈을 든다), “의지나 계획적인 행동의 필요성을 암시할 필요성은 없다.

 

de·lib·er·ate [dilíbǝrit] ɑ.

계획적인, 숙고한 뒤의, 고의의.

생각이 깊은, 신중한

┈┈• take ~ action 신중하게 행동하다.

침착한, 유유한.

*im·ply [implái] vt.

함축하다, 넌지시 비추다, 암시하다(suggest)

의미하다(mean)

(필연적으로) 포함수반하다, 을 당연히 수반하다

 

2. By limiting my view of what is "acceptably creative" to merely conscious and willful activities, I deny the areas of chance, growth, serendipity and surprise.

무엇이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창조적인가를 단순히 의식적이고 고의적인 행동에 국한시키는 나의 견해를 제한하면, 나는 기회, 성장, 우연한 발견, 놀라움 등을 부인하게 된다.

 

ser·en·dip·i·ty [sèrǝndípǝti] n.

뜻밖의 발견(을 하는 능력); 운 좋게 발견한 것.

-díp·i·tous ɑ. 뜻밖의 발견을 하는 능력의에 의하여 얻은.

-tous·ly ɑd.

 

3. What could be more creative than play? more stifling than self-consciousness? more stultifying than being "all-knowing"? or more controlling than learned-helplessness?

게임보다 더 창조적인 것이 있을까? 자아의식보다 더 답답한 것이 있을까? “모든 것을 아는 것보다 더 숨막힐 것 같은 것이 있을가? 알면서도 무기력한 것보다 더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있을까?

 

help·less [hélplis] ɑ.

스스로 어떻게도 할 수 없는, 무력한, 소용에 닿지 않는.

도움이 없는; 난감한표정 등

┈┈• a ~ orphan 의지가지 없는 고아.

술에 취한.

~·ness n.

 

sti·fling [stáifliŋ] ɑ.

숨막힐 듯한, 질식할 것 같은공기 따위; 답답한, 갑갑한, 거북한예의 따위.

 

4. Gestalt therapy is not a forensic science. I do not present myself in a doctor-patient role, the powerful "curing" the powerless, or presumeing that I know what these processes are.

게슈탈트 치료는 토론하는 학문이 아니다. 나는 의사 환자의 역할을 하지 않는다. 나는 힘이 없는 사람을 강하게 치료하거나 이러한 과정을 알고 있는 것처럼 생각하지 않는다.

 

pre·sume [prizúːm] vt.

추정하다, 상상하다, 인가 하고 생각하다

fo·ren·sic [fǝrénsik] ɑ.

법정의에 쓰이는.

(범죄의) 과학수사의, 법의학의.

변론토론에 적합한; (의론 등이) 수사적인.

 

 

<해설>

인간은 능동적인 행동을 하는 정신을 가지고 있는 존재이다.” 게슈탈트 심리학에서 보는 인간의 본질이다. 인간은 기계가 아니다.

 

프로이드가 주도한 정신분석학에서는, “인간은 스스로 자유롭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의 행동은 자아, 초자아, 원초아의 충동의 역학관계에 의해 기계적으로, 자동적으로 결정된다.”고 보았다.

 

스키너의 행동주의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행동은 자극과 반응의 우발적 연계성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하면서, 인간을 주체적인 정신적 존재가 아니라고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정신분석학이나 행동주의 심리학과 달리, 게슈탈트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정서가 중요하다는 사실에 착안하고 있다. 그러면서 인간의 사고와 정서, 신체, 행동의 통합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개인과 타인,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 관계가 떼어서 분리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게슈탈트 심리치료는 인간이 환경과 만나는 과정에서 자기 자신의 생각과 감정, 욕구, 신체감각이나 환경에 대한 지각을 넓히고, 접촉하면서, 자신의 것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지원해주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한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55)

 

1. Miller again: "Treated as a fundamental theoretical concept, curiosity fits readily into the phenomenological basis of Gestalt therapy, for it is an 'intentional' concept; that is, it combines awareness with aggression in the sense that Gestalt therapy uses these terms, reflecting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a self directing its meanings and purposes toward the world" (p 22).

 

밀러는 다시 말한다. “기본적인 치료개념으로 취급되는 호기심은, 하나의 의도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게슈탈트 치료의 현상학적인 기반으로 즉시 자리를 잡는다. 다시 말하면, 호기심은 게슈탈트 치료가 이러한 용어들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알아차림과 공격성을 결합시키며, 그 의미와 목적을 세상으로 향하게 하는 개인의 주관적인 체험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2. Perls seems to have had this process in mind when he spoke of "interest" as the organizing element in the emergence of needs (Perls 1973, p 2).

 

펄스는 욕구의 출현에 있어서 구성요소로서 관심을 언급할 때 그의 마음 속에는 이미 이러한 과정을 염두에 두고 있었던 것처럼 보인다.

 

emer·gence ? 출현; 탈출; 발생; (해저) 상승;

 

3. Curiosity or interest, then, is proactive, that is, open to or directing itself to new experience; need reduction is reactive, that is, it rests on awarenesses of survival needs.

 

호기심 또는 관심은 그 다음에는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다시 말하면 그것은 새로운 체험을 받아들이거나 체험을 하도록 지시한다. 욕구의 감소는 역행적이다. 다시 말하면, 그것은 생존의 욕구를 알아차리는 것에 의존하게 된다.

 

re·ac·tive 반동의, 반동적복고적; 반발하는; 역행의.

prò·áctive 솔선하는, 진취적인, 주도적인; 사전 대책을 강구하는

② 〖순행(順行).

 

 

<해설>

인간은 혼자 살 수 없는 존재다. 때문에 인간은 필연적으로 다른 사람과 만나고, 서로 교류하며, 상호 접촉하면서 살아가야 한다. 게슈탈트 심리치료에서 주된 관심을 가지는 것은, 바로 인간의 타인과의 관계다.

 

사람이 다른 사람과의 관계 맺기를 싫어하거나 회피하면 문제가 생긴다. 항상 나와 너의 관계가 문제다. 1 1의 인간관계가 가장 중요한 문제다.

 

인간은 자기 자신의 내면의 세계에서만 안주하면 안 된다. 잘못하면 대인기피증세가 나타난다.

 

인간은 언제나 자기 자신도 중요하지만, 타인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낯선 타인을 처음 만나면 인간은 호기심을 발동해야 한다. 상대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상대를 탐구해야 한다.

 

상대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그러면서 자기 자신의 본래 모습을 솔직하게 표현해야 한다. 위선과 가식을 버려야 한다. 그러면서 나와 너의 경계를 명확하게 해야 한다.

 

또한 나는 나이고, 너는 너이다. 두 개의 유기체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이한 존재다. 나와 너가 완전히 동일하게 혼합될 수 없다. 따라서 필요 이상의 비정상적인 동일체 의식인 과도한 융합현상은 바람직하지 않다.

 

너의 것이 나의 것으로 과도하게 자리잡고, 나의 주인노릇을 해서도 안 된다. 지나친 너의 것이 내 안에서 내사되어 있으면 나의 주체성이 상실된다.

 

또한 너의 것을 나의 것으로 지각하는 것도 지나치면 안 된다. 너의 욕구와 감정, 생각을 너의 것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나의 것으로 지각하는 투사현상도 지나치면 문제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54)

 

1. Survival needs and discovery needs are intimately related. The need for safety and security is paramount in the presence of threat to any of the survival needs for food, clothing, shelter, touch, etc., in the physical sphere or care and validation in the mental/emotional/social sphere.

생존의 욕구와 탐구의 욕구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안전과 보호를 위한 욕구는 신체적인 영역에서의 음식, 의복, 주거, 접촉 등과 같은 생존의 욕구와 정신적/ 정서적/ 사회적 영역에 있어서의 관심과 효과에서 가장 중요하다.

 

2. However, when safety and security are assured, the need for novelty, experimentation, and discovery emerges.

그러나 안전과 보호가 보장되는 경우에는, 고상함과 실험, 발견의 욕구가 나타나게 된다.

 

3. Here curiosity is the "elemental shaping force" (Miller's words) and we may note that imagination functions as one of the elements since efforts to actualize oneself are creative efforts.

여기에서 호기심은 기초적인 형성력이며, 우리는 상상하는 기능을 우리 자신을 활성화시키는 노력이 창조적인 노력의 하나로 여기게 될 것이다.

 

4. The individual is moving into the unknown using "aggressive" energy.

개인은 공격적인 에너지를 사용하여 알 수 없는 상태로 옮겨가는 것이다.

 

<해설>

인간은 살아있는 유기체이므로 끊임 없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욕구가 더 이상 없는 경우에는 그러한 개체는 살아있다고 할 수 없다.

 

인간은 살아있는 동안 먹고, 마시고, 성관계를 하고 싶은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생존의 욕구, 의식주의 욕구뿐 아니라 수많은 본능적인 욕구를 가진다.

 

더 나아가 인간은 탐구의 욕구, 명예욕, 재물욕심 등을 가진다.

 

게슈탈트 심리학에서는 인간은 주변 환경에서 나타나는 외부의 자극을 단순히 수동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인간은 외부자극을 자신의 욕구나 관심에 따라 능동적으로 조직화하거나 이를 편집하여 지각한다고 본다.

 

이와 같이 인간이 환경을 자신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의미 있는 형태로 조직화하여 지각한 것을 게슈탈트라고 부른다.

 

만일 어떤 남자의 앞에 어떤 여자가 나타났을 때, 그 남자는 여자를 보고 성적 욕망을 느끼기도 하지만, 다른 남자는 성욕은 전혀 느끼지 않고, 동정심을 느끼기도 한다.

 

이것은 남자에게 나타난 외부 자극을 남자의 개인적인 욕구나 관심에 따라 능동적으로 조직화하거나 편집하여 지각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여자가 젊고 매력이 있어 남자는 성욕을 느끼기도 한다. 하지만 여자가 젊고 매력도 있지만, 지금 병이 들어 아파서 길에서 쓰러져있는 상태를 보고 지나가던 남자가 나이 들어 젊잖은 사람이라면 성욕을 느끼지 않고, 여자를 병원에 데려다 주려고 할 것이다.

 

이처럼 동일한 형태의 외부 자극, 즉 여자를 보고 남자들이 느끼는 욕구의 형태는 다르다. 이것이 바로 게슈탈트인 것이다.

 

게슈탈트는 단순한 욕구를 가르키는 것이 아니다.

 

인간이 어떠한 외부 환경에서의 자극에 노출되면, 인간은 그러한 자극이나 대상을 하나하나의 떼어져있는 부분들로 보지 않는다. 인간은 완결성, 근접성, 유사성의 원리와 방식에 의하여 외부 자극을 하나의 의미 있는 전체 또는 형태로 지각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즉 인간은 게슈탈트로 조직화하는 방식으로 만들어 지각하는 것이다.

인간은 자신에게 지금 여기에서 직접적이며 중요한 의미가 있는 욕구를 배경에서 전경으로 떠올려, 게슈탈트로 형성하여 지각한다. 그리고 자신의 창조적 에너지를 동원하여 이러한 게슈탈트를 해소한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53)

 

1. In Gestalt theory, the meaning connected with a figure is a critical aspect of its relation to the ground at that moment. The ground defines the figure and gives it meaning.

게슈탈트 이론에서는, 하나의 전경과 관련된 의미는 그 순간에서 배경과의 관련성의 중요한 측면이 된다. 배경은 전경을 규정하고, 전경에 의미를 부여한다.

 

2. To change the figure, whether in awareness or not, involves a complex set of internal changes. These are always in process.

전경을 바꾸기 위해서는, 알아차리거나 알아차리지 못하거나, 복잡한 내적인 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것들은 언제나 일어나고 있다.

 

3. Likewise, all figural information, whether visual, physical, semantic, emotional, or interpersonal, is gained by relating a figure meaningfully to the field of impressions against which it is perceived, the ground.

마찬가지로, 모든 전경의 형성은 그것이 시각적이든, 물리적이든, 의미를 가지든, 정서적이든, 개인간이든, 그것이 지각된 인상의 장에서 의미 있는 전경과 관련하여 얻어진다.

 

se·man·tic 어의(語義)에 관한, 의미론().

vis·u·al 시각의; 보는, 보기 위한; 눈에 보이는; 광학상의

┈┈• a ~ image 시각 심상(心像)

*like·wise

똑같이, 마찬가지로

또한, 게다가 또(moreover, also, too).

 

<해설>

게슈탈트 심리치료에서 전경과 배경의 개념은 매우 중요하다. 인간이 의식은 어떠한 대상에 관하여 관심 있는 부분과 그 이외의 부분으로 구분하여 인식한다.

 

인간의 인식작용의 대상으로서 어느 한순간에 관심의 초점이 되는 부분을 전경(前景, fgure)이라고 한다. 전경 이외에 관심 밖으로 물러나는 부분을 배경(背景, ground)이라고 한다.

 

인간이 어느 한순간에 자기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욕구나 감정을 전경으로 떠올리는 것을 게슈탈트를 형성한다고 한다.

 

심리적으로 건강하고 정상적인 사람은 매 순간 지금 여기에서 자기 자신에게 중요하고 필요한 게슈탈트를 선명하고 강하게 형성하여 전경으로 떠올린다.

 

개인이 전경으로 떠올린 게슈탈트를 해소 내지 해결하면, 그러한 게슈탈트는 전경에서 배경으로 물러난다. 그런 다음 개인은 전경으로 다른 새로운 게슈탈트를 떠올리고, 이를 해소하면 게슈탈트는 배경으로 물러난다.

 

이와 같은 전경과 배경의 순환과정, 게슈탈트의 형성 및 해결 과정을 게슈탈트의 형성과 해소또는 전경과 배경의 교체라고 부른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52)

 

1. Perls distinguished between a stultifying intellectualism and a lively intelligent awareness; such a distinction seemed too subtle to persons who were not Gestalt oriented.

 

펄스는 무의미한 지성주의와 생생한 지적인 알아차림을 구별했다. 그러한 차이는 게슈탈트를 지향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너무 포착하기 어려워 보인다.

 

in·tel·li·gent 지적인, 지성을 갖춘, 지능이 있는, 이해력이 뛰어난, 영리한

*sub·tle 미묘한, 포착하기 힘든, 난해한

* ìn·tel·léc·tu·al·ìsm 지성주의(知性主義); 지성 존중편중; 지적 연구.

 

2. In another context, using another set of verbal signals in Gestalt therapy, that which is the focus for my attention is noted as the "figure," that is, the material that emerges from the "ground," that is, the rest of my life experience.

다른 문맥으로 보면, 게슈탈트 치료에서 일련의 말의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전경으로 규정지어지는 것에 나의 주의가 집중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경은 나의 삶의 경험의 나머지를 의미하는 배경으로부터 나오는 재료를 뜻한다.

 

3. Figure & Ground(전경과 배경)

The perception of a figure emerging from the ground is a consequence of an internal choice that, although momentary, involves a complex of internal processes.

배경으로부터 떠오르는 전경을 지각하는 것은 비록 일시적인 것이지만, 복잡한 내적인 과정을 포함하는 내적인 선책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mo·men·tary 순간의, 잠깐의, 일시적인; 덧없는(transitory)

시시각각의, 각일각의, 지금이라도 일어날 듯한

*per·cep·tion 지각(작용); 인식; 지각력;

 

4. In the internal world, personal needs, values, beliefs, etc. provide the impetus for the choice of figure; the choice also is powered by the search for meaning, a search that is endemic in each human being.

내면 세계에서 개인의 욕구, 가치, 믿음 등은 전경을 선택하는데 자극을 준다. 그러한 선택은 개별적인 인간에게 고유한 탐색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en·dem·ic (병이) 한 지방에 특유한, 풍토성의

┈┈• an ~ disease 풍토병

(동식물 등이) 특정 지방에 한정된; 특정 민족국가에 고유한.

im·pe·tus

① ? (움직이고 있는 물체의) , 추진력, 운동량, 관성(慣性).

② ? (정신적인) 기동력(機動力), 유인, 자극.

in·ter·nal 내부의, 안의(OPP.externɑl

내면적인, 정신적인, 본질적인

 

<해설>

인간은 유기체로서 환경과의 관계에서 많은 것을 알아차려야 한다. , 인간은 <현상><행위>를 알아차려야 한다.

 

인간은 자기 자신의 욕구, 감정, 생각, 신체적 감각, 환경 및 이미지, 상황 등을 알아차려야 한다. 이와 같은 인간의 내면 세계 및 외부 세계에서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모든 현상을 알아차리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 인간은 <행위>까지 알아차려야 한다. 인간은 자기 자신의 행위 양식도 알아차려야 한다. 자신의 특정한 생각의 형태, 특정한 행동의 양식, 접촉경계에서 발생하는 혼란스러운 행동 등도 모두 알아차려야 한다.

 

<현상 알아차림>은 인간이 자기 자신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모든 현상들을 알아차리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 알아차림>은 인간이 자신의 삶을 살아가기 위해 필요로 하는 가장 기본적인 행위에 해당한다. 인간이 만일 이와 같은 <현상>들을 제대로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에는 인간은 주변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게 된다.

 

<현상 알아차림>, 신체감각, 욕구, 감정, 이미지, 내적인 힘, 환경, 상황, 관계에 대한 알아차림으로 구별할 수 있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51)

 

1. "Awareness is characterized by contact, by sensing, by excitement and by gestalt formation" (Perls et al, 1951, p viii);

알아차림은 접촉, 감각활동, 흥분, 게슈탈트 형성에 의해 규정지어진다.

 

2. "[It] is the spontaneous sensing of what arises in you of what you are doing, feeling, planning" (p 75).

알아차림은 당신 안에서 일어나는 것, 당신이 행동하는 것, 느끼는 것, 계획하는 것을 동시에 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3. In the example given in Contact: Good & Ill-health, I may have sensed the entrance of the person into my room but until I am aware, the excitement is missing and there is no gestalt.

접촉에서 보여주는 예 좋은 것과 건강하지 못한 것, 나는 어떤 사람이 나의 방에 들어오는 것을 느꼈을 수 있다. 그러나 내가 알아차릴 때까지는 흥분은 찾을 수 없고, 게슈탈트는 존재하지 않는다.

 

4, When I do make good-quality, aware contact with the person, I feel excitement and that experience is a gestalt.

내가 다른 사람과 좋은 수준의 접촉을 하게 되면, 나는 흥분을 느끼고 그러한 경험은 게슈탈트가 되는 것이다.

 

5. "Gestalt formation always accompanies awareness" (Perls et al, 1951, p ix).

게슈탈트의 형성은 언제나 알아차림을 동반한다.

 

<해설>

알아차림은 인간이 주어진 환경에서 인간 환경의 장에서 일어나는 개인에게 중요한 내적 또는 외적 사건을 지각하고 체험하는 것을 말한다.

 

알아차림은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자연스럽게 지각하고 체험하는 것을 말한다.

 

알아차림은 인간이 지금 여기에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일어나는 현상들을 바로 현재 순간에 지각하는 것이므로, 언제나 현재적이며 직접적인 체험을 뜻한다.

 

알아차림은 신체감각이나 욕구, 감정, 생각, 이미지, 행동, 환경 또는 상황에대해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지각하는 것을 말한다.

 

알아차림은 인간 환경의 상호 교류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 그때그때 자연스럽게 집중하는 행위로서 게슈탈트를 형성하여 완결시키게 된다.

 

개인이 유기체 환경에서 일어나는 중요한 현상들을 잘 알아차리면, 미해결과제는 쌓이지 않고, 이상심리현상도 일어나지 않는다.

 

알아차림은 단순히 문제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미해결과제를 자각하여 전경으로 떠올리고, 거기에 집중하여 미해결과제가 완결될 때까지 거기에 머무르는 과정을 포함한다.

 

인간은 점차 자신이 차단해온 영역들과 무의식적 행동에 대해 알아차리게 됨에 따라 자기 삶의 중요한 주제에 대해 단계적으로 접근하고 접촉이 가능하게 된다고 한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50)

 

1. All therapy is change-oriented. What changes are the goals for the Gestalt therapist? The classic description of the goal is the general statement of Fritz Perls?

모든 치료는 변화를 목표로 한다. 게슈탈트 치료자가 바라는 목표는 어떠한 변화일까? 그러한 목표의 고전적인 표현은 프리츠 펄스의 일반적인 설명이다.

* ther·a·py ? 치료, ()치료법

* de·scrip·tion 기술, 묘사, 서술(account)

 

2. "What we are after is the maturation of the person . . . to help him make the transition from environmental support to self support."

개인이 치료를 받은 후 달라지는 모습은 개인의 성장 내지 성숙이다. 개인이 환경적 지지로부터 자기 자신의 지지로 옮겨가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3. In other words, the major targeted movement is from neurotic manipulation of self and environment for satisfaction of needs to "good quality contact" (again, Miriam Polster's term) from a fully functioning self with that self's environment.

다른 말로 표현하면, 가장 중요하게 목표로 하는 행동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자기 자신과 환경을 비현실적으로 조작하는 것으로부터 자신이 처한 환경과 충분하게 작용하면서 좋은 내용의 접촉을 하는 것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ᛜneu·rot·ic 신경의, 신경계의; 신경증의; 신경 과민의, 비현실적 생각에 잠기는

┈┈• They’re ~ about AIDS. 그들은 에이즈에 대해 신경과민이 돼 있다.

 

4. The dimensions or components of "good quality contact" cannot be stated categorically because, since we honor the uniqueness of each individual, such contact may vary considerably between individuals and in each individual at different times.

좋은 내용의 접촉의 범위나 요소는 특정해서 설명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우리는 개인의 특성을 존준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접촉은 사람들 사이에서 상당히 다르게 달라질 것이며, 또한 각각 다른 시간에 개인에 있어서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ᛜcom·po·nent 구성하고 있는, 성분을 이루는

┈┈• ~ parts 구성 요소부분, 성분.

 

<해설>

게슈탈트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목표는 개인이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정확하게 알아차리고, 주변 사람들과의 접촉을 통해서 이를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간이 <나와 너에 대한 알아차림><타인과의 접촉>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표현하고, 내적 외적 에너지를 동원해서 이를 해결 내지 해소함으로써 미해결과제를 남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알아차림과 접촉은 항상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단순한 알아차림으로 그치고, 접촉의 단계로 나가지 않으면 심리적 혼란상태가 초래된다.

 

인간은 알아차림의 기능을 통해 자신에게 가치 있고 의미 있는 욕구와 감정, 생각 등이 배경에서 전경으로 떠오르게 되며, 이와 같이 전경으로 떠오른 욕구와 감정을 접촉을 통해 전경을 해소하고 창조적인 에너지를 사용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게슈탈트 치료에 있어서 개인의 자립적이고 독립적인 행동은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격려하고 응원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개인이 타인에게 지나치게 의존하거나, 타인과 자신을 동일시하거나, 타인과의 접촉을 회피하거나 접촉을 명확하게 하지 않는 등의 행동은 하지 않도록 어드바이스해야 한다.

 

개인은 타인과의 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개인의 관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알아차림><접촉>을 원활하게 하여야 한다.

 

개인이 타인과의 관계에서 <알아차림>과정을 처음부터 차단하거나 회피하거나, 비정상적으로 알아차리게 되면, 그 다음 단계인 <접촉>과정이 제대로 되지 않게 된다.

 

타인과의 관계성을 정상적으로 변화시키고 이를 향상시키게 되면, 개인은 성격이 안정적이 된다.

 

타인과의 관계성이 높게 형성되면, 대인관계에서 상대방을 믿고 신뢰하게 되며, 상대방 때문에 자신이 상처받지 않게 되고, 어렵거나 힘든 상황이 되면 상대방의 도움과 협조를 받아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49)

 

1. Projection: I attribute to others thoughts, feelings or meanings which are products of my own imagination. Example: I observe a person being quiet and believe them to be angry.

 

투사 : 나 자신의 추측이나 상상에서 나온 생각이나 감정 또는 의미를 다른 사람들의 것으로 돌린다. : 나는 어떤 사람이 조용히 가만히 있는 것을 관찰하고, 그것을 그가 화가 난 것으로 믿는다.

 

2. Introjection: I have "swallowed whole" a message from others without questioning its validity. Example: I believe that I am stupid because my father always said I was.

 

3. Retroflection: I do to myself what I would like to do to others.

 

Example: I bite my lip rather than let out the 'biting remarks' I really want to make. (The retroflective process often involves physical self-harm.)

 

나는 내가 다른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일을 나 자신에 한다. : 나는 정말 다른 사람들에게 쏘아붙이고 싶은 말을 내뱉는 대신에 나의 입술을 깨문다. (반전의 과정은 때로 자신을 신체적으로 해치는 것을 포함한다)

 

4. Confluence: I am not aware of myself as a separate, distinct or autonomous individual. Example #1: An infant's sense of self awareness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Example #2: Perhaps a powerful sexual, romantic, or mystical experience.

 

융합 : 나는 나 자신이 분리되고, 별개 또는 독립한 개인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 #1 : 부모와 자녀 사이의 관계에서 어린 아이가 느끼는 자아 인식, #2 : 아마도 강력한 성적인, 낭만적인 또는 신비스러운 경험.

 

5. Deflection: I do not respond directly to contactful possibilities; I change the focus. Example: To the question "How are you?" I might respond with "Well, that's a good question."

 

편향 : 나는 접촉이 충분히 가능한 것에 대하여 직접 반응을 하지 않는다. 나는 초점을 바꾼다. : “안녕하세요?”라는 질문에 대하여, 나는 . 좋은 질문입니다.”라고 답할 수 있다.

 

6. Egotism: I am so concerned with myself that I do not recognize genuinely contactful opportunities. Example: I am asked for my opinion, and I take this as an obvious sign of the other person's inferiority and weakness.

 

자의식 : 나는 나 자신에 대해 매우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나는 접촉가능성에 대해 진정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 나는 나 자신의 의견에 대해 묻는다. 그리고 나는 이것을 다른 사람이 나를 열등하거나 약하다고 확실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받아들인다.

 

7. There are examples here which are not necessarily neurotic. The crucial factor is awareness: I am conscious of what I am doing, making contact choices knowingly, not simply out of habit, in response to unique, present, and changing circumstances.

 

여기에서 보여주는 예들은 반드시 신경증적인 것은 아니다. 중요한 요소는 알아차림이다. 나는 내가 지금 하고 있는 것을 인식하고 있으며, 의식적으로 접촉의 선택을 할 수 있다. 단순히 습관에 의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독특하고, 현재의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대응하면서 하는 것이다.

 

ᛜneu·rot·ic 신경의, 신경계의; 신경증의; 신경 과민의, 비현실적 생각에 잠기는

cru·cial 결정적인, 중대한to; for; 엄격한; (시기·문제 등이) 어려운; 십자형의

 

<해설>

건강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인간은 유기체로서 자기 자신의 내면의 세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야 한다. 그리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그 사람에 대해 확실하게 알아내고, 적절하게 접촉하여 관계를 형성하고, 그와 상호작용을 건강하게 하여야 한다.

 

이러한 것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때, 즉 나와 너의 관계에서 상호 간에 존재하는 경계가 불분명할 때, 너에 대한 접촉 과정에서 확실한 알아차림이 일어나지 않을 때, 접촉 자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심리적인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투사는 자기 자신의 생각이나 욕구, 감정을 자신의 것으로 알아차리지 못하고, 너의 것으로 지각하는 것을 말한다.

 

사실은 내가 너를 미워하는데, 그러한 것을 깨닫지 못하고, 네가 나를 미워하는 것으로 지각하는 것이다.

 

사실은 너는 나를 바보라고 생각하지 않는데, 나는 네가 나를 바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믿는 것이다.

 

이러한 투사현상은 결국 나에 대한 너의 생각이나 욕구, 감정을 오해하고 잘못 믿음으로써 이상한 부작용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내사 : 나는 다른 사람들의 말을 타당성을 따지지 않고 그냥 통째로 받아들였다. : 나는 아버지가 내가 언제나 어리석다고 말했기 때문에 내가 어리석다고 믿고 있다

 

내사는 다른 사람의 말이나 생각, 욕구나 감정, 가치관, 도덕심 등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 나 자신의 내면의 세계에서 주인 노릇을 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런 사람은 자기 자신의 뜻과 욕구, 감정이 없다. 내사된 다른 사람의 종노릇을 하면서 살아가게 된다.

 

반전이란 너에게 하고 싶은 말이나 행동을 너에게는 자신이 없어서 하지 못하고, 그 대신에 나에게 하는 것을 말한다. 깡패에서 폭행을 당하고 집에 와서 자신의 머리를 벽에다 세게 10번 부딪히는 것을 말한다.

 

융합은 사랑하는 연인 사이에서 두 사람이 언제나 똑 같은 감정을 느끼고, 똑 같은 생각을 하며, 똑 같은 행동을 해야 한다고 잘못 생각하고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두 사람의 친밀한 관계의 유지만을 위해서 자기 자신의 본래의 욕구나 감정을 감추고 억압하며 표출시키지 못하면서 폐쇄적인 삶을 살아가게 된다.

 

편향은 너와의 관계에서 불편한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처음부터 정상적인 접촉을 차단하거나 자신의 감각을 둔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자의식이란, 나 자신에 대해 지나치게 의식하고 관찰하면서, 네가 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과잉으로 의식하는 것을 말한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48)

 

1. For contact to occur, the individual mobilizes "aggressive" energy; that is, the individual actively moves from the closed internal sphere to the contactful sphere, either internal or external, a non-violent contact-function and a healthy one leading the individual to interact with self or the environment in a fruitful way.

 

접촉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개인은 공격적인 에너지를 동원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개인은 닫힌 내부세계로부터 접촉할 수 있는 내부 또는 외부 세계로 적극적으로 이동해야 한다. 비폭력적인 접촉 기능과 자기 자신 또는 환경과 효과적인 방법으로 상호작용할 수 인도하는 건강한 접촉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ag·gres·sive 침략적인, 공세의; 공격적인, 호전적인; 싸움조의; 공격용의;

진취적적극적; 정력적인, 과감한.

mo·bi·lize [móubǝlàiz] 동원하다, (힘 따위를) 발휘하다.

 

2. The mobilization of "aggression" for contact is possible because the individual has an internal "impulse" (Perls et al, p 342) toward health and wholeness.

 

접촉을 위해 공격을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개인이 건강과 완전성을 향한 내적인 추진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whóle·ness

전체, 총체, 모두; 완전, 흠 없음.

② 〖정수성(整數性).

강건(強健).

*im·pulse

① ? 추진(); 충격; 자극.

② ?? (마음의) 충동, 일시적 충격

 

3 Perls salutes the "courage and creative formative power in every person" (p 288). The impulse mobilizes the creative formative (aggressive) power toward health and wholeness; such power is evidenced in curiosity (see the discussion in Emergent Needs).

 

펄스는 모든 개인에게 용기와 형성하는 창조적인 힘이 있음을 받아들였다. 추진력은 건강과 완전성을 향한 창조적인 형성하는(공격적인) 힘을 동원하며, 그러한 힘은 호기심에서 찾을 수 있다(긴급한 욕구에서의 논의 참조).

 

*sa·lute [sǝlúːt] vt.

① 《~+?/+?+?+?》 …에게 인사하다특히 깍듯이, 에 경례하다; 맞이하다with

(눈에) 띄다, (귀에) 들리다

 

<해설>

접촉(contact)이라 함은, 인간이 알아차림을 통해 게슈탈트를 형성한 다음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환경에서 적당한 목표를 찾아내고 그러한 목표에 대해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접촉은 인간이 새로운 환경에 이끌려 이러한 환경의 자극을 향해 나아가 이를 받아들이고, 이를 동화시켜서 자신이 스스로 변화하고 성장하는 과정을 말한다.

 

인간은 살아가면서 자기 자신이라고 동일시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를 허용하고, 그 범위 밖에 있는 자신의 욕구나 감정에 대해서는 이를 회피하려고 한다.

 

인간이 자신의 범위를 넘어서는 욕구나 감정이 배경으로부터 전경으로 떠오르게 되면, 그는 이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두려워하거나 죄책감을 느끼면서 이를 차단하게 된다.

 

이처럼 차단된 욕구나 감정은 개인으로부터 소외되어 미해결과제로 남게 된다. 미해결과제는 결국 개인의 심리적 장애를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개인의 미해결과제는 슬픔이나 분노감정, 억압된 성적 욕망 등이 있으며, 이러한 미해결과제들은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