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52)

 

1. Perls distinguished between a stultifying intellectualism and a lively intelligent awareness; such a distinction seemed too subtle to persons who were not Gestalt oriented.

 

펄스는 무의미한 지성주의와 생생한 지적인 알아차림을 구별했다. 그러한 차이는 게슈탈트를 지향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너무 포착하기 어려워 보인다.

 

in·tel·li·gent 지적인, 지성을 갖춘, 지능이 있는, 이해력이 뛰어난, 영리한

*sub·tle 미묘한, 포착하기 힘든, 난해한

* ìn·tel·léc·tu·al·ìsm 지성주의(知性主義); 지성 존중편중; 지적 연구.

 

2. In another context, using another set of verbal signals in Gestalt therapy, that which is the focus for my attention is noted as the "figure," that is, the material that emerges from the "ground," that is, the rest of my life experience.

다른 문맥으로 보면, 게슈탈트 치료에서 일련의 말의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전경으로 규정지어지는 것에 나의 주의가 집중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경은 나의 삶의 경험의 나머지를 의미하는 배경으로부터 나오는 재료를 뜻한다.

 

3. Figure & Ground(전경과 배경)

The perception of a figure emerging from the ground is a consequence of an internal choice that, although momentary, involves a complex of internal processes.

배경으로부터 떠오르는 전경을 지각하는 것은 비록 일시적인 것이지만, 복잡한 내적인 과정을 포함하는 내적인 선책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mo·men·tary 순간의, 잠깐의, 일시적인; 덧없는(transitory)

시시각각의, 각일각의, 지금이라도 일어날 듯한

*per·cep·tion 지각(작용); 인식; 지각력;

 

4. In the internal world, personal needs, values, beliefs, etc. provide the impetus for the choice of figure; the choice also is powered by the search for meaning, a search that is endemic in each human being.

내면 세계에서 개인의 욕구, 가치, 믿음 등은 전경을 선택하는데 자극을 준다. 그러한 선택은 개별적인 인간에게 고유한 탐색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en·dem·ic (병이) 한 지방에 특유한, 풍토성의

┈┈• an ~ disease 풍토병

(동식물 등이) 특정 지방에 한정된; 특정 민족국가에 고유한.

im·pe·tus

① ? (움직이고 있는 물체의) , 추진력, 운동량, 관성(慣性).

② ? (정신적인) 기동력(機動力), 유인, 자극.

in·ter·nal 내부의, 안의(OPP.externɑl

내면적인, 정신적인, 본질적인

 

<해설>

인간은 유기체로서 환경과의 관계에서 많은 것을 알아차려야 한다. , 인간은 <현상><행위>를 알아차려야 한다.

 

인간은 자기 자신의 욕구, 감정, 생각, 신체적 감각, 환경 및 이미지, 상황 등을 알아차려야 한다. 이와 같은 인간의 내면 세계 및 외부 세계에서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모든 현상을 알아차리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 인간은 <행위>까지 알아차려야 한다. 인간은 자기 자신의 행위 양식도 알아차려야 한다. 자신의 특정한 생각의 형태, 특정한 행동의 양식, 접촉경계에서 발생하는 혼란스러운 행동 등도 모두 알아차려야 한다.

 

<현상 알아차림>은 인간이 자기 자신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모든 현상들을 알아차리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 알아차림>은 인간이 자신의 삶을 살아가기 위해 필요로 하는 가장 기본적인 행위에 해당한다. 인간이 만일 이와 같은 <현상>들을 제대로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에는 인간은 주변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게 된다.

 

<현상 알아차림>, 신체감각, 욕구, 감정, 이미지, 내적인 힘, 환경, 상황, 관계에 대한 알아차림으로 구별할 수 있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42)

 

1. Egotism In Gestalt Psychology, Egotism is characterized by an excessive preoccupation with one’s own thoughts, feelings, behaviors, and effect on others.

 

자의식 게슈탈트 심리학에서 자의식은 개인의 자기 자신의 생각과 감정, 행동, 그리고 타인에 대한 영향에 과도하게 사로잡혀 있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 ego·tism 자기 중심(주의), 자부, 이기(利己), 제멋대로 함.

cf.egoism.

* prè·occupátion 선취(先取); 선점(先占). 선입관, 편견. 몰두, 전심, 열중.

 

2. The preoccupation can be positive, admiring and self-congratulatory or critical and be undermining either way, it is an avoidance of real relational contact.

 

선입관은 자심감 있고, 칭찬받을 수 있고, 스스로 칭찬하거나 비판적이거나 스스로 자기를 경멸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실제적인 관계적인 접촉을 피하는 방법일 수 있다.

 

* prè·occupátion 선취(先取); 선점(先占). 선입관, 편견. 몰두, 전심, 열중. 우선 해야 할 일, 첫째 임무; (중대) 관심사.

* ad·mir·ing 찬미하는, 감복감탄하는

 

3. It’s as if this person gets trapped in their own thoughts. The task here is to encourage the person to move away from their self-monitoring and self-reflection into more immediate contact with others and their environment.

 

그것은 마치 이러한 사람이 자기 자신의 사고에만 갇혀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사람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으로 하여금 스스로 자신을 관찰하고 자기 반성을 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서 다른 사람이나 환경과의 보다 직접적인 접촉을 하도록 격려할 필요가 있다.

 

 

4. Spontaneity In contrast to egotism, unrestrained Spontaneity is an absence of necessary reflection and self-monitoring.

자발적 행동 이기심에 비하여, 억제되지 않는 자발적 행동은 필요한 반성이나 자기 관찰의 결여가 되는 것이다.

 

* spon·ta·ne·i·ty 자발(), 자발 행동활동; 무의식; 자연스러움; 자발적 행위; (특히 식물의) 자생(自生).

 

5. Excessive spontaneity can be seen in impulse disorders, mania, and antisocial behavior.

 

지나친 자발적 행동은 충동장애, 광적 강박증, 반사회적 행동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해설>

게슈탈트 치료에서는 실존적 존재로서의 개인이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접촉경계혼란> 현상이 일어난다고 보고,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인간인 나와 인간인 너는 어디까지나 독립된 별개의 실존이다. 아무리 가까워도 나와 너가 화학적인 결합을 한 <완전한 하나>로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때문에 나는 나고, 너는 너다.’ 나와 너 사이에는 엄연한 경계가 있다. 그러나 나와 너는 비록 둘 사이에 경계가 있지만, 두 존재는 똑 같이 서로와 접촉하면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서로로부터 영향을 받는 관계에 있다.

 

나와 너 사이의 경계가 너무 딱딱하고 견고하거나, 경계가 불분명해지거나, 또는 경계가 상호 간에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문제가 생긴다.

 

게슈탈트 치료에서는 이와 같은 경계에서의 문제를 접촉경계혼란> 현상이라고 부른다. 게슈탈트 치료의 창시자인 프릿츠 펄스는 이러한 접촉경계혼란 현상으로서, 내사, 투사, 융합, 반전, 자의식 등을 들었다. 어빙 폴스터는 자의식 대신에 편향을 접촉경계혼란 현상의 하나로 들었다.

 

자의식(Egotism)이라 함은 인간이 자기 자신에 대해 지나치게 의식하고 자신을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자의식은 환경과의 교류와 접촉에 장애를 일으키고, 자기 자신의 자연스러운 활동을 억제하며, 인간은 자기 자신의 내부에 갇히게 된다.

 

자의식이 강한 사람은 자신의 행동을 사전에 관찰하고 통제한다. 다른 사람의 반응을 먼저 지나치게 생각하면서 작은 실수도 하지 않으려고 혼자 걱정하고 행동을 억제한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40)

 

1. This can appear as hypochondria or, at a more ordinary level, an inability to evaluate the meaning or significance of a sensation.

 

이것은 우울증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는 보통 이상의 정도가 되면, 감각이나 지각의 의미나 중요성을 알지 못하는 상태가 될 수도 있다.

 

* hy·po·chon·dria 우울증

* or·di·nary 보통의, 통상의, 정규의, 범상한, 평범한(commonplace)

* sen·sa·tion 감각, 지각(知覺), 마음, 기분, 감동, 흥분

 

<해설> 개인의 알아차림과 접촉의 단계에서 개인은 자신의 욕구나 감정을 신체적인 물리적 감각의 형태로 느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개인의 신체적인 고통이나 욕구 또는 감정 등이 제대로 느껴지지 않는 경우 문제가 된다. 개인의 외부 환경에서,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 자극, 변화 등이 정상적으로 지각되지 않는 것이다.

 

분열적 성격장애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신체적 감각이나 외부 자극을 왜곡시키거나 최소화시킴으로써 자신에게 일어나고 있는 신체감각 또는 환경자극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2. In addition to an overload of sensory data, over-sensitivity can show up in a thinking or emotional sense as well.

 

게다가 지각자료가 과부하되게 만들 뿐 아니라, 과민성은 사고나 정서상의 불안을 보여주기도 한다.

 

* sen·so·ry 지각감각(); 지각 기관의, 감각 중추의

 

(해설) 반전(retroflection)이라 함은, 인간이 다른 사람에게 하고 싶은 것을 그 사람에게 하지 못하고, 자기 자신을 향하여 하는 것을 말한다. 갑이 을에게 화를 내야 하는데, 을에게는 화를 내지 못하고 자기 자신에게 화를 내는 현상을 가르킨다.

 

개인이 자기 자신의 욕구나 감정을 충족시키거나 표현하는 것을 오랫동안 억제하고 표현하지 않으면, 이와 같은 것이 누적되어 반전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반전은 개인의 내적인 욕구나 감정, 충동을 자신의 신체적인 긴장을 통해 억제하고 막는 것을 말한다.

 

3. For example, hypersensitivity to real or perceived criticism, or a belief that one must be perfect or is nothing at all.

 

예를 들면, 실제로 있거나 인식되는 비판에 대한 지나친 과민반응성, 또는 인간은 완벽하여야 한다든가 아니면 아무 것도 아니라는 믿음.

 

* per·ceive 지각(知覺)하다, 감지하다; 을 눈치채다, 인식하다

 

(해설) 교사가 학생에게 잘못을 했을 때, 학생은 당연히 교사에게 화를 내야 한다. 그런데 학생은 교사에게 화를 냈다가는 더 곤란한 일을 당할 수 있기 때문에 교사에게 화를 내지 못하고 학생 자신에게 화를 낸다.

 

이렇게 함으로써 학생은 교사로부터 추가로 받을 불이익이나 처벌, 위험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학생은 이런 상황에서 교사에 대한 공격을 하는 대신, 자기 자신을 스스로 공격함으로써 일종의 가학증적인 쾌감이나 만족감을 얻을 수도 있다.

 

그리고 타인을 공격하는 것에 비하여 자기 자신을 공격하는 것이기 때문에 죄책감이나 도덕적 자책을 피할 수 있다. 이것이 반전의 의미이고 내용이다.

 

4. A person who fears that closeness to another person will involve some threat of loss, rejection, hurt, or abandonment, may solve the problem by either enmeshing with the other (clinging/pursuing) or disengaging (withdrawing/distancing).

 

다른 사람과 친밀하게 지내는 것은 어떠한 손해, 거부, 상처, 포기를 가져오게 할 것이라고 두려워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곤란하게 하거나(달라붙거나 따라다님) 결별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풀려고 할 것이다.

 

* in·volve 말아 넣다, 싸다, 감싸다; 나사 모양으로 말다감다, 연좌연루시키다in; 관련관계시키다, 말려들게 하다, 휩쓸리게 하다in; with; 에 영향을 끼치다

* abán·don·ment 포기; 유기; 자포자기, 방종

* en·mesh 그물로 잡다, 망에 걸리게 하다; (곤란 따위에) 빠뜨리다in

~·ment n. ?

* cling 착 들러달라붙다, 고착밀착하다to, 집착애착하다, 고수하다

* pur·sue 뒤쫓다, 추적하다, 추구하다, (아무에게) 귀찮게 따라다니다, (아무를) 끊임없이 괴롭히다

pursuit n.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38)

 

게슈탈트 치료에 있어서 편향은 매우 중요하다. 인간은 어떠한 어려운 문제에 부딛혔을 때 이를 정면으로 직면하지 않고 이를 회피하는 것을 말한다.

 

인간은 환경과 접촉하면서 개인이 감당하기 어려운 결과가 생길 것이라고 예상되면, 위험과 고통, 좌절 등을 미리 피하기 위하여, 그와 같은 환경과의 접촉을 아예 차단해 버리거나 개인의 감각들 둔화시켜 버리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편향적 태도가 계속되면, 인간은 타인이나 환경으로부터 고립되고, 타인과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1. deflection is ignoring or turning away either an internal or external emotional trigger in order to prevent full recognition or awareness of associated material…e.g., painful memories.

 

편향(偏向)은 예를 들면 고통스러운 기억들과 같은 일련의 일을 완전하게 지각하거나 알아차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내적 또는 외적인 감정의 자극을 무시하거나 돌려버리는 것을 의미한다.

 

(1) de·fléc·tion 비낌, 기울어 짐, 편향, 편각, 편차, 휨, 빛의 굴절.

(2) as·só·ci·àt·ed 연합〔관련〕된; 조합의; 연상의

 

2. Characterized in Gestalt Psychology either by blocking the trigger itself or by turning oneself away and going off on a tangent.

 

게슈탈트 심리학에서는 자극 자체를 억압하거나 자극으로부터 피함으로써 다른 곳으로 돌리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3) trig·ger 방아쇠; 계기, 유인, 자극.

(4) tan·gent (한 점에서) 접촉하는《to》; 〖數〗 접선의, 접하는; 정접(正接)하는; 본래의 목적〔방침〕에서 벗어난

 

3. Persons often deflect from their feelings and impulses by endless talking…by laughing instead of taking themselves seriously…or by always focusing on the needs of the other.

 

사람들은 가끔 쉬지 않고 말을 하든가, 그것들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대신에 웃는다든가, 다른 사람의 욕구에 초점을 맞추는 방법으로 자기 자신의 감정과 자극으로부터 피하려고 한다.

 

4. Other examples of deflection include:

Changing the subject repeatedly when a particular issue is raised

Appearing not to hear or see something

Misunderstanding or redefining what has been said or done

overly-receptive people are bombarded by a myriad of stimuli…receiving too much input, in contrast to the deflector, this person has a tendency to pay too much attention to those stimuli.

 

편향이 보여주는 다른 예:

특정한 이슈가 제기되었을 때 주제를 계속해서 바꾸는 것,

어떠한 것을 듣거나 보지 않으려는 태도

말해진 것이나 행해진 것을 오해하거나 반복하는 것

지나치게 예민한 사람들은 너무 많은 자극을 받게 되고, 너무 많은 것을 받아들이게 된다. 편향을 시키는 것에 비해서 이러한 사람은 그러한 자극들에 대해 너무 많은 관심을 보이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5)rè·defíne 재정의하다, 재조사〔재평가〕하다.

(6) óver·ly 과도하게, 지나치게; 《Sc.》 경솔〔천박〕하게.

(7) re·cep·tive 잘 받아들이는, 감수성이 예민한, 이해력이 빠른.

re·cep·tiv·i·ty [rìːseptívǝti, risèp-] n. ? 수용성, 감수성(이 예민함), 이해력.

(8) bom·bard 포격〔폭격〕하다. 공격하다, 몰아세우다,

(9) myr·i·ad 무수; 무수한 사람〔물건〕

 

5. He or she finds it difficult to ignore them or to selectively choose what is relevant that any one time leaving them “flooded” with thoughts and feelings. Emotional regulation problems are often a result.

 

그러한 사람은 그러한 자극들을 무시하거나 필요한 것을 선택적으로 취하지 못함으로써 한번에 많은 생각과 감정을 넘치게 방치하게 된다. 감정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37)

 

1. Here-and-Now Focus The focus is on what is happening “Now”Gestalt Psychology points out that the present moment is a continuous transition from past to future and the Now is fleeting.

 

지금 여기에의 초점 초점은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는 것에 맞추어진다. 게슈탈트 심리학은 지금 현재의 순간은 과거로부터 미래로 끊임 없이 옮겨가는 과정이며, 현재는 빨리 지나가는 것이라고 본다.

 

* fléet·ing 질주하는, 빨리 지나가는, 쏜살 같은, 덧없는, 무상한(transient)

 

인간에게는 일정한 시간과 공간이 제공된다. 몇 십년의 시간이 주어지고, 그러한 시간을 실존이 보내는 일정한, 제한된 공간이 마련되어진다.

 

만일 실존에게 이러한 일정한 시간과 공간이 허용되지 않는다면, 그에게는 생명이 부정되고, 생활은 찾아볼 수 없게 된다.

 

2. Training our conscious awareness to focus on what is happening “right now” is the best way to fully experience contact.

 

지금 바로 일어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의식적으로 알아차리는 것을 훈련하는 것은 경험을 충분하게 접촉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된다.

 

시간은 과거 현재 미래로 구분된다. 과거는 이미 지나간 것으로서 다시 되돌릴 수 없다. 과거에 있었던 일은 이미 시위를 떠난 화살 같아서 1%라도 변경할 수 없다. 미래는 실존이 예측하거나 예견할 수 있을 뿐, 모든 것은 불확실하다. 그 어떤 것도 미래의 일은 확실한 것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인간이 과거에 억매여서 과거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그는 성장할 수 없다. 미래의 일은 불확실하기 때문에 개체의 불안감으로 연결될 소지가 있다. 그러나 불안하다고 해서 공포에 떨거나 불안감에 휩쌓여 있는 것만으로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오히려 해결에 방해가 된다.

 

3. ”What am I experiencing nowwhat am I thinking about and how does it make me feelwhat do I want right now and what is stopping me from getting thathow does this relate to the context I’m inand what is it doing for me?”

 

나는 지금 무엇을 경험하고 있는가, 나는 지금 무엇을 생각하고 있으며, 그것으로 인해 내는 무엇을 느끼고 있는가, 나는 지금 무엇을 하고 싶으며, 무엇이 내가 그것을 하는 것을 방해하고 있는가, 이것은 나에게 있어서 어떠한 관련이 있으며, 그것은 나를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 con·text (글의) 전후 관계, 문맥; (사건 등에 대한) 경위, 배경; 상황, 사정,

 

중요한 것은 인간에 있어서 지금 현재, 바로 여기에서 실존에게 일어나는 일이며 문제이다.

 

인간은 지금 현재의 시간과 현재의 환경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을 정확하게 깨닫고 지각하여야 한다.

 

4. Perhaps “right now” I am thinking of something or someone in my past or a future event over which I am worried.

 

아마도 지금 여기에서 나는 나의 과거에 있었던 어떠한 일 또는 어떠한 사람에 대해 생각하고 있거나 또는 내가 걱정하고 있는 미래의 어떠한 사건에 대해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인간이 지각하여야 하는 것은 나와 너의 관계에서 상대인 너에 대해 정신과 육체, 생각과 욕구, 감정과 행동, 숨겨진 너의 모습까지 모든 것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파악하여야 한다.

 

5. If so, that would be the topic of conversation between the therapist and the client but only in an effort to become aware of how that past or future event is affecting the “Now” of experience.

 

만일 그렇다면, 그것은 치료자와 내담자 사이의 대화의 주제가 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과거나 미래의 일들이 현재의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를 깨닫도록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서만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나 자신의 내면에 들어있는 욕구와 감정, 생각과 행동양식까지 역시 통합적으로 지각하여야 한다.

 

인간은 그때그때 외부 환경과 접촉하면서 자신에게 지금 이곳에서 당장 필요하고 유익한 게슈탈트를 형성하고 자신의 책임 하에 에너지를 동원하여 그러한 형태화된 욕구를 해결하여야 함으로써 미해결과제를 남겨놓지 말아야 한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36)

 

1. Gestalt Psychology vs Gestalt Therapy /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Gestalt Psychology and Gestalt Therapy?

 

게슈탈트 심리학 대 게슈탈트 심리치료 / 양자의 차이는 무엇인가?

 

2. Gestalt Psychology suggests a person gets stuck in fixed patterns and beliefs about themselves that get in the way.

 

게슈탈트 심리학은 자기 자신이 계속해서 유지하는 특정한 관념과 믿음에 고착되어 있는 사람을 상정하고 있다.

 

stuck ?????의 과거·과거분사.

in out of~ 곤경에 빠져을 벗어나.

 

3. Gestalt Therapy aims to uncover these patternsor neural networksand how they are holding the person back.

 

게슈탈트 치료는 이와 같은 관념의 형태 또는 신경층의 작동체계를 확인하고, 이러한 것들이 내담자를 어떻게 억압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간은 외부 환경과 접촉하면서, 환경의 개별적인 부분 부분의 요소를 따로 떼어서 보는 것이 아니다. 인간은 외부 환경을 <하나의 의미 있는 전체>로 본다.

 

인간은 외부 환경을 카메라 렌즈를 통해 보는 것처럼 그냥 기계적으로 아무런 장치 없이 보고 투시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개인적인 욕구나 관심에 따라 이를 조직화하고 능동적으로 편집하면서 지각하는 것이다.

 

4. Awareness Awareness is the primary goal of Gestalt Psychology. It is believed that awareness leads to insight and insight results in change or adjustments.

 

알아차림 알아차림은 게슈탈트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목표다. 알아차림은 개인으로 하여금 통찰력을 가지게 하고, 이러한 통찰력은 변화와 조정을 가져온다고 생각된다.

 

* in·sight 통찰, 간파; 통찰력into

 

5. There are three Zones of Awareness according to Gestalt Psychologythe Outer Zone, Middle Zone, and the Inner Zone.

 

게슈탈트 심리학에 의하면, 알아차림에는 세 개의 구역이 있다. 외부층, 중간층, 내부층의 세 가지 층이다.

 

6. We can get stuck in any one of these zones. It’s best to be able to move choicefully from one zone to another in order to develop self-awareness.

 

우리는 이러한 세가지 층 가운에 어느 하나의 층에 들어갈 수 있다. 자기 스스로 알아차리고 깨닫기 위해서는 하나의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선택해서 옮겨가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35)

 

게슈탈트 치료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인간이 지금 여기에 살면서 불필요한 생각이나 공상, 망상에서 벗어나고,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표현하고, 슬픔이나 고통도 피하지 않고 당당하게 직면하며, 자기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며, 타인에게 의지하지 않고, 온전한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이다.

 

1. Behaviorism merely seeks to alter a surface behavior and doesn’t consider the thoughts or motivations behind an action.

 

행동주의는 단지 표면적인 행동을 바꾸려는데 그치고, 행동의 배후에 있는 생각이나 동기를 고려하지 않는다.

 

* mò·ti·vá·tion 자극, 유도, 동기 부여, 하고 싶은 기분, 열의, 욕구

* mere·ly 단지, 그저, 다만, 전혀

 

이에 비해 실존주의는 있는 것(what is)’에 대한 실존적이며 현상학적인 태도를 말한다.

 

게슈탈트 치료는 이러한 실존철학에 기초하고 있으며, 지금 여기에서 개별적인 실존에 일어나고 있는 체험에 집중한다. 과거의 일이나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해서는 이차적인 관심을 갖는다.

 

2. It has sometimes been said that “behave is what organisms do.” Behaviorism is built on this assumption, and its goal is to promote the scientific study of behavior.

 

행동은 유기체가 하는 것이다라고 가끔 말하여진다. 행동주의는 이러한 가정 위에 서있고, 그 목표는 행동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를 증진시키는 것이다.

 

* be·have 행동하다

* as·sump·tion 인수, 수락, 취임, 가정, 억측

* or·gan·ism 유기체, 생물

 

3. The behavior, in particular, of individual organisms. Not of social groups. Not of cultures. But of persons and animals.

 

특별히 행동은 개별적인 유기체의 것으로서, 사회적 집단이나, 문화에 속하는 것이 아니고, 사람이나 동물에 의한 것을 말한다.

 

* par·tic·u·lar 특별한, 특유의, 특수한

 

4. Gestalt psychology deems an action as only part of the wholethat certain factors were necessary in order to produce the visible result.

 

게슈탈트 심리학은 행동을 전체로서의 하나의 일부로 본다. 어떠한 요소들은 가시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5. Gestalt therapy aims to help patients gain awareness of certain behaviors in order to change them and their outlook on life, whereas behaviorism focuses on observable behavior and changing that alone (Corey, 2009).

 

게슈탈트 치료는 내담자들이 그들 자신과 그들이 삶을 보는 관점을 바꾸기 위한 특정한 행동에 대한 자각을 얻는 것을 도와준다. 반면에 행동주의는 행동을 관찰고 그것만을 변화시키는데 초점을 둔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34)

 

1. Simply put, gestalt is the idea that a whole is comprised of parts, and all those parts are necessary to achieve the whole.

 

간단히 말하면, 게슈탈트는 전체는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모든 부분들은 전체를 완성하는데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 idea 생각, 관념, 심상(心像), 개념

* achieve 이루다, 달성성취하다, 완수하다

* com·prise 함유하다, 포함하다, 의미하다, 이루어져 있다, 구성하다

 

인간은 외부자극을 자신의 욕구나 관심에 따라 능동적으로 조직화한 다음 지각한다. 이와 같이 인간이 자신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의미 있는> <형태>로 조직화하여 지각한 것을 유식한 말로, 독일어로 게슈탈트(gestalt)라고 한다.

 

게슈탈트란 형태, 모양, 전체, 구조를 가진 개체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독일어다.

 

게슈탈트라 함은 인간에 의해 지각된 개인의 행동의 동기를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인간이 자신의 유기체적 욕구나 감정을 하나의 의미 있는 행동동기로 조직화하여 지각한 것을 가르킨다.

 

2.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whole form cannot be achieved by simply describing the individual parts it holds (keithyates.com, 2001).

 

간단히 말하면, 게슈탈트는 전체는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모든 부분들은 전체를 완성하는데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형태의 효과는 그것을 구성하는 개별적인 부분들을 단순하게 기술하는 것만으로는 얻어질 수 없는 것이다.

 

인간은 <실존 환경>이라는 장(field)의 관계성 안에서 존재한다. 인간은 이러한 환경과의 관계성을 떠나서 고립된 상태에서는 존재할 수 없다.

 

인간의 욕구와 감정, 생각과 행동도 인간이 속해 있는 장()과의 전체적인 관련성 아래에서 받아들이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장에 있는 모든 요소와 요인들은 언제나 상호간에 작용하고 영향을 주고 받는다.

 

3. But he explains gestalts as “patterns or higher order features that emerge when two or more perceptual elements are placed in close spatial or temporal proximity to one another, patternsthat do not arise when only a single element is present” (Pomeranz, 2006, p. 620).

 

그러나 그는 게슈탈트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하나의 요소만 있을 때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두개 또는 둘 이상의 요소들이 상호간에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근접해 있을 때 나타나는 형태나 보다 정돈된 모습이 게슈탈트라고 설명하는 것이다.

 

* prox·im·i·ty 근접, 가까움

* tem·po·ral 시간의, 일시적인(temporary), 잠시의

* spa·tial 공간의, 장소의

* per·cep·tu·al 지각의, 지각 있는

 

인간이라는 실존에 있어서는, 신체와 감각, 욕구와 감정, 사고와 감정 등은 서로 분리된 개별적인 현상이 아니다. 이들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의미 있는 전체를 형성하고 있다. 인간의 행동은 이러한 부분들을 기계적으로 합친 단순한 집합이 아니라, 이들 전체를 통합하는 의미 있는 전체라고 파악한다.

 

환경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개체를 환경과 분리된 존재가 아니라 개체와 환경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장의 부분으로 보아야 한다. 개체의 행동은 전체 장의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나와 너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나와 네가 아무런 관계가 없는 두 개의 실존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나와 네를 포함하는 하나의 장(field) 안에서 두 실존이 의미 있는 전체를 지금 여기에서 새롭게 구성하고, 두 실존이 상호 간에 긴밀한 하나의 전체의 각 부분으로서 서로 간에 영향을 미치고 영향을 받는 관계성을 가진다.

 

신체와 감각, 욕구와 감정, 사고와 감정 등이 서로 분리된 개별적인 현상이 아니라는 사실, 이들은 긴밀하게 하나의 장 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 행동은 이들을 통합한 의미 있는 전체라는 사실은 우리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남녀가 성관계를 할 때를 생각해 보다. 이때 단순히 육체적인 결합현상이 아니다. 성관계는 신체의 감각과 신경계통의 작동, 성욕과 섹스에 대한 기대와 흥분, 상대방에 대한 생각과 좋은 감정, 섹스의 의미 및 결과, 영향 등에 대하여 모든 것을 통합하고, 종합하여 이루어지는 하나의 <의미 있는 전체>가 되는 것이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28)

 

 

1. This distinction between direct experience versus indirect or secondary interpretation is developed in the process of therapy. The client learns to become aware of what he or she is doing and that triggers the ability to risk a shift or change.

 

* distinction 구별, 차별, 대조, 다름, 차이

* trigger 방아쇠, 계기, 유인, 자극, 발사하다, 일으키다, 유발하다

 

직접적인 체험과 간접적 또는 이차적인 해석의 차이점은 치료과정에서 개발되었다. 내담자는 자신히 현재 하고 있는 일에 대해 충분히 깨닫게 되며, 변화와 개선을 감수하는 능력을 개발하게 된다.

 

이상 심리치료의 가장 기본적인 목적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먼저 개인의 욕구와 감정이 무엇인지 당사자 본인으로 하여금 알아차리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그와 같이 개인이 알아차린, 깨달은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외부 환경과의 접촉을 통해 해소 내지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이때 외부 환경은 주로 그 개인의 상대방을 뜻한다. 대부분의 심리적 이상증세 내지 문제는 인간 대 인간의 관계에서 일어난다.

 

, 일 대 일의 인간관계에서 모든 문제가 발생하고, 더 나아가서 한 사람 대 여러 사람, 즉 다수의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왕따나 대인기피증 같은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그 다음 자연환경이나 사회환경과 같은 환경과의 관계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2. The objective of Gestalt therapy is to enable the client to become more fully and creatively alive and to become free from the blocks and unfinished business that may diminish satisfaction, fulfillment, and growth, and to experiment with new ways of being.

 

게슈탈트 치료의 목표는 내담자로 하여금 충분하고 창조적인 삶을 살아가게 만들고, 개인의 만족, 충만한, 성장을 감소시키는 매해결과제와 장애물을 제거하게 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새로운 삶의 방식을 시도하게끔 만드는 것이다.

 

개인의 알아차림 현상은 자신의 미해결과제가 무엇인가를 깨닫게 하고, 현재 자신의 욕구와 감정의 정확한 실체를 깨닫도록 해준다. 그리고 개인의 타인과의 접촉 또는 환경과의 접촉은 이들과의 만남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욕구와 감정을 해소시켜주며 동시에 이들을 창조적인 활동에너지로 변화시켜주는 행위를 말한다.

 

3. Presence is the therapist bringing all of himself to the encounter in the here and now. Confirmation involves seeing and accepting patients for all they are and all they are capable of being.

 

치료자가 내담자와 함께 하는 것은 치료자로 하여금 지금 여기에 자신을 몰입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확인하는 것은 내담자들의 현재의 상황과 그들이 현재 할 수 있는 능력의 범위를 그대로 보고,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을 뜻한다

 

치료자와 내담자는 같이 만나서 대화를 통해서 <지금 여기에서> 내담자와 치료자에게 나타나고 있는 현재의 상황과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소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내담자의 있는 그대로의 현재의 모습, 현재의 상황을 파악하고, 서로 공유하는 것이다 .그리고 내담자가 현재 할 수 있는 능력, 역량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는 것이다. .

 

4. The IThou mode of relating has the qualities of immediacy, directness, presence, and mutuality. These qualities create a therapeutic relationship that is not hierarchical and a meeting between patient and therapist that is in and of itself healing.

 

* hierarchical 권력을 가진 계급 조직의

 

<나와 너>의 관계의 방식은 친밀감과 직접적인 관계, 같이 있는 것, 상호 의존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성격은 위계질서적이거나 수직적인 치료관계를 의미하지 않고, 치료 자체를 위해 그 과정에 있는 내담좌와 치료자 사이의 만남을 의미한다.

 

치료자와 내담자는 <나와 너의 관계>로서 서로 친밀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서로 소통하고 서로 의존관계를 형성하여야 한다. 치료자는 자신이 전문가라는 고압적인 자세에서 벗어나야 한다. 내담자와 대등한 관계임을 알려주고, 스스로 그러한 마음가짐을 가지고 대해야 한다.

 

게슈탈트 치료기법은 우리들이 일상의 생활을 할 때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부부관계에서 이러한 기법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유용할 것이다.

 

남편은 아내를 대할 때, 수평적 관계에서 어떠한 선입관을 가지지 말고, 아내의 현재의 모습, 아내가 가지고 있는 현재의 욕구는 무엇이고, 아내는 어떠한 감장을 느끼고 있는가?

 

아내는 어떠한 생각을 하고 있고, 어떠한 행동을 하고 있는가? 무엇을 두려워하고, 무엇을 불안해하며, 미래에 대해 어떠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가?

 

그리고 아내에게 미해결과제는 무엇이 남아있고, 그러한 미해결과제를 어떻게 하면 현재화기법으로 현재의 상황으로 끌어들여 해결할 수 있을까?

 

두 사람 사이에는 어떻게 신뢰를 형성하며, 어떻게 하면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두 사람이 공동으로 협력하여 창조적인 삶을 살아가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까?

 

이런 관점에서 남편이 아내를 대하고, 아내와 대화하면서 공동으로 노력하면 원만한 부부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