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50)

 

1. Eating may be partially for the sake of filling the stomach, and partially for the sake of comfort and amelioration of other needs.

 

먹는 행위는 위를 채우는 것뿐 아니라, 안락함과 다른 욕구의 향상을 위한 목적을 가질 수도 있다.

 

amèl·io·rá·tion n.

개선, 개량; 개정, 수정; (어의의) 향상.

 

2. One may make love not only for pure sexual release, but also to convince one's self of one's masculinity, or to make a conquest, to feel powerful, or to win more basic affection.

 

사람은 순수하게 성적 배출을 위해 성관계를 하기도 하지만, 또한 자신의 남성다움을 확인하거나, 정복하거나, 파워가 있음을 느끼거나, 또는 보다 기본적인 애정을 얻기 위한 목적도 가지고 있다.

 

mas·cu·lin·i·ty [mæ̀skjǝlínǝti] n.

남자다움, 남성미, 어기참.

 

3. As an illustration, I may point out that it would be possible (theoretically if not practically) to analyze a single act of an individual and see in it the expression of his physiological needs, his safety needs, his love needs, his esteem needs and self-actualization.

 

개인의 하나의 행위를 분석해볼 때, 그 안에는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애정 욕구, 존중의 욕구 및 자기실현욕구가 모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phys·i·o·log·ic, -i·cal [fìziǝlάdʒik/-lɔ́dʒ-], [-əl] ɑ.

생리학(), 생리적인.

 

<해설>

1. 행동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들

Multiple determinants of behavior. -- Not all behavior is determined by the basic needs. We might even say that not all behavior is motivated. There are many determinants of behavior other than motives.

 

2. 장의 요소들로 행동은 결정된다.

For instance, one other important class of determinants is the so-called 'field' determinants. Theoretically, at least, behavior may be determined completely by the field, or even by specific isolated external stimuli, as in association of ideas, or certain conditioned reflexes.

 

3. 행동은 개인의 성격을 표현한다.

An expressive behavior does not try to do anything; it is simply a reflection of the personality. A stupid man behaves stupidly, not because he wants to, or tries to, or is motivated to, but simply because he is what he is.

 

 

음악치료를 통해 우울증을 치료한다

 

1. Depression is a common problem that causes changes in mood and loss of interest and pleasure.

 

우울증은 감정의 변화를 가져오고 흥미와 재미를 상실시키는 일반적인 문제이다.

 

2. Music therapy, an intervention that involves regular meetings with a qualified music therapist, may help improve mood through emotional expression.

 

음악치료는 자격이 있는 음악치료사와 정기적인 만남을 통해서 감정표현을 통해서 기분을 좋게 만드는 것을 도와준다.

 

3. Music therapy seems to reduce depressive symptoms and anxiety, and helps to improve functioning (e.g., maintaining involvement in jobs,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음악치료는 우울증세와 불안증세를 경감시켜준다. 그러면서 개인의 기능, 직업에 집중하거나 활동 또는 관계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카페에서 강제탈퇴 당하는 경우

 

카페에는 많은 회원들이 들어왔다가 나간다.

가입과 탈퇴가 자유롭다.

 

어떤 카페에는 사람들이 많고,

어떤 카페에는 사람들이 적다.

 

중요한 것은 회원들이 서로 뜻이 맞아야 한다는 것이다.

카페는 서로 친하게, 재미 있게, 세상을 살려고하는 공간이지,

정파싸움을 하는 장소가 아니다.

 

서로 미워하면서, 서로 싸워가면서, 서로 분쟁을 일으키면서

서로 참고 견뎌야 하는 곳이 아니다.

 

회원들이 서로 분쟁이 일어나면

법원에 가서 재판을 받을 수 있는 게 아니다.

 

카페에는 카페를 관리하는 카페지기가 있다.

그리고 내부적으로 정한 카페의 대표가 있다.

 

카페의 방향을 정하거나, 운영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전적으로 카페의 대표의 권한이다.

 

회원들이 카페의 대표들과 싸워가면서

같은 카페에서 활동하겠다는 것은 무리다.

 

카페를 관리하고, 보호하고, 분위기를 쇄신하기 위해

카페의 대표들이 결정해서 일부 회원들을

카페에서 강제로 탈퇴시켰다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탈퇴사유는 카페와 맞지 않는다는 판단이다.

같이 있으면 서로에게 피곤하고

굳이 같은 카페에서 매일 서로 마주치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다.

 

그런데도 굳이 다시 들어와서

같이 카페활동을 하자고 하는 것은 무엇때문일까?

 

본인의 의사에 반해 강제로 탈퇴당했다는 것 때문일지 모른다.

그러나 카페는 원래 가입할 때도 카페지기의 승인이나 동의가 필요한 것이다.

 

때문에 강제로 탈퇴시킬 권한도 카페지기에게 있다.

탈퇴 당한 사람들은 다른 카페에 가입하거나,

그 사람들이 뭉쳐서 새로운 카페를 만들면 된다.

 

아니면, 카페의 대표에게 이야기하여

상호 간에 오해를 풀고 다시 가입하면 된다.

 

그런데 그렇지 않고

마치 주식회사의 주주의 주식을 강제로 빼앗은 것처럼,

아니면 공무원을 징계할 때 엄격한 적법적차를 거쳐야 하는 것처럼 생각하는 것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

 

인터넷상에 페이스북에 친구로 지내다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자신의 페북친구들 동시에 수백명씩 친구끊기를 하거나 차단한다.

 

나도 지금까지 수많은 인터넷카페에 가입했다.

좋은 글을 보기 위해서, 또는 좋은 음악을 듣기 위해 가입한다.

그러나 대부분은 가입만 해놓고 두 번 다시 가지 않는 카페들이 수두룩하다.

 

나중에는 내가 어떤 카페에 가입했는지도 잊어버린다.

그러한 카페지기들은 나를 강제로 탈퇴시키기도 하고, 그냥 회원수 많게 하기 위해 놔두기도 한다.

 

이런 것을 보면 바쁜 세상에

굳이 카페의 회원 여부가 중요하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앞으로 우리 카페에는

이런 문제가 생기기 않도록

카페 회원 가입 시 승인 여부를 철저하게 검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조금이라도 이상한 행동을 하거나

다른 회원에게 기분 나쁜 언행을 하면

즉시 강제탈퇴를 시키는 것이 어떨까 싶다.

 

우리 카페의 신임 대표님께 간곡하게 건의하는 바이다.

 

 

 

 

 

심리카페에서 얻을 수 있는 것

 

처음에 심리카페를 만들었을 때는 아주 소박한 생각을 했다. 나는 심리학을 전혀 몰랐다. 작년까지만 해도 심리학 책을 한권도 제대로 읽지 않았다.

 

물론 그 전에 프로이트가 쓴 꿈의 해석은 조금 읽었지만, 내용 자체가 별로 재미가 없어, 책만 사놓고 10분의 1 정도 읽고 말았다.

 

사회복지사 시험 준비를 할 때 심리학에 대한 약간의 글을 읽었지만 매우 피상적이고 얕은 지식이었다.

 

독일에서 심리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최범식 박사님을 만나서 나는 비로소 심리학에 눈을 떴다.

 

최박사님이 직접 저술하신 몇 권의 심리학 서적, 심리치료에 관한 책을 읽으면서 본격적으로 심리학 공부를 하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그래서 몇 권의 심리학 서적을 샀다. 게슈탈트 심리치료에 관해 공부하기 시작했다.

 

나는 심리카페를 만들어서 가장 보람을 느끼는 것은 심리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을 만나게 된 것이다. 그리고 내가 조금씩 심리학 공부를 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앞으로 우리 회원님들도 나와 같이 심리학공부, 비록 아마추어수준이지만, 심리상담, 심리치료 등에 대해 토의하고, 연구하고, 고민하는 파트너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음악치료의 기본 목적

 

1. The main goal of music therapy is not musical, for example, to improve fine motor skills, speech or communication skills.

 

음악치료의 기본 목표는 음악적인 것이 아니다. 그것은 예를 들면, 운동신경의 발달시키고, 언어능력 또는 소통의 기술을 개발하는 데 있다.

 

2. Musical experiences are used to achieve non-musical goals. For example, motivating people to use their fingers or to respond to music emotionally and physically.

 

음악적 경험은 비음악적 목표를 달성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사람들의 손가락을 사용하도록 하든가, 음악에 정서적 또는 신체적으로 반응하도록 하는 것이다.

 

3. The added benefits of music therapy are musical, and often include opportunities for musical participation.

 

음악치료에 부가된 효과는 음악적이며, 때로는 음악적 활동에 참여하는 기회를 포함한다.

 

4. The main goal of music lessons is music focused. For example, to learn how to play a musical instrument, sing or read music.

 

음악 학습의 기본 목표는 음악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예를 들면, 악기를 연주하는 것, 노해하는 것, 악보를 읽는 것 등을 배운다.

 

5. The added benefits of music lessons are not musical, and may include improved confidence, focus and fine motor skills.

 

음악학습의 부가된 효과는 비음악적이다. 그것은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집중하고 운동신경을 발달시킨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49)

 

세상은 매우 불합리해 보이지만, 그 나름대로 확실한 질서와 체계가 있다. 실존철학에서는 실존의 불합리성을 인정하지만, 그래도 실존은 살 가치가 있다고 전제한다.

 

우리는 세상의 원리와 진리를 찾으려고 노력하지만, 그것은 쉽지 않다. 영원한 실패의 반복일 뿐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묵묵히, 꾸준히, 절대로 쉬지 않고, 진리를 찾아 헤맨다. 방황하지만 그래도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시지프스의 신화처럼 우리의 노력은 끝내 실패로 돌아갈지 모른다. 시지프스가 애써 밀어서 올린 커다란 바위는 다시 아래로 떨어져 원위치될 것이다.

 

그래도 우리는 삶의 과정 자체가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한다. 그리고 노력하는 것의 의미를 깨닫는다. 결과의 무의미성, 뻔히 보이는 실패, 무가치, 무성과에 대해 애써 외면한다. 그것이 인생이다. 반복되는 권태로운 수고와 노동을 수반하는 것이 우리 인생의 본질이다.

 

1. With the exception of professional rationalists, today people despair of true knowledge. If the only significant history of human thought were to be written, it would have to be the history of its successive regrets and its impotences.

 

전문적인 합리주의자의 예외는 있지만, 오늘날 사람들은 진정한 지식을 추구하는 것을 포기하고 있다. 만일 인간의 사상의 중요한 역사가 기록될 수 있다면, 아마도 그것은 계속되는 후회와 무기력일 것이다 .

 

im·po·tence, -ten·cy [ímpǝtəns], [-i] n.

? 무력, 무기력, 허약; 음위(陰痿); (가축의) 발기교미불능증.

ra·tion·al·is·tic [ræ̀ʃǝnlístik] ɑ.

순리합리적인; 이성주의(); 이성론자의.

-ti·cal·ly [-tikǝli] ɑd.

de·spair [dispέǝr] n.

① ? 절망; 자포자기.

+?+?》 절망하다, 단념하다of

┈┈• ~ of succeeding 성공할 가망이 없다

abandon oneself give oneself upto ~ 자포자기하다.

 

2. Of whom and of what indeed can I say: "I know that!" This heart within me I can feel, and I judge that it exists. This world I can touch, and I likewise judge that it exists.

 

누구에 대하여, 무엇에 대하여 나는 그것을 안다라고 말할 수 있을까? 나는 내 안에 심장이 있음을 느낄 수 있고, 심장이 존재한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나는 이 세상을 만질 수 있고, 나는 똑같이 그것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3. There ends all my knowledge, and the rest is construction. For if I try to seize this self of which I feel sure, if I try to define and to summarize it, it is nothing but water slipping through my fingers.

 

나의 모든 지식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나머지는 구성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만일 내가 내가 확실하게 느끼는 그 자체를 잡으려고 할 때, 그것을 정의내리고 요약하려고 할 때, 그것은 내 손가락을 통해 빠져나가는 물에 불과하다.

 

<해설>

1. Socrates' "Know thyself" has as much value as the "Be virtuous" of our confessionals. They reveal a nostalgia at the same time as an ignorance.

 

소크라테스가 말한, “너 자신을 알라는 것은 우리가 고백하는 것에 대해 도덕적이어야 한다는 것과 같은 가치를 가진다. 그것은 무지와 동시에 향수를 보여주는 것이다.

 

nos·tal·gia [nɑstǽldʒiǝ/nɔs-] n.

? 향수, 노스탤지어, 향수병(homesickness); 과거에의 동경, 회고의 정for.

con·fes·sion·al [kǝnféʃǝnəl] ɑ.

자백에 의한; 참회고해, 신앙 고백의.

① 〖가톨릭고해실, 고해 청문석; (the ~) 참회의 제도.

*vir·tu·ous [və́ːrtʃuǝs] ɑ.

덕이 높은, 덕행이 있는, 고결한

③ 《효력이 있는, 효험이 있는.

 

2. I can sketch one by one all the aspects it is able to assume, all those likewise that have been attributed to it, this up bringing, this origin, this ardor or these silences, this nobility or this vileness.

 

3. 나 자신의 것인 심장은 영원히 정의를 내릴 수 없는 상태로 남아있다(But aspects cannot be added up. This very heart which is mine will forever remain indefinable to me).

 

4. 나의 존재에 대해 내가 가지는 확실성과 그것에 대한 확신을 가지는 내용 사이에는 결코 채워질 수 없는 간극이 존재한다(Between the certainty I have of my existence and the content I try to give to that assurance, the gap will never be filled).

 

5. 나는 나 자신에 대해 영원한 이방인이 된다 심리학적으로나 논리적으로 진리가 아닌 진리 이외의 진리는 없다(Forever I shall be a stranger to myself. In psychology as in logic, there are truths but no truth).

 

I said that the world is absurd, but I was too hasty. This world in itself is not reasonable, that is all that can be said.

 

But what is absurd is the confrontation of this irrational and the wild longing for clarity whose call echoes in the human heart.

 

The absurd depends as much on man as on the world. For the moment it is all that links them together. It binds them one to the other as only hatred can weld two creatures together.

 

This is all I can discern clearly in this measureless universe where my adventure takes place.

 

Let us pause here. If I hold to be true that absurdity that determines my relationship with life, if I become thoroughly imbued with that sentiment that seizes me in face of the world's scenes, with that lucidity imposed on me by the pursuit of a science, I must sacrifice everything to these certainties and I must see them squarely to be able to maintain them.

 

Above all, I must adapt my behavior to them and pursue them in all their consequences. I am speaking here of decency.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카페에서 얻을 수 있는 것  (0) 2021.02.09
음악치료의 기본 목적  (0) 2021.02.09
우리 ‘심리카페’의 의미  (0) 2021.02.08
미술치료의 효과  (0) 2021.02.08
음악치료의 효과  (0) 2021.02.08

우리 심리카페의 의미

 

심리카페를 시작한 지 벌써 9개월째가 된다. 적지 않은 시간이다. 회원수도 260명이나 된다.

 

그동안 카페는 무엇을 해왔는지 되돌아본다. ‘심리카페는 그야말로 심리학’ ‘심리상담’ ‘심리치료에 관심을 가지고 출발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인간의 심리를 모르면 곤란하기 때문이다.

 

카페에서는 인간심리를 중심으로 여러 분야의 심리학, 심리상담 등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일반심리학, 심리상담, 심리치료 등을 비롯해서,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문학치료 등을 공부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회원 상호 간에 친목을 도모하면서, 삭막한 세상에서 서로 돕고 의지하면서, 서로 격려하면서 살아가는 작은 인터넷 공동체, 오프라인 공동체를 만들려고 노력해왔다.

 

이제 약 30여명의 멤버들이 모였고, 많이 친해졌다. 앞으로 회원으로 가입만 해놓고 별로 소통이 없는 분들은 가급적 정리를 하려고 한다.

 

실질적으로 알짜배기 회원들이 중심이 되어 심리학도 공부하고, 회원공동체를 만들어서 재미 있는 생활을 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치료의 기본 목적  (0) 2021.02.09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49)  (0) 2021.02.09
미술치료의 효과  (0) 2021.02.08
음악치료의 효과  (0) 2021.02.08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48)  (0) 2021.02.08

미술치료의 효과

 

1. 미술치료는 창의성에 기초해서 불안과 스트레스, 흥분 등을 치료한다.

 

2. 그림을 그리는 것으로 명상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Explore the drawing of mandalas or gazing at them as a meditation to become connected to the infinite nature both within and without.

 

3. 자신의 창의성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This is a gentle, intuitive process that frees up your creativity and allows you to experience a relationship with your creation and yourself.

 

4. 개인의 창의성을 찾아준다.

creativity mentor supporting you to find your way back to your creativity.

 

5. 전체적으로 보는 시각과 창조적인 연습을 개발시켜준다.

cultivate holistic perspective and creative practice.

태그

음악치료의 효과

 

1. 음악과 미술은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치료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Music and art are increasingly being used as tools for therapy for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faced trauma from sexual abuse to homelessness and have been proven to help students cope, both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2. 음악 미술치료는 고통을 덜어주고, 스트레스를 줄여주며, 건강을 증진시키고, 기억력을 향상시키며, 소통을 증진시키고, 신체적인 재활을 돕고, 개인의 감정을 표현하는 법을 도와준다.

 

Studies have shown that participating in music and art can alleviate pain, help people manage stress, promote wellness, enhance memory, improve communications, aide physical rehabilitation, and give people a way to express their feelings.

 

3. 음악치료는 우울증과 불안증과 같은 정신건강이상증후에 도움이 된다.

 

Music therapy seems to work very well with those suffering from mental health disorder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It’s often used in therapy with patients on the autism spectrum, and in physical rehabilitation for people who suffer from neurodegenerative diseases like Parkinson or Alzheimer’s.

 

4. 음악은 뇌에 좋은 영향을 준다.

Music has the same effect on the brain as the smell of lavender and chamomile, which produce “feel-good” chemicals like dopamine.

 

5. 음악은 기분을 좋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A 2011 study conducted by researchers from McGill University in Montreal found that music plays a significant role in causing a good mood. It showed that dopamine levels were 9% higher in participants who had listened to music they enjoyed.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48)

 

심리학과 관련하여 그리이스 신화가 많이 인용되고 있다. 시지프스 신화가 대표적인 예다. 나르시시즘도 마찬가지다. 사랑과 욕망, 시기와 질투에 관한 그리이스 신화도 많다.

 

그리이스신화는 서양 문명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문학, 미술, 음악 등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우리는 그래서 그리이스 로마 신화를 조금은 공부할 필요가 있다.

 

1. Many myths deal with the loves of Zeus, who sometimes disguised himself in order to enjoy sexual relations with mortal women.

 

많은 신화들은 제우스의 사랑을 다루고 있다. 제우스는 가끔 죽을 수밖에 없는 운명의 여자들과 성관계를 즐기기 위해 자신을 변장하기도 한다.

 

*mor·tal [mɔ́ːrtl] ɑ.

죽을 수밖에 없는 운명의.

OPP.immortɑl.

인간의, 살아 있는 몸의; 이 세상의

 

2. Other myths present examples of trust, loyalty, and eternal loveor of the pitfalls and problems of love and desire.

 

다른 신화들은 신뢰, 충성심, 영원한 사랑을 보여주거나 또는 사랑과 욕망의 유혹이나 문제들을 보여준다.

 

ᛜpít·fàll n.

(사람·동물 등을 잡는) 함정.

② 《생각지 않은 위험, 함정, 마수, 유혹.

 

3. The tragic myth of Pyramus and Thisbe illustrates a divine reward for lovers who could not live without each other.

 

피라무스와 티이스베의 비극적인 신화는 서로가 없어서는 살 수 없었던 연인들에 대한 신적인 보상을 보여주고 있다.

 

4. The story of Eros and Psyche revolves around the issue of trust. In another myth, the gods reward the elderly Baucis and Philemon for their devotion to each other and their kindheartedness toward strangers.

 

에로스와 사이크의 이야기는 신뢰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다른 신화에서는 신들은 나이 든 바우시스와 필레몬의 서로에 대한 헌신과 낯선 사람들에 대한 친절함을 보상하고 있다.

 

*re·volve [rivάlv/-vɔ́lv] vi.

회전하다, 선회(旋回)하다; (을 축으로) 자전하다on

공전하다, 운행하다; (의 주위를) 돌다ɑbout; round

순환하다, 주기적으로 일어나다; (마음속을) 맴돌다

revolution n.

re·vólv·a·ble ɑ.

*kind·heart·ed [káindhάːrtid] ɑ.

마음이 상냥한, 친절한, 인정 많은(compassionate).

~·ly ɑd.

~·ness n.

 

5. Love affairs in Greek myth do not always end happily. One story tells how Apollo fell in love with a nymph named Daphne, but like Artemis she cared more for hunting than for love.

 

그리이스 신화에서 사랑의 문제는 언제나 행복하게 끝나는 것은 아니다. 아폴로는 다핀이라는 요정과 사랑에 빠졌는데, 아르테미스와 같이 그녀는 사랑보다는 사냥을 더 좋아했다.

 

6. She ran from Apollo in terror, and when he was about to seize her, she asked her father, a river god, to save her.

 

그녀는 무서워서 아폴로로부터 도망쳤다. 아폴로가 그녀를 붙잡으려고 하자, 그녀는 자신의 아버지인 강의 신에게 자신을 구해달라고 부탁했다.

 

7. He changed her into a laurel tree, which is why the laurel was considered Apollo's sacred tree.

 

그는 그녀를 월계수나무로 변하게 했다. 이 때문에 월계수나무는 아폴로의 신성한 나무로 여겨지고 있다.

*lau·rel [lɔ́ːrǝl, lάːr-] n.

① 〖월계수(bay, bay laurel tree); 월계수와 비슷한 관목(灌木).

 

<해설>

1. Greek mythology has profoundly influenced Western culture. So universally familiar are its stories that words and sayings refer to them.

 

그리이스 신화는 서양 문명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2. 나르시시즘의 기원과 분쟁의 기원

The myth of Narcissus, for example, produced narcissism, or excessive vanity, and something that causes an argument may be called an "apple of discord," after an apple that Eris, the goddess of discord, used to start a dispute among Athena, Aphrodite, and Hera.

 

3. 그리이스의 다신교, 12신의 이름, 델피 신전과 올림피아 신전

From the time of Homer (9th century bc), Greek polytheism formed a coherent system with a pantheon of 12 deities who dwelt on Mount Olympus: Zeus, Hera, Poseidon, Athena, Apollo, Artemis, Aphrodite, Hephaestus, Ares, Demeter, Hestia, and Hermes. Major religious centres included Delphi and Olympia.

 

ᛜde·i·ty [díːǝti] n.

? (god)다신교의 남신·여신; ? 신위, 신성, 신격

pol·y·the·ism [pάliθìːizəm/pɔ́l-] n.

? 다신교, 다신 숭배.

cf.monotheis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