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64)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욕구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래서 욕구를 여러 가지 각도에서 분석한다. 욕구의 내용도 중요하지만, 그러한 욕구가 제대로 충족이 되지 않을 때, 인간에게는 어떠한 이상심리상태가 발생하는가 하는 문제가 중요하다.

 

지금 당신의 욕구가 무엇인지 종이에 써보아라. 어떠한 욕구가 있고, 그러한 욕구는 과연 충족되고 있는지, 아니면 충족이 어려운 것인지, 그래서 일정한 욕구는 포기하고 넘어갈 것인지, 다른 욕구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인지? 이러한 분석을 냉철하게 할 필요가 있다.

 

자신의 욕구를 스스로 파악하고 조절할 수 있다면, 그것은 매우 건강한 사람이다.

 

1. Almost all approaches to psychology assume that people have certain basic needs and, indeed, there is broad agreement on what these needs are.

 

거의 모든 심리학에의 접근은 사람들이 특정한 기본적인 욕구가 있으며, 그러한 욕구들에 대한 광범위한 합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2.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Maslow's (1943, 1954) five-stage model has been expanded to include cognitive and aesthetic needs (Maslow, 1970a) and later transcendence needs (Maslow, 1970b).

 

매슬로우의 5단계 모델은 인지 욕구와 미적 욕구, 나중에는 초월 욕구에까지 확대되었다.

 

tran·scend [trænsénd] vt., vi.

(경험·이해력 등의 범위·한계를) 넘다; (우주·물질적 존재 따위를) 초월초절(超絶)하다; 능가하다, 보다 낫다.

ᛜaes·thet·ic es-, -i·cal [esθétik/iːs-], [-ikəl] ɑ.

(), 미술의; 미학의; 심미적인; 심미안이 있는; 좋은 취미의

cog·ni·tive [kάgnǝtiv/kɔ́g-] ɑ.

인식의; 인식력이 있는

┈┈• ~ power 인식력.

~·ly ɑd.

còg·ni·tív·i·ty n.

 

3. Eros, or life instinct, helps the individual to survive; it directs life-sustaining activities such as respiration, eating, and sex (Freud, 1925). The energy created by the life instincts is known as libido.

 

에로스 또는 생의 본능은 인간이 생존할 수 있게 도와준다. 그것은 호흡, 먹는 것, 섹스와 같은 생명을 유지하는 활동으로 이끈다. 생의 본능에 의해 창출되는 에너지는 리비도라고 한다.

 

res·pi·ra·tion [rèspǝréiʃən] n.

? 호흡; ? 한 번 숨쉼; 호흡 작용.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63)

 

개인이 스스로 생각하는 자신의 모습과 실제 경험에서 얻어지는 자아상과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심리학에서는 이런 양자 간의 차이가 문제다.

 

이런 자아상과 경험에 의해 얻어지는 개인의 상과의 차이에서 불안증세가 일어나고, 그 이외의 정신적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로저스는 강한 자아상, 자기 주관, 자신의 생각이 모든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1. Patients whose epilepsy cannot be controlled with medication have electrodes surgically placed within the brain as a clinical means to map their epileptic activity, and assess suitability for surgery as a treatment.

 

약물치료로 간질이 조절되지 않는 환자들은 그들의 간질발작을 확인하는 임상적인 방법으로 뇌에 전극을 외과적으로 설치하고, 치료로서 처치의 적합성을 평가한다.

 

elec·trode [iléktroud] n. 전극(電極).

as·sess [ǝsés] vt. 평가하다, 사정하다at; (세금·벌금 따위를) 사정하다mèd·i·cá·tion n. ? 약물 치료처리, 투약(); ?? 약물, 의약품.

ep·i·lep·sy [épǝlèpsi] n. ? 간질 ┈┈• a fit of ~ 간질 발작.

 

2. The gulf between a person's self-concept and his or her actual experiences (which Rogers called incongruence) is a chronic source of anxiety and can even result in mental disorders.

 

개인의 자아상과 자신의 경험과의 차이(로저스는 이것을 incongruence라고 한다)는 불안의 만성적인 원인이며, 정신적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ᛜchron·ic [krάnik/krɔ́n-] ɑ.

① 〖만성의, 고질의.

OPP.ɑcute.

sélf-cóncept, -concéption n.

자아상(自我像), 자기에 대한 심상(self-image).

gulf [gʌlf] n. (pl. ~s)

보통 bay보다 크며 폭에 비해 안 길이가 길다

② 《문어소용돌이(whirlpool); (지표(地表)) 깊은 구멍, 깊이 갈라진 틈; ③ 《(넘을 수 없는) 큰 간격, 현격between

┈┈• the ~ between rich and poor theory and practice빈부이론과 실제의 차.

 

3. The name, though catchy, is easily misunderstood by those who assume that Reality Therapy has something to do with giving people ``a dose of reality.''

 

현실치료라는 이름은 비록 인기가 있어보이지만, 그것이 사람들에게 어떤 현실에 관한 무엇인가를 줄 것으로 기대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ᛜdose [dous] n.

(약의) 1회분, (1회의) 복용량, 한 첩

② 《(이 되는 것), (특히) 쓴 약; 불쾌한경험

┈┈• a ~ of flattery 약간의 아첨.

catchy [kǽtʃi] ɑ. (catch·i·er; -i·est)

인기 끌 것 같은.

걸려들기 알맞은, 틀리기 쉬운; 현혹되기 쉬운.

cátch·i·ly ɑd.

-i·ness n.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62)

 

인간의 마음은 의식과 무의식으로 나뉘인다. 그런데 우리가 잠을 잘 때, 꿈을 꾸고 있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그것은 의식도 아니고, 무의식도 아닌 중간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프로이트는 이러한 꿈에 대해 연구했다. <꿈의 해석>이라는 책도 냈다. 프로이트 이후에도 심리학자들은 인간의 꿈에 대해 수많은 실험과 관찰, 연구를 했다.

 

무의식이 진행되는 과정, 기억을 만들어가는 과정, 자동적으로 진행되는 무의식, 무의식적인 진행과정의 중요성 등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무의식의 정체를 밝혀내려고 애썼다.

 

어떤 실험결과에 의하면, 자신의 생각을 억누르는 사람(people who generally try to suppress their thoughts)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서 수면의 질이 나빠지고,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으며, 불안감과 우울감을 느낀다고 한다.

 

평소에 생각이 많고, 걱정거리가 많으면,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고, 숙면을 취하지 못한다. 이러한 스트레스와 불안감, 우울증을 어떻게 하면 줄이고, 해결할 수 있을까? 결코 쉽지 않은 문제다.

 

1. Despite the skepticism of the unconscious mind, cognitive psychology has identified unconscious processes, such as procedural memory (Tulving, 1972), automatic processing (Bargh & Chartrand, 1999; Stroop, 1935), and social psychology has shown the importance of implicit processing (Greenwald & Banaji, 1995).

 

무의식적인 마음에 대한 회의론에도 불구하고, 인지심리학은 과정에 대한 기억, 자동적인 진행 등과 같은 무의식적인 과정을 밝혀냈고, 사회심리학은 드러나지 않는 과정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im·plic·it [implísit] ɑ.

은연중의, 함축적인, 암시적인, 암묵의.

OPP.explicit.

무조건의(absolute), 절대적인, 맹목적인

cog·ni·tive [kάgnǝtiv/kɔ́g-] ɑ.

인식의; 인식력이 있는

┈┈• ~ power 인식력.

còg·ni·tív·i·ty n.

skep·ti·cism, scep- [sképtǝsìzəm] n.

회의(); 무신론

 

2. In some of my recent research, I found that people who generally try to suppress their thoughts not only dream about their emotional experiences from waking life more in particular unpleasant situations but also have worse sleep quality and higher levels of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than others.

 

최근의 나의 연구에 의하면, 자신의 생각을 억누르려고 하는 사람들은 깨어있을 때의 정서적 경험에 관해 꿈을 꿀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보다 수면의 질이 나빠지고, 스트레스와 불안, 우울감을 더 많이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3. However, people may maintain a self-concept that is at odds with their true feelings to win the approval of others and "fit in," either socially or professionally.

 

그러나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동의를 얻고, 사회적으로 또는 직업적으로 적합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유리한 자기 생각(주관)을 유지하려고 한다.

 

*odds [ɑdz/ɔdz] n.

차이, 우열의 차; 불평등불균등(한 것)

┈┈• It makes no ~. 별차이가 없다; 대수롭지 않다

┈┈• make ~ even 우열을 없애다, 비등하게 하다.

우세, 승산

┈┈• The ~ were against us. 형세는 우리에게 불리하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61)

 

심리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라는 실존이다. 지금 여기에서 <>라는 존재의 근원적인 실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는 지금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감정을 느끼며, 어떤 욕구를 가지고 있는가? 매슬로우의 욕구단계론에 따라 나는 가장 기본적이고 생리적인 욕구만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 조차도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하루 하루 시간을 낭비하고 있는가?

 

나의 정신상태는 어떠하며, 과연 건강한 것인가? 나의 성격은 어떠한가? 나는 현실성 없는 생각을 하고, 무모한 욕망에 사로잡혀 괴로워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나는 사회의 건전한 도덕과 윤리의식에서 벗어나 이상하고, 불합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은 아닌가? 나는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도리를 다 하고 있는가?

 

이런 <> 자신의 문제가 정리가 되면, 그 다음으로 <>에 대해 알아야 한다. 나와 관계가 있는, <>라는 존재가 지금 여기에서 가지고 있는 생각과 감정, 욕구, 인지상태 등을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그런 다음 <>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한다. 두 사람 사이의 관계는 정상인가, 서로 간에 경계는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고, 각자 할 일을 하고, 서로에 대해 배려를 하고 있는 것인가?

 

1. Specifically, focusing on living and relating as an individual apart from others and in mutuality as a part of a relational context serves as a gateway to deepening existential-humanistic processes in psychotherapy.

 

특별히 살아가는 것과 따로 떼어진 개인으로서 관계하는 것, 그리고 관계의 맥락에서 한 부분으로서의 상호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심리치료에 있어서 실존적이며 인본적인 과정을 심화시키는 출발점이 되는 것이다.

 

2. According to Rogers, one's self-concept influences how one regards both oneself and one's environment.

 

로저스에 의하면, 개인의 자기 생각(주관)은 개인이 자기 자신과 자신의 환경에 대해 어떻게 보느냐에 영향을 미친다.

 

3. The self-concept of a mentally healthy person is consistent with his or her thoughts, experiences, and behavior.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의 자기 생각(주관)은 그의 생각, 경험, 행동과 일치하게 된다.

 

*con·sist·ent [kǝnsístənt] ɑ.

(의견·행동·신념 등이) () 일치양립하는; 조화된with

┈┈• His views are ~ with his action. 그의 말과 행동은 일치하고 있다.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60)

 

프로이트(1856 ~ 1939)의 정신분석이론은 현대 심리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때문에 우리는 프로이트의 심리학은 가장 기본적으로 그 개념과 내용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프로이트는, 인간은 생물학적 존재다. 인간은 심리사회 발달 단계를 통해 성숙한다. 인간은 강한 성적 충동과 사회적으로 수용가능한 방식으로 행동하려는 욕구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려고 노력한다는 주장을 하였다.

 

그러나 프로이트의 이론은 지나치게 결정론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후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1. Is Freudian psychology supported by evidence? Freud's theory is good at explaining but not at predicting behavior (which is one of the goals of science).

 

프로이트 심리학은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는가? 프로이트의 이론은 설명하기에는 좋지만, 행동을 예견하는 것(과학의 목표의 하나인 것)에는 적합하지 않다.

 

2. For this reason, Freud's theory is unfalsifiable - it can neither be proved true or refuted.

 

이러한 이유로 프로이트의 이론은 속일 수 없는 것이다. 그것은 진리라고 증명될 수도 없고, 반박할 수도 없는 것이다.

 

ᛜre·fute [rifjúːt] vt.

논박반박하다; 에 이의를 제기하다.

fal·si·fy [fɔ́ːlsǝfài] vt.

위조변조하다(forge); 속이다; 왜곡하다

 

3. For example, the unconscious mind is difficult to test and measure objectively. Overall, Freud's theory is highly unscientific.

 

예를 들면, 무의식적인 마음은 테스트할 수도 없고, 객관적으로 측정하기도 어렵다. 전체적으로 보아서, 프로이트의 이론은 매우 비과학적이다.

 

<해설>

1.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arguing that our dreams are nothing more than wishes that we are looking to fulfil in our waking lives.

 

꿈의 해석에서 프로이트는 우리들의 꿈은 우리가 깨어있는 동안에 충족시키려고 하는 바램 이상이라고 한다.

 

2. Some of these wishes are relatively innocent, and in these cases our dreams picture the wish just as it is.

 

이러한 몇 가지 바램들은 상대적으로 우리가 알아채지 못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꿈은 있는 그대로 바램을 그리고 있다.

 

3. However, there are other wishes that are so unacceptable to us (such as sexual or aggressive impulses that we can’t admit to or act out) that our dreams have to censor them.

 

그러나 한편으로는 우리들이 받아들일 수 없는 욕망들이 있기 때문에 우리들의 꿈이 그러한 욕망들을 검열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성적인 충동이나 공격적인 충동들은 우리가 받아들이거나 행동으로 표출할 수 없는 것들이다.

 

cen·sor [sénsǝr] n.

검열관출판물·영화·서신 따위의.

검열하다, 검열하여 삭제하다out.

~·a·ble [-sǝrǝbəl] ɑ. 검열에 걸릴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59)

 

진흙으로 무엇을 만드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진흙으로 새로운 형상을 창조하는 과정은 하나님이 인간을 흙으로 만들었다는 사실과 동일한 개념을 가진다.

 

하나님은 흙을 가지고 하나님의 형상을 빚어 아담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 후 아담이 혼자 외롭게 보이기에, 아담이 자고 있는 사이에 아담의 갈비뼈 하나를 취하여 이브를 만들었다.

 

하나님이 흙으로 인간을 만든 것과 같이 인간은 흙으로 자신의 마음을 창조한다. 진흙은 인간의 손으로 자유자재로 인간이 창조하고자 하는 형상을 창조할 수 있는 유일한 도구다.

 

진흙작업은 미술치료 중의 하나이지만, 이것은 그림을 그리는 것과는 또 다른 의미를 가진다. 그림이 평면적인 것에 비해서 진흙작업은 입체적이다. 매우 역동적이다. 무에서 유를 만들어낸다. 또한 완성된 창조물을 파괴함으로써 다시 원점으로 돌려놓을 수 있다. 유에서 무가 창조된다.

 

진흙을 가지고 나를 표현하고, 너를 표현할 수 있다. 나의 내면에 있는 또 다른 <>를 표현하고, 그것을 나와 너에게 전달할 수 있다.

 

진흙은 나의 생각과 감정, 욕구를 표현한다. 나의 과거의 행복과 불행을 지금 여기에서 재현시킨다. 나의 미래를 미리 예상할 수 있다.

 

1. Clay-work involves an intense and powerful tactile experience of touching and haptic involvement. Touch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first sensory responses to develop in humans (Frank, 1957; Montagu, 1978).

 

점토작업은 만지고 접촉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격렬하고 강력한 촉감의 경험을 포함한다. 만지는 것은 인간의 발달에 있어서 감각적인 첫 번째 반응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sen·so·ry [sénsǝri] ɑ.

지각감각(); 지각 기관의, 감각 중추의

in·vólve·ment n.

① ? 말려듦; 휩쓸려듦, 관련, 연루, 연좌in.

포함.

③ ? 난처; 어려움; (재정) 곤란.

hap·tic, -ti·cal [hǽptik], [-kəl] ɑ.

촉각에 관한의한; 촉각형의사람

in·tense [inténs] ɑ. (-tens·er; -tens·est)

(·온도 따위가) 격렬한, 심한, 맹렬한

(감정 따위가) 격앙된, 강렬한

일사 불란한, 온 신경을 집중한, 진지한; 열심인, 열띤in

tac·tile [tǽktil, -tail] ɑ.

촉각의; 촉각이 있는

감촉할만져서 알수 있는.

 

2. Thus clay-work makes possible an entire non-verbal language or communication for the creator, through which his or her mental realm, emotional life, and primary object relations can be expressed.

 

이와 같이 점토작업은 작업자를 위한 완전히 말로 하지 않는 언어 또는 소통수단이 될 수 있다. 이것을 통해서 작업자는 정신적 영역, 감성적 생활, 중요한 목표 관계 등이 표현될 수 있다.

 

3. The central assumption of attachment theory is that humans form close emotional bonds with significant others (Bowlby, 1969, 1973, 1979, & 1980), which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mental representations of self and other, or “internal working models” (Pietromonaco & Barrett, 2000).

 

접촉의 중요한 가설은 인간은 다른 중요한 것과 긴밀한 정서적 관계를 형성하며, 그것은 자신과 타인, 또는 내적인 작업 모델을 정신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개발한다는 것이다.

 

*as·sump·tion [ǝsʌ́mpʃən] n.

인수, 수락, 취임

가정, 억측; 가설

ᛜat·tách·ment n.

부착, 접착, 흡착to; ? 붙임, 붙이는 기구; 부착물, 부속품; 연결 장치

애정, 사모, 애착, 집착for; to; 어태치먼트애정의 연계

 

<해설>

1. 접촉이론에 의하면, 접촉하는 방식에는 두 가지 모델이 있다.

According to attachment theory, there are two consecutive working models of attachment: an unconscious, fairly primitive model that a person develops during the early years of life, and later a second model, which is more sophisticated, linguistic, and conscious.

 

2. 언어 능력을 습득하기 전 단계의 아이들의 접촉이론

The two models operate simultaneously (Bowlby, 1979): mental representations regarding self and others develop from procedural and sensorimotor representations (Case, 1996; Crittenden, 1990) that have no linguistic coding because they were developed in the preverbal phase (Nelson, 1996).

 

pre·vérbal ɑ.

문법동사 앞의; 언어 능력 습득 전의아이들.

 

3. 미술을 포함한 비언어적 표현방식은 이러한 접촉과정을 표현하는 소통의 방법으로서 기능한다.

 

Our assumption is that nonverbal modes of expression, including art, an function as a way of communicating these procedural representations.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57)

 

개인은 자신의 정신건강을 스스로 지켜야 한다. 문제는 어렸을 때부터 잘못된 이상심리현상이 나타났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느냐 하는 것이다.

 

나이 들어 세상을 살면서 자꾸 어려운 일, 고통스러운 경험을 하게 되면, 자연히 소극적이 되고, 우울하게 되면, 자신감을 상실하게 된다.

 

이럴 때 본인은 강한 마음을 먹도록 노력해야 한다. 대화치료로 정신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기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렇다고 다른 심리치료도 그다지 효과가 있어 보이지도 않는다.

 

하지만 어떻게 하겠는가? 개인은 심리학 공부도 하고, 심리치료기법도 연구하고, 나름대로 전문가와 만나서 상담도 받아보고, 약물치료도 함으로써 자신의 정신건강을 빨리 찾도로고 노력해야 한다.

 

1. Sigmund Freud (1856 to 1939) was the founding father of psychoanalysis, a method for treating mental illness and also a theory which explains human behavior.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정신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며, 동시에 인간행동을 설명하는 이론인 정신분석학의 기초를 세운 사람이다.

 

2. Freud believed that events in our childhood have a great influence on our adult lives, shaping our personality.

 

프로이트는 인간의 어린 시절에 겪은 일이 나중에 성인이 되었을 때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성격을 형성한다고 믿었다.

 

3. For example, anxiety originating from traumatic experiences in a person's past is hidden from consciousness, and may cause problems during adulthood (in the form of neuroses).

 

예를 들면, 개인의 과거의 외상의 경험에서 유래된 불안은 의식속에 감추어져 있으며, 성인이 되어 문제(신경증의 형태)를 일으킨다.

 

neu·ro·sis [njuəróusis] n. (pl. -ses [-siːz])

신경증, 노이로제; 신경 감동.neu·ro·sis [njuəróusis] n. (pl. -ses [-siːz])

trau·mat·ic [trɔːmǽtik, trǝ-, trau-] ɑ.

외상(外傷)의; 외상 치료(용)의; 정신적 쇼크의; 상처 깊은, 잊지 못할

 

<해설>

1. In mental health, it's generally accepted that negative thought patterns, particularly those directed at ourselves, are the source of much suffering.

 

일반적으로 정신건강에 있어서 부정적인 생각 형태는, 특별히 그러한 부정적 생각이 자신에게 향하는 경우에는 많은 고통의 원인이 된다고 한다.

 

2.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r CBT, works to challenge those thoughts and replace them with more helpful ones.

 

인지행동치료는 그러한 부정적인 생각을 보다 도움이 되는 다른 생각으로 대체하려고 노력한다.

태그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56)

 

심리학에서 아무리 인간의 욕구이론을 연구해도 개인의 일상생활에 적용하는 것은 어렵다. 인간은 누구나 수많은 욕구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인간의 욕구는 나이를 먹으면서 점차 그 강도가 수그러들지만, 일정한 나이가 될 때까지는 인간은 욕망의 덩어리가 되어 그러한 욕망의 노예가 된다.

 

인간이 욕망의 노예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그는 무한한 고통을 겪게 된다. 먹고 싶은 것을 마음껏 먹지 못할 때, 돈을 쓰고 싶은데, 돈이 없을 때, 성욕을 채우고 싶은데 그것이 불가능할 때, 인간은 고통을 겪는다.

 

인간이 욕구나 욕망을 스스로 통제하고, 자제하고, 욕구를 승화시킬 수 있으면 다행이다. 그것은 스스로 노력하고, 수양을 하고, 인격적으로 높은 단계로 올라가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동물적 상태에서 머물게 된다.

 

공무원이 돈욕심에서 뇌물을 받다가 징역을 산다. 1억원 이상의 뇌물죄가 인정되면 법정형이 징역 10년 이상이다. 작량감경을 해도 최소한 징역 5년을 살아야 한다. 1억원을 먹고 징역을 5년 살고, 그 뇌물도 추징당한다. 얼마나 억울하겠는가?

 

성범죄도 마찬가지다. 부하여직원을 간음한 죄로 고위직 공무원이 징역 36개월의 실형을 받았다. 본질은 성욕이다. 사랑이나 애정으로 치부한다고 해도, 구체적인 행위는 성기의 결합이 법적으로 문제된 것이다. 성기의 결합을 간음이라고 한다. 강간죄나 간음죄에서 말하는 간음행위는 바로 성교행위, 즉 성기의 접촉, 삽입을 뜻한다.

 

성욕은 매우 동물적이다. 법에서 성욕을 엄하게 다스리는 것은, 바로 피해자의 성적 자기결정권의 침해 때문이다.

 

1. Thwarting of unimportant desires produces no psychopathological results; thwarting of a basically important need does produce such results.

 

중요하지 않는 욕망의 좌절은 심리병리학적인 결과를 가져오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중요한 욕망의 좌절이 그러한 결과를 가져온다.

 

path·o·log·ic, -i·cal [pæ̀θǝlάdʒik/-lɔ́dʒ-], [-əl] ɑ.

병리학의, 병리상의; 병적인.

-i·cal·ly ɑd. 병리적으로.

ᛜthwart [θːrt] vt.

훼방 놓다, 방해하다, 반대하다; 좌절시키다, 꺾다

 

2. Any theory of psychopathogenesis must then be based on a sound theory of motivation. A conflict or a frustration is not necessarily pathogenic.

 

심리적발병이론은 건전한 동기이론에 기초하게 된다. 충돌 또는 좌절은 반드시 심리적 장애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path·o·gen·ic [pæ̀θǝdʒénik] ɑ.

발병시키는, 병원이 되는, 병원성().

 

3. The role of gratified needs. -- It has been pointed out above several times that our needs usually emerge only when more prepotent needs have been gratified.

 

충족된 욕구의 역할 우리들의 욕구는 보다 우세한 것이 충족된 다음에 출현하는 것이 보통이다.

 

pre·po·tent [pripóutənt] ɑ.

대단히 우세(優勢); 우성 유전력을 가진.

~·ly ɑd.

ᛜgrat·i·fi·ca·tion [græ̀tǝfikéiʃən] n.

만족(시킴), 희열, 욕구 충족; 만족감; ? 만족시키는 것

gratify v.

 

<해설>

1. 동기이론에서 욕구의 충족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욕구는 충족되면 더 이상 기능을 하지 않는다.

 

Thus gratification has an important role in motivation theory. Apart from this, however, needs cease to play an active determining or organizing role as soon as they are gratified.

 

2. 만족한 상태의 사람은 더 이상 존중감, 애정, 안전의 욕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What this means is that, e. g., a basically satisfied person no longer has the needs for esteem, love, safety, etc.

 

3. 충족된 욕구는 동기유발요인이 되지 않는다.

 

If we are interested in what actually motivates us, and not in what has, will, or might motivate us, then a satisfied need is not a motivator.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55)

 

1. For everything begins with consciousness and nothing is worth anything except through it.

 

왜냐하면, 모든 것은 의식(자각)으로부터 시작하고, 그러한 의식을 통하지 않고서는 아무 것도 의미를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con·scious·ness [kάnʃǝsnis/kɔ́n-] n.

의식, 자각; 알고 있음, 알아챔

 

2. But they are obvious; that is enough for a while, during a sketchy reconnaissance in the origins of the absurd. Mere "anxiety," as Heidegger says, is at the source of everything.

 

그러나 그것은 명백하다. 불합리성의 근원에 대해 간단히 조사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단순한 불안이란 하이데거가 말했듯이, 모든 것의 원천이다.

 

sketchy [skétʃi] ɑ. (sketch·i·er; -i·est)

사생스케치풍; 개략대강; 불완전불충분, 미완성의

┈┈• a ~ meal 간단한 식사.

skétch·i·ly ɑd. 스케치풍으로; 개략으로, 대충.

-i·ness n.

re·con·nais·sance [rikάnǝzǝns, -sǝns/-kɔ́n-] n.

정찰, 수색; 답사; 지형 조사; 예비 점검; 정찰대

┈┈• a ~ plane 정찰기.

 

3. Likewise and during every day of an unillustrious life, time carries us. But a moment always comes when we have to carry it.

 

마찬가지로, 평범한 생활의 매일 매일, 시간은 우리를 옮겨놓는다. 그러나 어떤 한 순간은 우리가 어떤 일을 해야 할 때 항상 찾아온다.

 

ᛜil·lus·tri·ous [ilʌ́striǝs] ɑ.

뛰어난, 이름난, 저명한.

(행위 따위가) 빛나는, 화려한공적 등.

~·ly ɑd.

~·ness n. 저명; 탁월.

 

<해설>

우리는 늘 미래를 가지고 살아간다.

 

We live on the future: "tomorrow," "later on," "when you have made your way," "you will understand when you are old enough."

 

2. 인간은 시간에 속해 있다. 시간은 인간을 붙잡고 있는 공포다. 인간은 자신의 최악의 적인 시간을 인식하고 있다.

 

He belongs to time, and by the horror that seizes him, he recognizes his worst enemy.

 

3. 내일에는, 인간은 또 그 다음 내일을 추구한다. 반면에 인간의 내면에 있는 모든 것은 내일을 거부한다.

 

Tomorrow, he was longing for tomorrow, whereas everything in him ought to reject it. That revolt of the flesh is the absurd.

 

4. 개인의 삶에는 줄일 수 없는 무게가 부과된다.

A step lower and strangeness creeps in: perceiving that the world is "dense," sensing to what a degree a stone is foreign and irreducible to us, with what intensity nature or a landscape can negate us.

 

ir·re·duc·i·ble [ìridjúːsǝbəl] ɑ.

(일정 한도 이상으로는) 단순화축소할 수 없는, (다른 상태·형식으로) 돌릴바꿀수 없는to; 감할수 없는;

dense [dens] ɑ.

밀집밀생with; (인구가) 조밀한.

OPP.spɑrse.

밀도가 높은, 짙은; 농후한

 

5. The primitive hostility of the world rises up to face us across millennia. For a second we cease to understand it because for centuries we have understood in it solely the images and designs that we had attributed to it beforehand, because henceforth we lack the power to make use of that artifice. The world evades us because it becomes itself again.

 

*evade [ivéid] vt.

(·공격 등을 교묘히) 피하다, 비키다, 면하다, 벗어나다

ᛜar·ti·fice [άːrtǝfis] n.

? 고안(考案), 교묘한 솜씨; ? 책략, 술책

ᛜhènce·fórth, -fórward ɑd.

이제부터는, 금후, 이후.

ᛜbefóre·hànd ɑd., ɑ.

미리, 사전에, 전부터

mil·len·ni·al [miléniǝl] ɑ.

천년간의, 천년기.

~·ìsm n. =??????????????.

~·ist n. =???????????.

 

6. That stage scenery masked by habit becomes again what it is. It withdraws at a distance from us.

영어로 배우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154)

 

단순히 대화를 하거나 말로 상담을 하는 것보다, 치료사와 내담자가 같이 그림을 그리거나, 진흙작업을 하거나, 그림을 감상하는 방법으로 심리치료를 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특히 언어소통이 불가능하거나 힘이 드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미술치료사는 심리치료와 미술, 양 분야에서 지식과 경험을 갖추어야 한다. 매우 흥미로운 분야다.

 

1. Art therapy is the therapeutic use of art making, within a professional relationship, by people who experience illness, trauma or challenges in living, and by people who seek personal development.

 

미술치료는 질병, 정신적 외상, 삶에서의 힘든 일을 경험하는 사람들, 그리고 개인의 발전을 추구하는 사람들과의 직업적인 관계 안에서 작품을 만드는 것을 치료목적에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chal·lenge [tʃǽlindʒ] n.

도전, 경기의 신청; 도전장to; 결투의 신청

해볼 만한 일문제, 과제, (보람 있는) 힘든 일, 노력의 목표; (자기 능력 발휘의) 좋은 기회

trau·ma [trɔ́ːmǝ, tráu-] n. (pl. -ma·ta [-mǝtǝ], ~s)

외상(성 증상); 정신정신적 외상, 마음의 상처, 쇼크.

ther·a·peu·tic, -ti·cal [θèrǝpjúːtik], [-əl] ɑ.

치료의, 치료법의; 건강유지에 도움이 되는.

-ti·cal·ly ɑd.

 

2. Through creating art and reflecting on the art products and processes, people can increase awareness of self and others, cope with symptoms, stress and traumatic experiences; enhance cognitive abilities; and enjoy the life-affirming pleasures of making art.

 

그림을 그리고, 미술작품을 감상하고, 그러한 과정을 통해서, 사람들은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인식과 지각을 넓히고, 증세와 스트레스 정신적 상처에 대처할 수 있게 되며, 인지능력을 높이고, 그림그리는 즐거움을 확인하면서 삶을 즐기게 된다.

 

3. Art therapists are professionals trained in both art and therapy. They are knowledgeable about human development, psychological theories, clinical practice, spiritual, multicultural and artistic traditions, and the healing potential of art.

미술치료사들은 미술과 심리치료, 두 분야에서 직업적으로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다. 그들은 인간발달, 심리이론, 임상경험, 정신적, 다문화적, 예술적 전통, 미술의 치유능력 등에 관해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

 

<해설>

1. 대부분의 상담에서는 대화를 통해서 치료사와 내담자가 소통을 하게 된다. 치료사와 내담자 사이에 서로 소통하고, 내담자가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은 말이나 언어(the use of words or language as a means of communication)가 주된 수단이다.

 

2. 그러나 때로는, 인간은 그와 같은 제한된 수단, 범위에서는 자기 자신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Often times, humans are incapable of expressing themselves within this limited range).

 

3. 미술치료에서는 자기 자신의 감정을 미술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One of the beauties of art as therapy is the ability for a person to express his/her feelings through any form of art).

 

4. 미술치료에서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은, 그림 그리기, 연필로 그리기, 사진, 조각, 가시적인 미술표현의 다양한 현태가 있다(Though there are other types of expressive therapies <such as the performing arts>, expressive art therapy as discussed here typically utilizes more traditional forms of artsuch as painting, drawing, photography, sculpture, or a variety of other types of visual art expression).

 

+ Recent posts